• 제목/요약/키워드: SIM

검색결과 37,349건 처리시간 0.055초

식품중 총 아플라톡신 분석법 개선 (Advances in the Analysis of Total Aflatoxins in Foods)

  • 오금순;서정혁;박성수;소유섭;최우정;안영순;이종옥;우건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6-81
    • /
    • 2006
  • 총 아플라톡신 분석을 위한 최적의 추출 및 용출조건을 확립하여 최적의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였다. 추출용매는 70% methanol 용액에 NaCl을 각각 1% 첨가한 용액을 사용하였고, 정제용 컬럼인 immuno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acetonitrile 3 mL를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아플라톡신 혼합용액의 분리능을 좋게 하였다. 검출한계는 0.05 ng/g 수준이였고, 식품의 유형별 총 아플라톡신($B_1,\;B_2,\;G_1,\;G_2$)의 회수율은 곡류 $74.1{\sim}95.5%,\;83.7{\sim}98.8%,\;80.4{\sim}102.4%$$72.8{\sim}76.5%$, 두류 $85.8~87.5%,\;83.8{\sim}90.7%,\;92.0{\sim}94.5%$$60.6{\sim}65.6%$, 견과류 $84.6{\sim}97.1%,\;86.0{\sim}94.1%,\;95.5{\sim}111.5%$$71.0{\sim}89.9%$, 가공식품 $81.5{\sim}87.1%,\;82.8{\sim}85.8%,\;85.4{\sim}92.7%$$68.9{\sim}76.4%$, 건조과실류 $83.6{\sim}93.5%,\;78.1{\sim}90.4%,\;93.0{\sim}108.5%$$64.9{\sim}78.5%$, 기타식품 $72.5{\sim}98.3%,\;73.1{\sim}96.4%,\;83.5{\sim}107.2%$$64.2{\sim}75.8%$를 보여주었다.

치과보철물 제조용 모형 조립체(가철식 치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인접 치아 중심 간격 및 악궁 크기 조사 (Investigation of the Distance from One Tooth Center to Adjacent Tooth Center and Dental Arch Size to Develope New Removable Die System for Fabrication of Dental Prosthetic Appliance)

  • 김부섭;마승호;정경목;변태희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1-161
    • /
    • 2007
  •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dental arch size and the distance from one tooth center to adjacent tooth center of occlusal surface of each tooth which is perforated by Pindex system on working cast for removable die system, 600 dental casts in Busan were examined. The distance of center of occlusal surface of each tooth and dental arch size were digit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values of the distance from center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maxillary lateral incisor(tooth number 11$\sim$12, 21$\sim$22) is 5,7 mm, 12$\sim$13(22$\sim$23) is 5.9 mm, 13$\sim$14(23$\sim$24) is 6.9 mm, 14$\sim$15(24$\sim$25) is 7.1 mm, 15$\sim$16(25$\sim$26) is 8.4 mm, 16$\sim$17(26$\sim$27) is 10.2 mm, 11$\sim$21 is 7.30 mm. Mean values of the distance from center of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 mandibular lateral incisor(tooth number 31$\sim$32, 41$\sim$42) is 4.5 mm, 32$\sim$33(42$\sim$43) is 4.8 mm, 33$\sim$34(43$\sim$44) is 6.3 mm, 34$\sim$35(44$\sim$45) is 7.2 mm, 35$\sim$36(45$\sim$46) is 9.2 mm, 36$\sim$37(46$\sim$47) is 10.7 mm, 31$\sim$41 is 4.7 mm. 2. Mean values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to the center of maxillary left central incisor(11$\sim$21) is 7.3 mm, 12$\sim$22 is 18.2 mm, 13$\sim$23 is 26.9 mm, 14$\sim$24 is 37.2 mm, 15$\sim$25 is 43.2 mm, 16$\sim$26 is 48.5 mm, 17$\sim$27 is 53.5 mm. Mean values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mandibular right central incisor to the center of mandibular left central incisor(31$\sim$41) is 4.7 mm, 32$\sim$42 is 13.3 mm, 33$\sim$43 is 21.7 mm, 34$\sim$44 is 31.9 mm, 35$\sim$45 is 38.2 mm, 36$\sim$46 is 44.8 mm, 37$\sim$47 is 50.7 mm. 3. Mean values of the distance from the line of between 11$\sim$21 to 12$\sim$22 is 10.9 mm, 12$\sim$22 to 13$\sim$23 is 8.7 mm, 13$\sim$23 to 14$\sim$24 is 10.3 mm, 14$\sim$24 to 15$\sim$25 is 6.0 mm, 15$\sim$25 to 16$\sim$26 is 5.3 mm, 16$\sim$26 to 17$\sim$27 is 5.0 mm. 31$\sim$41 to 32$\sim$42 is 8.6 mm, 32$\sim$42 to 33$\sim$43 is 8.4 mm, 33$\sim$43 to 34$\sim$44 is 10.2 mm, 34$\sim$44 to 35$\sim$45 is 6.3 mm, 35$\sim$45 to 36$\sim$46 is 6.6 mm, 36$\sim$46 to 37$\sim$47 is 5.9 mm. 4. We checked the bottom side of cast to verify the position of dowel pin. There is no difference upper side and lower side.

