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HOME RANG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경북북부지역(울진) 산양(Naemorhedus caudatus) 암·수 한 쌍의 행동권 및 고도변화에 따른 행동권 분석 (Home Range Analysis of a Pair of Gorals (Naemorhedus caudatus) Using GPS Collar According to the Elevation Change, in the North Gyeongbuk Province(Uljin) of Korea)

  • 조재운;김기윤;김규철;김현민;안재용;이배근;박종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5-146
    • /
    • 2015
  • 경북북부지역 산양 암 수 한 쌍(n=2)의 연구를 통해 한국 산양의 복원 및 보전을 위한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산양 한 쌍의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서식지 이용특성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3년 6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울진 지역에서 GPS collar 발신기를 이용하여 1년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산양 한 쌍의 행동권은 MCP 95% $1.38{\pm}0.24km^2$, FK 95% $0.81{\pm}0.09km^2$, FK 50% $0.15{\pm}0.16km^2$로 분석되었다(t=8.118, p>0.05). 계절별 행동권은 MCP 95%에서 겨울 $0.74{\pm}0.31km^2$ > 봄 $0.71{\pm}0.27km^2$ > 가을 $0.61{\pm}0.06km^2$ > 여름 $0.27{\pm}0.04km^2$ (F=2.135 p>0.05)로 분석되어, 겨울의 행동권이 가장 크고, 여름이 가장 작았다. 서식지 이용특성 중 계절별 이용 평균고도는 수컷은 여름($440.18{\pm}71.32m$), 암컷은 봄($727.25{\pm}99.98m$), 가장 낮은 고도는 수컷은 봄($372.72{\pm}70.79$), 암컷은 가을($664.60{\pm}139.71m$)로 분석되어 계절별 차이를 나타내어, 암 수 모두 고도변화에 따른 연간 및 계절별 행동특성의 상관성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서식지 내 먹이와의 상관관계, 서식지 교란의 변화 양상 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경북북부지역 산양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Home range study of the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gyropus) using radio and GPS tracking in South Korea: comparison of daily and seasonal habitat use pattern

  • Kim, Baek-Jun;Lee, Sang-D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4호
    • /
    • pp.365-370
    • /
    • 2011
  • The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is one of the most primitive extant deer of the family Cervidae. Unlike Chinese water deer, Korean water deer have rarely been studied, even though they have relatively well remained in Korea. In particular, the home range of the Korean water deer has not yet been studied. Here we estimated the home range of the Korean water deer using two different methods (GPS and radio tracking) and analyzed the home range according to sex, time, and season. The mean home range size of four individuals was 2.77 $km^2$ and 0.34 $km^2$ under the 95% minimum convex polygon (MCP) and the 50% kernel (K) method, respectively. There seemed to be a difference in home range size between males (3.30 $km^2$) and females (2.25 $km^2$) under the 95% MCP method. We also found a difference in home range size between day (1.90 $km^2$) and night (2.43 $km^2$) by 95% MCP method. In addition, a home range size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ummer (4.65 $km^2$) and spring (0.48 $km^2$) or fall (0.85 $km^2$) using the 95% MCP method. Water deer seemed to have a larger home range in night than in day, and males also have a larger home range. We presumed that the GPS tracking method of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could be a very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ecology of the water deer using the radio tracking method. Using these tracking methods and through future research,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habitat use pattern of these water deer.

월악산국립공원 도입 방사된 암컷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행동 특성 (Activity characteristics of female gorals(Naemorhedus caudatus) introduced into Woraksan National Park)

