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REDUCTION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37초

텀블링 공정 후 침지기간이 간장첨가 삶은 돈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ersion Period after Tumbling Processing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Boiled Pork Loin with Soy Sauce)

  • 최윤상;정종연;최지훈;이미애;이의수;김학연;한두정;김진만;김천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379-385
    • /
    • 2006
  • 본 연구는 텀블링 공정 후 침지 기간에 따른 간장 첨가 삶은 돈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전통적인 조리법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돈육을 텀블링 공정 후 침지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와 1, 5, 10일 동안 침지 후 시료를 Nylon/PE bag에 넣어 중심온도가 $75^{\circ}C$될 때까지 가열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돈육의 텀블링 처리 후 침지기간에 따른 가열 수율 변화는 대조구보다 텀블링 처리 후 침지기간이 경과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두께 감소율과 직경 감소율의 경우 대조구보다 텀블링 처리 후 침지기간이 경과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분과 보수력의 경우도 텀블링 처리 후 침지기간이 경과 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단력은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의 변화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텀블링 후 최소한 1일 이상 침지를 함으로써 관능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추출물 첨가가 저염, 저지방 돈육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s on the Qualities of Low Salt and Low Fat Pork Sausage)

  • 김일석;진상근;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88-595
    • /
    • 2011
  • 본 실험은 홍삼추출물의 농도별 처리를 통한 저염, 저지방 소시지 개발을 위하여 무처리(C),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0.1%(V), 홍삼추출물(RGE) 0.5%(T1), 1%(T2) 및 1.5% (T3)를 첨가하여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pH, 가열감량, CIE $b^*$은 T3처리구가 다른 시험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01). 명도(CIE $L^*$) 및 적색도(CIE $a^*$)는 낮게 낮아졌다(p<0.001). 또한, T3이 C보다 경도(hardness) 및 표면경도(surface hardness)가 낮게 나타났으나(p<0.01), 응집성(cohesiveness)은 RGE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검사 측정결과 향기에서 T2 및 T3이 C 및 V보다 높게 나타내었지만(p<0.05), 육색,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시험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저장 1, 2 및 3주차의 TBARS에 있어 T3가 다른시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1), T2 및 T3는 저장기간 동안 TBARS의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내지 않았다(p>0.05). VBN 및 총균수는 저장 3 및 4주차에는 RGE처리구가 C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 1% 이상의 RGE첨가구가 지방산화, 향기, 미생물학적 측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Water relations of plants under environmental stresses: role of aquaporins

  • Kang, H.S.;Ahn, S.J.;Hong, S.W.;Chung, G.C.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한일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엄
    • /
    • pp.71-80
    • /
    • 2005
  • Effects of low temperature ($8^{\circ}C$)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young roots of a chilling-sensitive (cucumber; Cucumis sativus L.) and a chilling-resistant (figleaf gourd; Cucurbita ficifolia Bouche) crop have been measured at the levels of whole root systems (root hydraulic conductivity, $Lp_r$) and of individual cortical cells (cell hydraulic conductivity, Lp). In figleaf gourd, there was a reduction only in hydrostatic $Lp_r$ but not in osmotic $Lp_r$ suggesting that the activity of water channels was not much affected by low root temperature (LRT)treatment in this species. Changes in cell Lp in response to chilling and recovery were similar asroot level, although they were more intense at the root level. Roots of figleaf gourd recovered better from LRT treatment than those of cucumber. In figleaf gourd, recovery (both at the root and cell level) often resulted in Lp and $Lp_r$ values which were even bigger than the original, i.e. there was an overshoot in hydraulic conductivity. These effects were larger forosmotic (representing the cell-to-cell passage of water) than for hydrostatic $Lp_r$. After a short term (1 d) exposure to $8\;^{\circ}C$ followed by 1 d at $20\;^{\circ}C$, hydrostatic $Lp_r$ of cucumber nearly recovered and that of figleaf gourd still remained higher due to the overshoot. On the contrary, osmotic $Lp_r$ and cell Lp in both species remained high by a factor of 3 as compared to the control, possibly due to an increased activity of water channels. After pre-conditioning of roots at LRT, increased hydraulic conductivitywas completely inhibited by $HgCl_2$ at both the root and cell levels. Different from figleaf gourd, recovery from chilling was not complete in cucumber after longer exposure to LRT. It is concluded that at LRT, both changes in the activity of aquaporins and alterations of root anatomy determine the water uptake in both species. To better understand the aquaporin function in plants under various stress conditions, we examined the transgenic Arabidopsisand tobacco plants that constitutively overexpress ArabidopsisPIP1;4 or PIP2;5 under various abiotic stress condit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rates were found between the transgenic and wild-type plants under favorable growth conditions. By contrast, overexpression of PIP1;4 or PIP2;5 had a negative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under drought stress, whereas it had a positive effect under cold stress and no effect under salt stress. Measurement of water transport by cell pressure probe revealed that these observed phenotypes under different stress condition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ability of water transport by each aquaporin in the transgenic plants.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PIP-type aquaporins play roles in seed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stress response of Arabidopsis and tobacco plants under various stress condition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single aquaporin-mediated water transport in these cellular processes.