  • PDF

기반암에 따른 나주지역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Sediments Based on Bed Rocks in the Naju Area, Korea)

  • 박영석;김종균;정용화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9-60
    • /
    • 2006
  • 본 연구는 나주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 연구이다. 이를 위해 1차 수계를 대상으로 139개의 하상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실험실에서 자연 건조시켰으며, XRF, ICP-AES, NAA를 이용하여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반암에 따른 지구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강암질편마암 지역, 편암류 지역, 화강암류 지역, 사질암 지역, 응회암 지역, 안산암 지역, 유문암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나주지역 하상퇴적물의 지질집단별 주성분원소 평균함량은 $SiO_2\;58.37{\sim}66.06wt.%,\;Al_2O_3\;13.98{\sim}18.41wt.%,\;Fe_2O_3\;4.09{\sim}6.10wt.%,\;CaO\;0.54{\sim}1.33wt.%,\;MgO\;0.86{\sim}1.34wt.%,\;K_2O\;2.38{\sim}4.01wt.%,\;Na_2O\;0.90{\sim}1.32wt.%,\;TiO_2\;0.82{\sim}1.03wt.%,\;MnO\;0.09{\sim}0.15wt.%,\;P_2O_5\;0.11{\sim}0.18wt.%$이다. 주성분원소의 평균함량 비교에서 $Al_2O_3$$K_2O$는 화강암질편마암 지역에서, $Fe_2O_3,\;CaO,\;P_2O_5$는 응회암 지역에서, MgO와 $TiO_2$는 안산암 지역에서, $Na_2O$는 유문암 지역에서 높고, $SiO_2$와 MnO 함량은 사질암 지역에서 약간 높다. 미량성분 및 희토류원소의 지질집단별 평균함량은 $Ba\;1278{\sim}1469ppm,\;Be\;1.1{\sim}1.5ppm,\;Cu\;18{\sim}25ppm,\;Nb\;25{\sim}37ppm,\;Ni\;16{\sim}25ppm,\;Pb\;21{\sim}28ppm,\;Sr\;83{\sim}155ppm,\;V\;64{\sim}98ppm,\;Zr\;83{\sim}146ppm,\;Li\;32{\sim}45ppm,\;Co\;7.2{\sim}12.7ppm,\;Cr\;37{\sim}76ppm,\;Cs\;4.8{\sim}9.1ppm,\;Hf\;7.5{\sim}25ppm,\;Rb\;88{\sim}178ppm,\;Sc\;7.7{\sim}12.6ppm,\;Zn\;83{\sim}143ppm,\;Pa\;11.3{\sim}37ppm,\;Ce\;69{\sim}206ppm,\;Eu\;1.1{\sim}1.5ppm,\;Yb\;1.8{\sim}4.4ppm$이다. Pb, Li, Cs, Hf, Rb, Sb, Pa, Ce, Eu, Yb 평균함량은 화강암질편마암 지역에서, Ba, Co, Cr 평균함량은 편암류 지역에서, Nb, Ni, Zr 평균함량은 사질암 지역에서, Sr 평균함량은 응회암 지역에서 높고, Be, Cu, V, Sc, Zn 평균함량은 안산암 지역에서 다른 지질집단에서 보다 높다.

