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엉덩관절 각도에 따른 PNF 하지굴곡패턴운동이 체간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NF Leg Flex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Hip Joint Angle on EMG Activity of the Trunk)

  • 기경일;조혁신;심선미;박현주;차현규
    • PNF and Movement
    • /
    • 제9권3호
    • /
    • pp.11-17
    • /
    • 201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leg flex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hip joint angle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trunk. Methods : Thirty healthy adul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ubjects were required to complete following the PNF leg flexion patterns on three different hip joint flexion $30^{\circ}$, $60^{\circ}$ and $90^{\circ}$. An surface electromyogram (SEMG) was used to record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trunk muscle in 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abdominal, external oblique abdominal, erector spina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 repeated measures of one-way ANOVA with post-hoc Bonferroni's correction. Result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MG activities of internal abdominal oblique and elector spinae musc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Conclusion : The result show that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trunk muscles significantly changed on PNF leg flexion patterns with difference hip joint angle. Therefore, this study used to basis for the intervention of the trunk muscle strength and stabilization.

The Application of Thera-band on Non-weight Bearing Leg Influence Hip Abductor Activities During Pelvic Drop Exercise in Patients With Gluteus Medius Weakness

  • Su-hwan Cha;Seok-hyun Kim;Seung-min Baik;Heon-seock Cyn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77
    • /
    • 2023
  • Background: The weakness of the gluteus medius (GM) is associated with various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increasing GM activity without synergistic domina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scribing pelvic drop exercise (PD). Isometric hip extension or flexion of the non-weight bearing leg using thera-band at the ankle during PD may influence hip abductor activities. Objects: To determine how isometric hip extension or flexion of the non-weight bearing leg using thera-band at the ankle during PD influences the activities of three subdivisions of GM (anterior, GMa; middle, GMm; posterior, GMp), tensor fasciae latae (TFL), contralateral quadratus lumborum (QL), and GMp/TFL, GMm/QL activity ratios in patients with GM weakness.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GM weakness were recruited. Three types of PD were performed: PD, PD with an isometric hip extension of the non-weight bearing leg (PDE), and PD with an isometric hip flexion of the non-weight bearing leg (PDF).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was used to measure hip abductor activities.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asses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uscle activities and muscle activity ratios. Results: GMa, GMm, and GMp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PDF than during PD and PDE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05; p = 0.004, p = 0.004; respectively). TFL activ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PDE than during PD and PDF (p < 0.001, p < 0.001, respectively). QL activ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PDF than during PD (p = 0.003). GMp/TFL activity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during PDE than during PD and PDF (p = 0.001, p = 0.001,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Mm/QL activity ratio. Conclusion: PDF may be an effective exercise to increase the activities of all three GM subdivisions while minimizing the TFL activity in patients with GM weakness.

정상인의 안면부 운동 시 표면근전도 측정 연구 (A Study of Surface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of Facial Muscles in Normal Person)

  • 이형걸;정다정;최유민;김석희;육태한;송범용;김종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51-63
    • /
    • 2014
  • Background o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surface Electromyography(sEMG) of facial muscles in normal person and to find method for standardizing of sEMG's value. Methods : We measured 3points on face, frontalis muscle($GB_{14}$), zygomaticus muscle($SI_{18}$), orbicularis oris muscle($LI_{19}$) of 40 normal person by sEMG. 40 normal person consist with two groups, each 20 male, 20 female. Average age of subject was $26.50{\pm}4.79$. SEMG instrument QEMG-4 XL was used. After training exercise of facial muscles, sEMG's root mean square value was measured once. Results : 1. In whole experimental group, frontalis muscle's both side average was $78.36{\pm}40.87$, zygomaticus muscle's both side average was $84.70{\pm}49.81$, orbicularis oris's both side average was $104.83{\pm}38.81$. 2. Left side of Frontalis muscle, both side of zygomaticus muscle are high marked in male than female in statistically. 3. In whole experimental group, average of ratio comparing smaller value with bigger value in difference between left side and right side was $19.60{\pm}12.88$ %. 4. Average of asymmetry index(AI) was $11.46{\pm}8.36$ %. orbicularis oris muscle's average of AI had least difference was $8.95{\pm}7.50$ %. zygomaticus muscle's average of AI had most difference was $13.95{\pm}8.90$ %. Conclusions :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f field of sEMG is used in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f facial muscles. To assess efficacy of treatment in facial muscles, we need to standardize facial muscle's sEMG values by using AI, ratio comparing values and etc.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이두박근의 운동단위 위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Motor Unit Location of Biceps Brachii Muscle using Surface Electromyogram)

  • 박중호;이호용;정철기;이진;김성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7권3호
    • /
    • pp.28-3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표면 근전도(surface electromyogram, SEMG)를 이용하여 운동단위(motor unit, MU)의 위치(location)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운동단위의 위치에 따라 운동단위 활동전위(motor unit action potential, MUAP), 나아가서는 표면 근전도의 크기(amplitude)가 변화하므로 운동단위의 위치 추정은 근력 추정에 있어서 중요하다. 제안된 방법은 표면근전도 시뮬레이션을 통해 취득한 기준 신호와 3 채널 표면전극을 이용하여 검출한 표면 근전도 신호를 비교하여 운동단위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운동단위 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취득한 MUAP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 및 기존 방법들을 적용하여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8[mm] 위치에 운동단위가 위치할 경우 본 논문에서 제안한 운동단위 위치 추정 방법은 0.01[mm]의 평균 추정 오차를 보였다. 반면에 Roeleveld가 제안한 추정 방법은 2.33[mm]의 평균 추정 오차를 보였으며 Akazawa가 제안한 추정 방법은 1.70[mm]의 평균 추정 오차를 보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운동단위 위치 추정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하여 더 정확한 위치 추정이 가능하였다.