  • PDF

가리(加里)의 시용(施用)이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ifferent Potassium Sources on the Ammonia Volatilization from Soils under Flooded Condition)

  • 오왕근;김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3
    • /
    • 1981
  • 요소(尿素)와 병용(倂用)된 염화가리나 황산가리(黃酸加里)가 담수(湛水) 치원조건하(置元條件下)에서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에 주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爲)하여 pH가 낮은 (4.85) 산성식질답토양(酸性埴質畓土壤)과 pH가 높은(6.70) 간척지사질식양토(干拓地砂質埴壤土)를 공시(供試)하여 질내(窒內)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산성토양(酸性土壤)에 사용(使用)한 가리(加里)는 pH를 높이고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을 증가(增加)하였다. 2. pH가 높은 간척지염류토양에서는 가리(加里)의 시용(施用)으로 pH를 낮추고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을 줄이는데 그 효과는 황산가리(黃酸加里)가 염화가리보다 컸다. 3. 황산가리(黃酸加里)보다 염화가리를 시용(施用)한 토양(土壤)에서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pH가 높은 간척지토양(干拓地土壤)에서는 염화가리의 이 효과가 높은 염농도에 덮여 버리는 것 같다. 4. 요소(尿素)는 토양(土壤)의 pH를 크게 높였다. 산성(酸性) 토양(土壤)에서는 황산가리(黃酸加里)가 염화가리보다 토양(土壤)의 pH를 더 높였으나 원래(原來)의 pH가 높은 간척지토양(干拓地土壤)에서는 반대(反對)로 황산가리(黃酸加里)가 염화가리보다 pH를 낮추었다. $SO_4$의 환원(還元)에 기인(基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량 수준이 멜론의 생육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rtilization Level by Soil Testing on Plant Growth and Fruit Quality in Melon (Cucumis melo L.))

  • 황미란;김희은;권준국;조명환;최효길;강남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2-166
    • /
    • 2013
  • 토양검정 후 시비수준이 멜론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추천 시비량을 줄이면 엽면적과 과실 무게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면적은 추천시비량의 100% 시비구에 비해 0%와 50% 시비구에서 각각 54.1%와 24.5% 감소하였다. 과실무게는 추천 시비량의 100% 시비구에서 2670g인데 비해 0과 50% 시비구에서 각각 1650g과 2140g으로 38.2%와 19.9% 감소 하였다. 그러나 가용성 고형물과 자당 함량은 100% 시비구에 비해 50% 시비구에서는 각각 1.8%와 23.3% 증가하였다. 따라서 멜론 재배시 토양검정 후 추천 시비량의 50%만 시비하여도 엽수, 초장 및 엽면적 등의 생육과 평균과중에 감소가 없어 당도가 높은 멜론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비량을 줄임으로써 염류집적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Plasma Osmolality Controls Dry Forage Intake in Large-type Goats