기반암에 따른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Sediments Based on Bed Rocks in the Cheongpung Area)

  • 박영석;박대우;김종균;송영상;이장존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675-687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 규명을 통해,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에 대한 청풍지역의 자연배경치를 제시하고, 지구화학적 재해에 대해 예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 흐르고 있는 1차 수계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시료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켰으며, 화학적 분석을 위해 알루미나 몰타르를 이용하여 200메쉬 이하로 분쇄하였다. 주성분원소 및 미량성분원소는 XRD, XRF, ICP-AES, NA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의 기반암에 따른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화강암질편마암지역, 메타텍틱편마암지역, 다도응회암지역, 유치역암 지역, 능주용암지역으로 분류하였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 전체에 대한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47.31{\sim}72.81\;wt.%,\;Al_2O_3 \;11.26{\sim}21.88\;wt.%,\;Fe_2O_3\;2.83{\sim}8.39\;wt.%,\;CaO\;0.34{\sim}7.54\;wt.%,\;MgO\; 0.55{\sim}3.59\;wt.%,\;K_2O\;1.71{\sim}4.31\;wt.%,\;Na_2O\;0.56{\sim}2.28\;wt.%,\;TiO_2\;0.46{\sim}1.24\;wt.%,\;MnO\;0.04{\sim}0.27\;wt.%,\;P_2O_5\;0.02{\sim}0.45\;wt.%$이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 전체에 대한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 함량은 $Ba\;700ppm{\sim}8990ppm,\;Be\;1.0{\sim}3.50ppm,\;Cu\;6.20{\sim}60ppm,\;Nb\;12{\sim}28ppm,\;Ni\;4.4{\sim}61ppm,\;Pb\;13{\sim}34ppm,\;Sr\;65{\sim}787ppm,\;V\;4{\sim}98ppm,\;Zr\;32{\sim}164ppm,\;Li\;21{\sim}827ppm,\;Co\;3.68{\sim}65ppm,\;Cr\;16.7{\sim}409ppm,\;Cs\;72{\sim}37.1ppm,\;Hf\;4.99{\sim}49.2ppm,\;Rb\;71.9{\sim}649ppm,\;Sb\;0.16{\sim}5.03ppm,\;Sc\;4.97{\sim}5ppm,\;Zn\;26.3{\sim}375ppm,\;Ce\;60.6{\sim}373ppm,\;Eu\;0.82{\sim}6ppm,\;Yb\;0.71{\sim}10ppm$의 범위를 보였다.

국내산 식물성 식품중 식이섬유 함량의 분석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in Korean Vegetable Foods)

  • 이경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5-231
    • /
    • 1993
  • 국내산 식물성 식품중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 54가지 시료에 대하여 섬유질 함량을 AOAC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신선물 기준시 식이섬유 및 조섬유 함량은 각각 곡류 $1.19{\sim}10.35%,\;0.19{\sim}1.28%$, 감자류 $1.12{\sim}1.81%,\;0.29{\sim}0.64%$, 두류 $2.05{\sim}18.14%,\;0.38{\sim}11.05%$, 신선채소류$0.99{\sim}7.42%,\;0.35{\sim}2.61%$, 가공채소류 $2.28{\sim}41.14%,\;0.97{\sim}20.96%$, 과일류 $0.19{\sim}2.91%,\;0.10{\sim}0.79%$, 견과종실류 $4.27{\sim}10.83%,\;0.96{\sim}4.62%$, 버섯류 $1.62{\sim}3.94%,\;0.79{\sim}0.89%$, 해조류 $28.70{\sim}38.19%,\;2.17{\sim}6.41%$, 조미료류 $4.65{\sim}6.67%,\;2.49{\sim}3.44%$였다. 식이섬유/조섬유 비율은 $2{\sim}13$으로서 식품 종류만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개개 식품에 대한 식이섬유 함량의 분석을 필요로 한다.

