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500

검색결과 5,381건 처리시간 0.036초

Sn-Ag-Cu-In 4원계 무연솔더 조인트의 고속 전단 특성 (High-Speed Shear Test Characterization of Sn-Ag-Cu-In Quaternary Solder Joint)

  • 김주형;현창용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1-9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속 전단시험의 변형속도를 500 mm/s로 설정한 상태에서 Sn-Ag-Cu계(Sn-1.0wt.%Ag-0.5Cu 및 Sn-4.0Ag-0.5Cu)뿐만이 아니라 4종의 4원계 Sn-Ag-Cu-In 조성(Sn-1.0Ag-0.5Cu-1.0In, Sn-1.2Ag-0.5Cu-0.4In, Sn-1.2Ag-0.5Cu-0.6In, Sn-1.2Ag-0.7Cu-0.4In)을 포함하는 무연 솔더 접합부의 솔더링 직후 및 시효 시간에 따른 파면 생성결과, 접합강도 및 접합부 파괴에너지값의 변화를 측정,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리플로우 솔더링 직후 및 $125^{\circ}C$에서의 500 시간 시효까지 주로 연성 파괴모드 및 준연성 파괴모드가 관찰되었으며, 준연성 파괴모드의 발생 빈도를 분석할 때 고속 전단조건에서 상용 무연 솔더 조성인 Sn-3.0Ag-0.5Cu 이상의 연성파괴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4원계 무연 솔더 조인트는 평균적으로 Sn-Ag-Cu계 조성 수준의 파단에너지값을 나타내었는데, 약 100 시간의 시효 후 최고의 파단에너지값이 관찰되었으나 500 시간의 시효 후에는 파단에너지값의 확연한 감소가 관찰되어 500 시간의 시효시점부터 솔더 접합 계면부의 신뢰성 감소가 가속화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식방풍 잎의 DSS로 유도한 궤양성 대장염 완화 효과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Leaf Alleviates the Symptoms of Dextran Sulfate Sodium 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Mice)

  • 정호경;정원석;안병관;강병만;여준환;차선우;박춘근;조정희;조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21-428
    • /
    • 2014
  • ICR웅성마우스에 5% DSS로 궤양성 대장염을 유발시킨 후, 정상대조군, 궤양유발군, 양성대조군 및 식방풍 잎 추출물 투여군의 궤양성 대장염에 미치는 효과를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방풍 잎 추출물 투여군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체중감소 완화 효과를 나타냈지만,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식방풍 잎 추출물 투여군의 대장조직 및 비장변화는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3. 식방풍 잎 추출물 투여군은 혈중내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대장조직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1.8V 8-bit 500MSPS Cascaded-Folding Cascaded-Interpolation CMOS A/D 변환기의 설계 (Design of an 1.8V 8-bit 500MSPS Cascaded-Folding Cascaded-Interpolation CMOS A/D Converter)

  • 정승휘;박재규;황상훈;송민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3권5호
    • /
    • pp.1-1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1.8V 8-bit 500MSPS CMOS A/D 변환기를 제안한다. 8-bit 해상도, 고속의 샘플링과 입력 주파수, 그리고 저 전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Cascaded-Folding Cascaded-Interpolation type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속 동작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의 Digital Encoder, Reference Fluctuation을 보정하기 위한 회로, 비교기 자체의 Offset과 Feedthrough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Averaging Resistor, SNR을 향상시키기 위한 Distributed Track & Hold를 설계하여 최종적으로 500MSPS의 A/D 변환기 출력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8V의 공급전압을 가지는 $0.18{\mu}m$ 1-poly 5-metal N-well CMOS 공정을 사용하였고, 소비전력은 146mW로 Full Flash 변환기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제작된 칩은 측정결과 500MSPS에서 SNDR은 약 43.72dB로 측정되었고, Static상태에서 INL과 DNL은 각각 ${\pm}1LSB$ 로 나타났다. 유효 칩 면적은 $1050um{\times}820um$의 면적을 갖는다.

한국산과 미국산 프로폴리스의 항돌연변이 및 항균효과 (Antimutagen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orean and American Propolis)

  • 장일웅;박정섭;권형철;정문웅;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94-699
    • /
    • 2009
  •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균효과를 시험하여 국내산과 미국산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항돌연변이 활성은 Ames test로, 항균활성은 여드름 형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P.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paper disk 법과 agar dilution 법으로 평가하였다. S. Typhimurium TA98 균주에 있어서 $1-200\;{\mu}g$/plate 농도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Trp-p-1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에 대해 국내산 0.9-91.3%, 미국산 0.5-104.2%, 2-AA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에 대해서는 국내산 37.6-94.4%, 미국산 21.0-97.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용량 의존적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paper disk 법으로 평가했을 때 P.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해 70% 에탄올 추출물의 $5,000\;{\mu}g$/paper disk 농도에서의 생육 저지환의 크기는 국내산이 각각 5.7, 5.9, 6.8, 5.2 mm, 미국산이 각각 5.7, 6.2, 6.7, 5.9 mm이었다. Agar dilution 법으로 평가한 MIC는 P. acnes, P. aeruginosa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해 국내산, 미국산 모두 5,000, 1,500, 1,500, $1,500\;{\mu}g/mL$로 나타났다.