  • Thang, Tran Van;Sunagawa, Katsunori;Nagamine, Itsuki;Ogura, G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8호
    • /
    • pp.1069-1085
    • /
    • 2011
  • In large-type goats that were fed on dry forage twice daily, dry forage intake was markedly suppressed after 40 min of feeding had elap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ether or not increases in plasma osmolality and subsequent thirst sensations produced by dry forage feeding suppress dry forage intake. Eight large-type male esophageal- and ruminal-fistulated goats (crossbred Japanese Saanen/Nubian, aged 3 to 6 years, weighing $72.3{\pm}2.74$ kg) were used in two experiments conducted under sham feeding conditions. The animals were fed ad libitum a diet of roughly crushed alfalfa hay cubes for 2 h from 10:00 to 12:00 h during two experiments. Water was withheld during feeding in both experiments but was available for a period of 30 min after completion of the 2 h feeding period. In experiment 1, an intraruminal infusion of artificial parotid saliva (RIAPS) in the control replenished saliva lost via the esophageal fistula and an intraruminal infusion of hypertonic solution (RIHS) in the treat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reproduce the effects of changing salt content due to feed entering the rumen. In experiment 2, the RIHS control was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IHS treatment of experiment 1. The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RIHS-with an intravenous infusion of artificial mixed saliva (VIAMS) treatment that was carried out for 3 h to prevent increases in plasma osmolality during feeding. The results of the RIHS treatment in experiment 1 showed that ruminal fluid osmolality increased and then an increase in plasma osmolality was observed. Thi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thirst sensations and the reduction of cumulative dry forage intake to 43.3% (p<0.05) of the RIAPS control. The results of the RIHS-VIAMS treatment in experiment 2 indicated that ruminal fluid osmolality was the same as the RIHS control but plasma osmolality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irst level was markedly reduced. Thi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of 31.4% (p<0.05) in cumulative dry forage intake in the RIHS-VIAMS treatment compared to the RIHS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s in ruminal fluid osmolality during dry forage feeding indirectly suppresses dry forage intake by causing an increase in plasma osmolality and subsequently inducing thirst sensa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arked decreases in dry forage intake after 40 min of feeding are caused by increases in plasma osmolality and subsequent thirst sensations produced by dry forage feeding.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특성 (Salinity Distrib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Han River Estuary)

  • 박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9-166
    • /
    • 2004
  • 한강 하구의 염분 및 생태 환경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발표된 논문과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한강 하구의 염분 분포 특성을 구명하였으며, 염분과 연관하여 동식물플랑크톤, 저서생물 및 어류플랑크톤의 분포를 논의하였다. 염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고려할 때 인천북항 주변 해역은 계절에 무관하게 연중 한강 유입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담수 유입량이 많은 하계에는 팔미도 해역까지 담수 영향권이 확대되었다. 반면 해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상한선은 한강 본류인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의 신곡수중보에 이르며, 해침이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수역은 이보다 더 하류인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로 판단된다. 동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담수 및 해수 지역에서 혼재되어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염분의 분포 범위보다 훨씬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기수성 어류플랑크톤은 매우 제한된 수역에 분포하는 반면, 성어는 그 분포범위가 담수에서 해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경험적 분석에 의한 한강하구 환경의 문제점은 1)한강 하구 및 유수지역의 개발 압력에 따른 환경 파괴, 2)갯벌 매립에 의한 조간대 상실, 3)군사용 철책에 의한 육수전이환경(陸水轉移環境)의 생태적 단절이 매우 심각하였다.

  • PDF

SOD와 APX를 동시에 엽록체에 발현시킨 형질전환 감자 (cv. Superior)의 산화스트레스 내성 증가 (Enhanced Tolerance to Oxidative Stress of Transgenic Potato (cv. Superior) Plants Expressing Both SOD and APX in Chloroplasts)

