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BAR 교육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SBAR 보고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능력 및 보고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성인간호학 실습 - (The Effects of SBAR Reports Education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Skill and Report Confident for Nursing Students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 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53-260
    • /
    • 2018
  • 본 연구는 SBAR(상황-배경-사정-제안) 보고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능력 및 보고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의 실험 연구로 G도 소재 간호대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3월 6일부터 4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빈도, pari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SBAR 보고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t=-8.12, p<.001), 의사소통능력(t=-4.37, p<.001) 및 보고자신감(t=-7.67, p<.001)이 SBAR 보고교육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능력 및 보고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임상실습에서 SBAR를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SBAR 적용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의료팀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Simulation training applying SBAR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skills)

  • 하이경;이윤주;이연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2호
    • /
    • pp.407-419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 적용에 중점을 둔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여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간호대학 3학년을 대상으로 호흡곤란 주제의 시나리오에 SBAR를 적용하는 사전, 사후시뮬레이션 진행 중 녹화된 25개의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SBAR 점수는 사후시뮬레이션에서 B단계의 '가장 최근에 측정한 활력징후 보고' 항목 (Z=-2.448, p=.014)과 '간호사가 판단한 상황' 항목 (Z=-3.46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SBAR 단계별 진행빈도는 사전시뮬레이션에서 SBA나 SBAR 단계로 진행된 경우가 없었으나 사후시뮬레이션에서는 48%로 증가하였다. 사후시뮬레이션에서 언급된 SBAR 평가항목별 빈도는 S단계의 환자이름 (96%), 간호사이름 (80%), B단계의 가장 최근에 측정한 산소포화도 (76%), S단계의 주증상 (60%)의 순서였다. 그러나 A단계에서 추가사정을 통한 간호사의 판단결과를 제시하는 것과 R단계의 추가처방 요청이나 의사의 직접 환자방문 요청은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SBAR 적용이 포함된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사와 의사간의 의사소통교육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 추후 의사와의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이 필요한 시뮬레이션교육에서 SBAR 적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se-Based SBA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박수진;최효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26-4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일개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8일부터 2018년 1월 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사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전조사, 3회기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사후조사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대인관계 정도는 만족함이 75.0%, 전공만족도는 만족 54.4%로 나타났으며,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성향(t=-2.734, p=.007), 의사소통능력(t=-4.237, p<.001)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SBAR를 이용한 단계별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시나리오와 간호사례기반 역할극을 중심으로 (Effect of Stepwise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among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Scenarios and Nursing Case-based Role Playing)

  • 노윤구;이인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12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tepwise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cenarios and nursing case-based role playing.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one-group repeated measure ANOVA. Participants were 27 nursing students in practice. Students participated in 5-week stepwise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including 1 week of lecture education, 4 weeks of scenarios and nursing case-based role playing. The data were collected at each level of the education process: pre-education, after 1 week of lectures, and after completion of scenarios and nursing case-based role playing.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determine changes in SBAR technique knowledge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Results: The stepwise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BAR technique knowledge,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The lecture-based education was effective only in the area of SBAR technique knowledge and its subscale, attitudes towards SBAR. However, scenarios and nursing case-based role playing was broadly effective across communication self-efficacy, SBAR technique knowledge, and its subscale, knowledge of the SBAR.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that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effect of long-term SBAR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scenarios and nursing case-based role playing in nursing students' practice.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간의 간호과정 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Nursing process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BAR technique knowledge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Alternative clinical practicum)