  • PDF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Sediments in the Konyang Area)

  • 박영석;박대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3호
    • /
    • pp.329-34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환경오염과 지질재해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 흐르고 있는 1차 수계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시료 178개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켰다. 시료는 알루미나 몰타르를 이용하여 200메쉬 이하로 분쇄하였고, XRD, XRF, ICP-AES, NA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 하상퇴적물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석영반암 지역, 퇴적암류 지역, 아노르도사이트 지역과 편마암류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곤양지역 하상퇴적물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41.86{\sim}76.74\;wt.%,\;Al_{2}O_{3}\;9.92{\sim}30.00\;wt.%,\;Fe_{2}O_{3}\;2.74{\sim}12.68\;wt.%,\;CaO\;0.22{\sim}3.31\;wt.%\;,MgO\;0.34{\sim}3.97\;wt.%,\;K_{2}O\;0.75{\sim}0.93\;wt.%,\;Na_{2}O\;0.25{\sim}1.92\;wt.%,\;TiO_{2}\;0.40{\sim}3.00\;wt.%,\;MnO\;0.03{\sim}0.21\;wt.%,\;P_{2}O_{5}\;0.05{\sim}0.38\;wt.%$이다. 하상퇴적물의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 함량은 $Cu\;7{\sim}102\;ppm,\;Pb\;15{\sim}47\;ppm,\;Sr\;48{\sim}513\;ppm,\;V\;29{\sim}129\;ppm,\;Zr\;31{\sim}217\;ppm,\;Li\;14{\sim}94\;ppm,\;Co\;5.6{\sim}32.1\;ppm,\;Cr\;23{\sim}259\;ppm,\;Cs\;1.7{\sim}8.7\;ppm,\;Hf\;2.1{\sim}109.0\;ppm,\;Rb\;34{\sim}247\;ppm,\;Sc\;4.5{\sim}21.9\;ppm,\;Zn\;24{\sim}609\;ppm,\;Sb;0.8{\sim}2.6\;ppm,\;Th\;3{\sim}213\;ppm,\;Ce\;22{\sim}1000\;ppm,\;Eu;0.7{\sim}5.3\;ppm,\;Yb\;0.6{\sim}6.4\;ppm$의 범위를 보인다.

시판 유청분말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ommercial Whey Powders)

  • 조수진;홍윤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1-155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수입 및 국산 유청분말 제품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석 및 측정을 하였다. pH는 수입한 유청분말의 경우에 $5.85{\sim}6.33$이었으며 국산제품의 경우에 $5.70{\sim}6.43$이었다. 적정산도는 수입 유청분말이 $0.11{\sim}0.18%$이었고 국산품이 $0.10{\sim}0.24%$이었다. 제품의 수분, 조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유당함량은 수입품의 경우에 각각 $1.31{\sim}2.10%,\;7.37{\sim}7.49%,\;11.54{\sim}12.14%,\;0.82{\sim}1.40%$, 그리고 $64.63{\sim}72.66%$이었으며 국산품의 경우에 각각 $2.11{\sim}2.81%,\;5.39{\sim}8.03%,\;10.41{\sim}20.03%,\;1.88{\sim}2.54%$, 그리고 $54.32{\sim}68.42%$로 나타났다. 활성 SH그룹의 함량은 수입한 유청분말의 경우에 $0.36{\sim}0.82{\mu}M/g$, 그리고 국산제품에서는$0.29{\sim}4.83{\mu}M/g$으로 측정되었다. 유청단백질의 용해성은 수입품에서는 $54.50{\sim}82.26%$, 그리고 국산품에서는 $26.93{\sim}68.44%$이었다. 유화능력과 유화안정성은 수입품의 경우 각각 $5.83{\sim}12.53cm^{2}/g$$10.24{\sim}12.45%$이었고 국산품의 경우 각각 $6.19{\sim}11.28cm^{2}/g$$7.28{\sim}9.93%$이었다. 거품능력과 거품안정성은 각각 수입품이 $4.34{\sim}5.54%$$0.49{\sim}0.66%$이었고 국산품이 각각 $2.56{\sim}4.24%$$0.15{\sim}0.35%$이었다.