  • 탕리;권석윤;김명덕;김진석;곽상수;이행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299-305
    • /
    • 2007
  • 산화스트레스 유도성 SWPA2 프로모터 조절하에 항산화 효소 SOD와 APX 유전자를 동시에 엽록체에 발현시킨 형질전환 감자 (품종 수미)를 대상으로 methyl viologen (MV)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스트레스 내성을 잎절편체, 소식물체 및 식물체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잎 절편에 $3{\mu}M$ MV를 처리하였을 때 SSA 식물체의 잎절편체는 비형질전환 (NT) 식물체에 비해 40% 정도 상해를 적게 받았다. 소식물체 수준에서 MV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SSA감자 shoot을 $0.3{\mu}M$ MV 첨가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뿌리의 생장에서 내성이 나타났다. 또한 온실에서 4주 생장한 식물체에 $350{\mu}M$ MV를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SSA 식물체는 NT 식물체에 비해 약 75% 손상을 적게 입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추후 SSA 식물체를 이용하여 건조, 고온 등의 복합재해에 내성을 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그 결과 복합스트레스 내성 감자 품종 (수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mal Inactivation of Sodium-Habituated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Heat Sauces

  • Park, Ahreum;Lee, Jinhee;Jeong, Sook-Jin;Hwang, In-Gyun;Lee, Soon-Ho;Cho, Joon-Il;Yoon, Yo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3-71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dium habituation on thermal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various ready-to-heat (RTH) sauces. The strain mixture of S. aureus strains KACC10768, KACC10778, KACC11596, KACC13236 and NCCP10862 was habituated up to 9% of NaCl. The inocula of NaCl-habituated and non-habituated S. aureus were inoculated in 5 g portions of pork cutlet, meat and Carbonara sauces at 7 Log CFU/g, and the samples were vortexed vigorously. The inoculated samples were then exposed to 60 and $70^{\circ}C$ in a water-bath, and survivals of total bacteria and S. aureus were enumerated on tryptic soy agar and mannitol salt agar, respectively, every 30 min for 120 min. At 60oC, the cell counts of total bacteria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s between sodium-habituated and non-habituated S. aureus were observed only in the Carbonara sauce; the tailing effect, which is the period of no reduction of bacterial cell counts, was observed in pork cutlet, meat and Carbonara sauces subjected to $60^{\circ}C$. At $70^{\circ}C$, total bacterial populations and sodium-habituated and non-habituated S. aureus cell counts in meat and Carbonara sauc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fter 30 min of heat treatment, followed by the obvious tailing effect. Sodium-habituated S. aureus cell counts in meat and Carbonara sauces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non-habituated S. aureus at $70^{\circ}C$. The results indicate that sodium habituation of S. aureus cells may increase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pathogen in RTH sauces; moreover, heating RTH sauces for a short time before serving may not sufficiently decrease the cell counts of S. aureus, particularly for sodium-habituated strain.

신간척지에서 염해경감 및 등숙률 향상을 위한 완전낙수시기 구명 (Establishment of Perfect-Drainage Period for Reduction of Salt Injury and Improvement of Grain Filling Ratio in the Newly Reclaimed Land)

  • 최원영;양창휴;이장희;김택겸;정재혁;최민규;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7-181
    • /
    • 2011
  • 본 연구는 신간척지에서 적정 완전낙수시기를 구명함으로써 안정적인 수량확보 및 미질향상을 하기 위하여 완전낙수시기를 출수 후 25일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처리하여 신간척지인 새만금 계화포장에서 수행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10년 출수 후 적산온도는 평년대비 수확기를 기준으로 $100^{\circ}C$ 정도 높았고 강수량은 약간 적었다. 2. 평균 주당수수는 16.5개 이었고, 수당입수는 88개 이었다. 3. 출수 후 40~50일 낙수처리가 출수 후 25~35 일 낙수처리보다 등숙비율은 3% 정도 높았고 현미천립중은 0.6 g정도 무거웠다. 4. 쌀수량은 출수 후 25일 낙수 대비 30~35 일 낙수에서는 유의차가 없었고, 40~50일 낙수에서는 7~8% 증수하였다. 5. 완전립비율은 출수 후 35 일 낙수에서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조기 낙수할수록 낮았다. 6. 토양수분과 토양경도는 고도의 부의상관이 있었고, 완전낙수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토양중 EC는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신간척지에서 안정적인 쌀 수량 확보를 위한 적정 완전낙수시기는 출수 후 40~50 일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