  • 조재운;김규철;권구희;양정진;이배근;권철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50-656
    • /
    • 2014
  • 본 연구는 2008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월악산국립공원에 도입 방사된 암컷 산양 4개체의 행동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연간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고도별 이용 특징을 연구하였다. 도입 방사된 암컷 산양의 연간 행동권은 MCP 95% $1.13{\pm}0.32km^2$, FK 95% $0.37{\pm}0.18km^2$, FK 50% $0.07{\pm}0.03km^2$로 분석 되었고(t=0.607, p>0.05), 계절별 행동권 및 고도 이용특성은 MCP 95%에서 여름($0.77{\pm}0.06km^2$), 가을($0.73{\pm}0.26km^2$)로 행동권이 크며, 봄($0.58{\pm}0.38km^2$), 겨울($0.47{\pm}0.25km^2$)에 행동권이 감소하여 여름과 겨울 행동권의 차이를 보였고(F=3.868, P<0.05), 계절별 고도 이용 특성은 봄 435m(28.4%), 여름 464m(26.7%), 가을 414m(28.8%), 겨울 393m(21.2%)로 여름에 높은 고도로 이동하며 겨울철 고도가 낮은 지역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F=0.783, P>0.05). 본 연구에서 도입 방사된 암컷 산양 개체만 연구되어 전체적인 행동특성이라고 단정 할 수 없지만,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고도 분석 등으로 서식지 이용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GPS Collar를 이용한 멸종위기 한국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행동 특성 (Home Rang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Korea Gorals(Naemorhedus caudatus) With GPS Collar)

  • 조재운;권구희;양정진;임상진;이안나;박희복;이배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
    • /
    • 2014
  •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한국산 산양(n=3)의 생태 및 행동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에서 이루어졌다. 구조된 산양은 GPS Collar 발신기를 부착하여 구조된 원서식지에 재 방사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4,752개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연간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월별 이용 고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설악산 산양의 연간 행동권은 MCP 95% $0.88km^2$, MCP 50% $0.27km^2$, FK 95% $0.43km^2$, FK 50% $0.09km^2$로 계절별 행동권은 MCP 95%에서 봄 $0.47km^2$, 여름 $0.45km^2$, 가을 $0.63km^2$, 겨울 $0.50km^2$로, 가을 행동권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K 95% 분석을 통해서도 봄 $0.23km^2$, 여름 $0.19km^2$, 가을 $0.33km^2$, 겨울 $0.22km^2$로 가을철 행동권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암 수 연간행동권은 MCP 95% 수준에서 암컷 $1.03km^2$, 수컷은 $0.58km^2$로 분석되었다. 월별 이용 고도는 6, 7, 8월이 가장 높았으며 12, 1, 2월에 가장 낮은 고도를 이용했다. 본 연구는 산양의 서식지 관리 정책 및 복원과 보전을 위한 객관적 자료 확보 및 국내에서 수행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는 야생동물의 성공적인 복원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의 행동권 크기 및 서식지 이용 특성 연구 (The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Home Range Size and Habitat Use of the Asiatic Black Bear Released in Jirisan)

  • 양두하;김보현;정대호;정동혁;정우진;이배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7-434
    • /
    • 2008
  • 2004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 7개체를 무선추적하여 연간 행동권 크기를 분석한 결과, 95% MCP에서 반달가슴곰 암컷은 71.66$km^2$, 수컷은 90.20$km^2$로 분석되었다. 계절별 행동권 크기는 암컷곰이 봄 19.8$km^2$, 여름 30.48$km^2$, 가을 22.63$km^2$, 겨울 0.22$km^2$이었고, 수컷곰은 봄 33.47$km^2$, 여름 20.26$km^2$, 가을 23.23$km^2$, 겨울 0.78$km^2$이었다(F=4.193, P<0.05). 반달가슴곰의 행동권역중 약 38% 정도가 중첩되었고, 암컷간 12.5%, 수컷간 22.4% 정도가 중첩되었다. 서식지 평균 해발고도는 봄 744$\pm$236m, 여름 682$\pm$253m, 가을 937$\pm$218m, 겨울 975$\pm$137m로 분석되었다(F=8.526, P<0.001). 반달가슴곰의 행동권 크기와 위치는 주로 먹이의 분포와 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계절별 서식 환경특성, 연령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ovement patterns and home range of captive-bred Amur ratsnake (Elaphe schrenckii) juveniles in the natural habitat