  • PDF

대공간 구조형식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lassified Structural System in Long-Span Structures)

  • 양재혁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81-92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help to make decision of the appropriate structural types in long span structured building due to range of span. For the intention, based on 7 forces of structural element, it is analized the relationships among 6 configurations of structural element(d/1), 25 structural types, 4 materials, and span-length known with 186 sample from 1850 to 1996. 1) bending forces: $club(1/100{\sim}1/10),\;plate(1/100{\sim}1/10),\;rahmen(steel,\;10{\sim}24m)\;simple\;beam(PC,\;10{\sim}35m)$ 2) shearing forces: $shell(1/100{\sim}1/1000)\;hyperbolic\;paraboloids(RC,25{\sim}97m)$ 3) shearing+bending forces: plate, folded $plate(RC21{\sim}59m)$ 4) compression axial forces: club, $arch(RC,\;32{\sim}65m)$ 5) compression+tension forces: shell, braced dome $shell(RC,\;40{\sim}201m),\;vault\;shell(RC,\;16{\sim}103m)$ 6) compression+tension axial forces: $rod(1/1000{\sim}1/100)$, cable(below 1/1000)+rod, coble+rod+membrane(below 1/1000), planar $truss(steel,\;31{\sim}134m),\;arch\;truss(31{\sim}135m),\;horizontal\;spaceframe(29{\sim}10\;8m),\;portal\;frame(39{\sim}55m),\;domical\;space\;truss(44{\sim}222m),\;framed\;\;membrane(45{\sim}110m),\;hybrid\;\;membrane\;(42{\sim}256m)$ 7) tension forces: cable, membrane, $suspension(60{\sim}150m),\;cable\;\;beam(40{\sim}130m),\;tensile\;membrane(42{\sim}136m),\;cable\;-slayed(25{\sim}90m),\;suspension\;membrane(24{\sim}97m),\;single\;layer\;pneumatic\;structure(45{\sim}231m),\;double\;layer\;pneumatic\;structures(30{\sim}44m)$

  • PDF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겨울철 미꾸라지 성장에 관한 연구 (Misgurnus Anguillicaudatus Growing in Winter Season by Solar Thermal Heating)

  • 정현채;선경호;조재선;남상열
    • 태양에너지
    • /
    • 제11권3호
    • /
    • pp.31-36
    • /
    • 1991
  • 태양열 온수기로부터 획득한 $50{\sim}60^{\circ}C$의 온수를 이용하여 수온이 낮은 3, 4, 10, 11월은 물론 한 겨울철에도 미꾸리의 최적 성장온도를 유지시켰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전장 $4{\sim}5cm$, 체중 $1{\sim}2g$정도의 미꾸리의 최적 성장수온은 $18{\sim}20^{\circ}C$이고 $5{\sim}7cm,\;2{\sim}3g$인 것은 $20{\sim}22^{\circ}C$이고 $7{\sim}9cm,\;4{\sim}6g$인 것은 $22{\sim}24^{\circ}C$의 수온임을 알아냈다. 나. $1{\sim}3g$의 개체는 서서히 성장하나 $4{\sim}8g$의 것은 성장이 빠르고 총개체수의 무게 총량은 1개월간에 약 $30{\sim}50g$ 증가하였다.

  • PDF

태양(太陽)에너지를 이용(利用)한 겨울철 미꾸리 성장에 관한 연구(II) (Misgurnus anguillicaudatus(CANTOR) Breeding in Winter Season by Solar Thermal Heating(II))

  • 정현채;선경호;백용선
    • 태양에너지
    • /
    • 제12권3호
    • /
    • pp.94-10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실용화된 경희대 부설 태양에너지 연구소의 신 개발 태양열 온수기로부터 생산된 온수를 이용하여 수온이 낮은 3, 4, 10, 11월 중에는 물론 한 겨울철에도 미꾸리의 최적 성장온도를 유지시켰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장을 위한 최적수온은 체장이 $7{\sim}9cm$이며 체중이 $4{\sim}6g$인 미꾸리는 $21{\sim}23^{\circ}C$이고 체장이 $9{\sim}11cm$이며 체중이 $6{\sim}8g$인 미꾸리는 $23{\sim}25^{\circ}C$이고 체장이 $11{\sim}13cm$이며 체중이 $8{\sim}10g$인 미꾸리는 $25{\sim}27^{\circ}C$이었다. 체중이 $5{\sim}10g$이며 체장이 $8{\sim}13cm$인 미꾸리의 성장속도가 가장 빠르며, 체중이 15g이상이 되면 성장의 둔화를 보였다. 총 개체수의 무게 총량은 1개월간에 $50{\sim}80g$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