신경근육 접합부의 종판 폭과 분포에 따른 운동단위 수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Numbers of Motor Unit related to the Widths and Distribution of Endplate in Neuromuscular Junction)

  • 이호용;김덕영;박중호;정철기;김성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5호
    • /
    • pp.81-9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표면 근전도(surface electromyogram : SEMG)와 근육모델링을 이용하여 신경근육 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 NMJ)의 종판(end plate) 폭(widths)과 분포(distribution)에 따른 운동단위(motor unit, MU)수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MU-시뮬레이터(motor unit simulator)와 EPZ-시뮬레이터(end plate zone simulator)를 설계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과 기존방법들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MU-시뮬레이터로 시뮬레이션 된 SMUAP(single motor unit action potential : 단일운동단위활동전위)와 CMAP(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 복합근활동전위)은 검출된 근신호와 유사하였다. EPZ-시뮬레이터는 신경근육 접합부의 종판 폭과 분포를 바꾸어 가면서 운동단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운동단위 수는 약 450 개, 근섬유수 약 340 개, 종판 폭은 약 6 mm이고, 종판분포는 불규칙하게 분포된 것 (randomly distributed)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인간 근육의 생체조직검사로 측정한 운동단위의 수와 비교 가능한 결과가 나왔다.

승마 운동과 McKenzie 운동이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허리통증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rse riding exercise, McKenzie Exercise on back pain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정남진;김기현;김현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02-509
    • /
    • 2020
  • 본 연구는 승마운동, 멕켄지운동과 짐볼운동이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허리기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판 허리기능장애지수 5점 이상이고 만성허리통증을 가지는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승마운동그룹 10명, 멕켄지운동그룹 10명, 짐볼운동그룹으로 분류되어 주 3회 6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후 통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허리기능장애지수를 사용하였으며, 허리안정화근육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였다. 또한 그룹 내 운동 전·후의 변화를 검증을 위하여 대응 t-검정을 실시하고, 세 그룹 간 운동 전·후 변화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허리기능장애지수와 근활성도 변화에서 그룹 내 운동 전·후의 변화와 그룹 간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p<.05). 승마운동과 멕켄지 운동이 모두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통증으로 인한 허리기능장애와 허리부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척수신경손상 환자의 보행훈련 전.후의 능동적 근육제어의 변화 (Voluntary Motor Control Change after Gait Training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 임현균;이동철;이영신;셔우드아더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3-14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보행훈련 전후에 실시된 보행속도 측정 결과와 누운 자세에서 능동적 발목 배굴시의 근전도 활동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9명의 불완전 척수손상 환자들이 3개월 동안 하루 20분 주 5회로 이루어진 체중부하 감소장치 및 트레드밀을 이용한 보행훈련 (STAT supper-ted treadmill ambulation training)에 참가하였다. 보행속도 실험과 능동운동 실험은 보행훈련 시작 및 종료된 시점의 동일한 날, 혹은 같은 주에 실시되었다. 환자의 능동운동시의 표면근전도 값을 측정하였고. 동일한 운동시 열명의 건강한 피실험자들로부터 측정된 근전도값을 기준값으로 비교하는데 사용하였다 하지 열곳의 근육에서 측정된 표면근전도 값은 반응벡터 (response vector)라고 명명되었고 크기 및 근육 제어 분포 패턴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척수손상 환자들의 보행속도는 0.47$\pm$0.35 m/s에서 0.68$\pm$0.52 m/s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근전도 해석결과에서는 우측 발목관절 배굴시에 근전도의 증가를 보인 6인의 환자들의 값은 109.7$\pm$148.5 $\mu\textrm{V}$에서 145.9 $\pm$ 180.7 $\mu\textrm{V}$ 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p〈0.055). 또한 좌측 발목의 배굴에서 측정된 근전도에서는 단 2명만이 상관계수와 근전도 증가를 보였다 보행훈련 후의 환자들의 근육 활동의 변화는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하였고. 보행훈련 후의 상태는 보행훈련 전의 상태에 매우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량적인 해석을 위해 새로 도입된 반응벡터의 사용은 척수손상 환자들의 보행훈련 전후에 환자의 상태를 평가. 예측, 혹은 훈련의 방향 설정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ne(chloroform)와 toluene 등이 가장 자주 검출되는 성분이었다. 대부분의 aromatic hydrocarbons, alkyl benzenes및 다른 유기용매 성분은 검출농도 이하이다.한 대사적인 문제와 생활 양식에 의한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BMI가 높은 노인들에게 부족되고 있는 영양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비타민 A, E B 복합체는 노인성 질병과 관련하여 그 기능이 규명되어야 할 영양소이다. 이는 항산화효소의 증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삼소와 PGE$_2$및 TXA$_2$등의 유의적인 감소가 유선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지방산 투여 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과 항산화 시스템이 유선암 세포에서는 상호기전적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나 이는 농도와 배양시간에 따른 CLA의 항암효과가 in vivo 실험에서 재검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장시간의 세포배양 실험시 PGE$_2$는 반감기가 짧고 다른 대사물로 쉽게 전환되는 불안전한 물질이므로 새로운 측정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더욱이 CLA에 의한 항암효과가 정확히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얻은 에이코사노이드 대사의 변화 등은 유선암 예방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들어가 면서 점차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대조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5, 10 $\mu\textrm{g}$ L$^{-1}$의 농도에 노출된 세포는 초기에 매우 낮은 탄소동화율을 보였으며, 5 $\mu\textrm{g}$ L$^{-1}$의 농도에 노출시킨 세포의 경우 12일째부터 단위세포 당 탄소동화율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