  • Kim, Dae-In;Kim, Il-Hoon;Kim, Ja-Kyeong;Kim, Bin-Na;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1호
    • /
    • pp.41-50
    • /
    • 2012
  • To determine the movement patterns, home range, and use of structural features of captive-bred one- or two-year-old Amur ratsnake (Elaphe schrenckii) juveniles in the natural habitat, we radio-tracked a total of 11 juvenile snakes in a mountain valley in Chiak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between August 21 and September 20, 2010 and between June 13 and July 13, 2011. During the first week of the release, most juveniles moved short distances, daily, but they increased their distances after the first week. The body weight of the juvenile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movement rate (dividing the number of movements by the number of relocations), which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mean daily distances moved and the size of both a kernel 50% and 95% home rang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juveniles moved daily, approximately 17 m, and the size of the minimum convex polygon and the 50% and 95% kernel home ranges were 1.8 ha, 0.4 ha, and 3.0 ha, respectively. The released captive-bred juveniles were more frequently confirmed underground or on the ground rather than on rocks or on tre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body condition of released individuals, the seasonal time of the release, and the existence of available prey and shelters in the habita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releasing captive-bred Amur ratsnake juveniles for the rehabilitation of field populations.

전라남도 구례 농촌지역에서의 단기원격무선추적을 이용한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한 쌍의 행동권에 관한 연구 (A Brief Report of the Short-Term Home Range Study of a Pair of Raccoon Dogs(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a Rural Area of Gurye, Chonnam Province, South Korea Using Radiotracking Method)

  • 김백준;최태영;박종화;김영준;이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0-240
    • /
    • 2008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구례 농촌지역에 서식하는 1쌍의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행동권을 측정하고 이전 너구리 연구와 비교하는데 있다. 원격무선추적은 2개체의 너구리를 이용하여 2개월 간격(2000년 6, 8, 10, 12월)으로 2일씩 주기적으로 수행되었다. 모니터링 기간 동안, 무선추적은 주간과 야간에 걸쳐 보통 $1{\sim}3$시간 간격으로 실시되었다. 전체 $46{\sim}64$개의 무선추적 자료의 분석 결과는 95% 최소볼록다각형(MCP) 방법에서 1쌍의 너구리의 전체행동권 크기가 $0.41km^2$, 평균행동권 크기가 $0.32km^2$임을 보여주었다. 암컷과 수컷의 행동권은 상당 부분 중첩되었고(약 $70{\sim}95%$), 행동권 크기는 서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주간$(0.01km^2)$과 야간$(0.35km^2)$의 행동권 크기는 매우 큰 차이를 보였고, 여름$(0.56km^2)$에 가장 컸지만 겨울$(<0.01km^2)$에 가장 작았다. 추가적으로, 1쌍의 너구리는 1개의 핵심지역과 4개의 서로 다른 섭식지역들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개체들을 이용하여 하루 동안 더 빈번한 추적 수와 더 긴 추적 간격을 이용한 이 너구리 행동권 자료는 하루 동안 덜 빈번한 추적 수와 더 짧은 추적 간격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낙동강 상류에 서식하는 열목어의 일주기 이동 패턴 연구 (The Study on Daily Movement Patterns of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Inhabit in the Upper Part of the Nakdong River)

  • 김정희;윤주덕;조현빈;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48권2호
    • /
    • pp.139-145
    • /
    • 2015
  • 낙동강 상류에 서식하는 열목어의 여름철과 가을철 일주기 이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7개체의 열목어에 radio tag을 적용하여 약 2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열목어의 일일 평균 이동거리 (${\pm}SD$)의 경우 $182.4{\pm}79.2m$이며, 대부분의 개체가 1 km 이내의 거리를 서식범위로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기별 구분시 여름철의 일일 최대 이동거리 및 이동범위가 $550.5{\pm}75.5m$, $649{\pm}53m$로 가을철의 $283.8{\pm}55.1m$, $186{\pm}32m$와 비교하여 더 넓게 나타났다. 이처럼 열목어의 여름과 가을의 이동거리 및 범위는 상대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모두 서식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단거리 이동이었다. 본 연구 결과로 확인된 열목어의 시기별 일주기 이동은 열목어의 개체군 보존을 위한 노력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