  • 이외선;임정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05-614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간의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임상실습에 참여한 간호학과 3학년 학생 20명,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에 참여한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test,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교육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상실습에서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SBAR 기술지식이 유의하게 높았고,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에서는 간호학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비판적사고성향과 SBAR 기술지식이 높았고, 학점이 높을 때 비판적사고성향이 높았다. 향후 팬데믹 상황에 대비하여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비판적사고성향 및 SBAR 기술지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화된 임상실습대체 실습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SBAR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applying SBAR for Nursing Students on Communication Clarity, Self-Confidence in Communication,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 조헌하;남금희;박정숙;정효은;정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3-8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이 의료인들과 인수인계 시 명확한 정보전달에 어려움이 있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SBAR 적용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하여 그들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전후설계실험연구이다. 산모와 신생아의 응급상황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실습과 SBAR교육을 접목하여 의료진에게 응급상황에 대해 명료하고 간략하게 핵심을 전달하고,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1개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91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2월 18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실습 후에 측정한 의사소통 명확성(t=-3.99, p<.001), 의사소통 자신감(t=-8.60, p<.001), 임상의사결정능력이(t=-4.66,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예비의료인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임상현장에서의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SBAR를 적용한 시뮬레이션실습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전문성을 고취시키고, 임상현장에서의 적응력을 높이고자 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크다. 또한 간호교육현장에서 의료인들 간의 의사소통을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실습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임상실습에서도 SBAR보고방법이 숙련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기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 확성, 의사소통만족도, 보고자신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BAR Report Education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Satisfaction, Reporting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정애화;김지영;문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29-114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 만족도, 보고자신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이며 2개 대학교에서 임상실습을 6주 이상 완료한 3학년을 편의 추출하였다. 대상자 수는 SBAR 보고교육을 받은 103명과 교육을 받지 않은 113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명확성과 의사소통능력은 양의 상관관계(r=.52, p<.001)가 있었고, 보고자신감은 의사소통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3, p<.001)가 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보고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명확성(𝛽=.29, p<.001), 의사소통만족도(𝛽=.43, p<.001), 보고자신감(𝛽=.15, p=.009)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49.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실습 중 실무능력을 파악하여 보고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제도와 교수방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간호대학생의 SBAR를 이용한 의사소통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Use of SBAR in Communication for Domestic Nursing Students)

  • 이미진;김화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71-182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연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체계적 고찰이다. 문헌검색은 2023년도 6월까지 출간된 논문으로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DBpia, KCI를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간호대학생', '간호', 'SBAR', '의사소통'을 사용하였다. 총 57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최종적으로 17편이 포함되었다. 측정된 결과 변수는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신감, 비판적 사고능력, 자기효능감, 보고 자신감, 임상판단력, 의사소통 만족도 등에 대부분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었으나 일부 연구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도 확인되었다. 이에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의 툭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효과를 평가하여 향후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의 후속 연구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SBAR 기반 시뮬레이션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보고자신감, 의사소통능력, 간호역량 및 디브리핑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BAR based Simulation Practice on Reporting Confidence, Communicative Competence, Nursing Competence, and Debrief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박미마;신은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703-711
    • /
    • 2024
  • 본 연구는 SBAR 기반 시뮬레이션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보고자신감, 의사소통능력, 간호역량 및 디브리핑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일지역의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실습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시뮬레이션실습 전·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3년 10월 30일부터 12월 22일까지 수집하였으며,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Shapiro-Wilk 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고자심감은 교육 실시 전 평균 5.79±1.47점에서 교육 후 평균 7.13±1.56점이었고, 의사소통능력은 교육 전 평균 3.62±0.44점에서 교육 후 평균 4.34±0.67점이었으며, 간호역량은 교육전 평균 2.64±0.39점에서 교육 후 평균 3.26±0.51점이었고, 디브리핑 만족도는 교육 전 평균 3.57±0.51점에서 교육 후 평균 4.18±0.58점이었다. SBAR 기반 시뮬레이션실습 교육 전·후 보고자심감(t=2.84, p=.006), 의사소통능력(t=-3.28, p=.001), 간호역량(t=-8.16, p<.001), 디브리핑 만족도(t=2.72,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에게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은 저학년 교육과정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간호역량 향상을 위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습 상황에서도 SBAR 의사소통을 활용한 보고 교육 강화 및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 대상의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Handoff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for Nursing Students and Its Effect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 도지영;신수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7-126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ndoff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examine the effects of it on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n=31) received handoff education using SBAR; the control group (n=31) received non-SBAR handoff educati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abilit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efficacy (p<.001), and communication ability (p=.02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between the groups (p=.618).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ndoff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i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