Bisphenol A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Capable of Degrading Bisphenol A)

  • 김희식;이영기;이완석;박찬선;윤병대;오희목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9-196
    • /
    • 2001
  •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잘 알려진 bisphenol A (BPA)를 단일탄소원으로 이용하여 균체성장을 나타내는 미생물 87주를 공단주변의 토양, 폐수 혹은 활성슬러지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 중 균체성장이 우수한 균주 8중을 2차 분리하였으며, 이 중 BPA분해효율이 뛰어난 3종의 균주를 BPA분해미생물로 최종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3종의 균주를 16s rDNA의 부분적 염기서열 및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조사를 통해 Serratia maycescens 1901, S, marcescens 1902 그리고 Pseudomanas putida 1401로 동정되었다. BPA분해능은 HPLC분석을 통해 배양액중의 잔존 BPA 농도로 측정하였으며, 최종 선별된 3종의 균주를 대상으로 BPA가 100 mg/1흑은 500 mg/l의 농도로 포함된 최소 무기염 배지(PAS)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PAS인 PAV 배지에서 배양하여 BPA 분해능을 조사한 결과 20-40%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의 균체성장은 PAS 배지에서 보다 PAV배지에서 우수하였다. S. marcescens 1901은 저농도(100 mg/l) BPA에서 분해효율이 다른 2종의 균주보다 우수하였고, S. marcescens 1902와 P. putida 1401은 고농도(500 mg/l)에서 BPA분해효율이 높았다. 선별된 3균주의 순수배양과 흔합배양에 의한 BPA분해효율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화분분석에 기초한 후빙기 영종도의 환경변화 (Reconstruction of Post-Glacial Environmental Changes in Yeongjong-do Island Based on Palynological Evidences)

  • 박지훈;박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5
    • /
    • 2012
  • 인천 영종도 남부 해안충적평야의 퇴적층을 대상으로 화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채취 지점(해발고도 7.2m)은 현재 냉온대 중부 낙엽활엽수림대에 속한다. 화분분석에 의해 밝혀진 조사지역 일대의 약 8,900yrBP 이후의 후빙기 환경변화는 다음과 같다. JS-I기(약 8,900~8,500yrB.P.)는 Pinus와 Quercus가 우점하고 일부 Abies와 Picea가 포함된 냉온대 북부의 침활혼효림 시대로서 후빙기 초기의 화분대인 RI대에 대비된다. 이 시대는 현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랭 건조 했다. JS-II기(약 8,500~4,000yrB.P. 어느 시기)는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로서 후빙기 중기 화분대인 RII대에 대비된다. JS-III기(약 4,000yrB.P.경)는 Pinus, Quercus 및 Carpinus가 우점하는 침활혼합림 시대이다. JS-II기와 JS-III기는 JS-I기 보다 상대적으로 온난 습윤했으며, 현재의 기후환경과 유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JS-IV기(약 4,000~900yrBP의 어느 시기)는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로서 후빙기 후기 화분대(RIII) 중에서 RIIIa에 대비된다. JS-V기(약 900yrB.P.~현재)는 2차림인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이다. 이 시대는 수목화분보다 초본화분의 출현율이 높고, 초본류 중에서 Fagopyrum 화분이 연속적으로 출현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인간간섭대인 RIIIb에 대비된다. JS-V기부터 조사지역 일대의 거주민들은 본격적인 농경생활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나노 흡착제가 Li/S 이차전지용 유황양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Nano-sized Adsorbing Material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ulfur Cathode for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 송민상;한상철;김현석;안효준;이재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259-269
    • /
    • 2002
  • A battery based on the lithium/elemental sulfur redox couple has the advantage of high theoretical specific capacity of 1,675 mAh/g-sulfur. However, Li/S battery has bad cyclic durability at room temperature due to sulfur active material loss resulting from lithium polysulfide dissolution. To improve the cycle life of Li/S battery, PEGDME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500 containing 1M LiTFSI salt which has high viscosity was used as electrolyte to retard the polysulfide dissolution and nano-sized $Mg_{0.6}Ni_{0.4}O$ was added to sulfur cathode as additive to adsorb soluble polysulfide within sulfur cathode. From experimental results, the improvement of the capacity and cycle life of Li/S battery was observed( maximum discharge capacity : 1,185 mAh/g-sulfur, C50/C1 = 85 % ). Through the charge-discharge test, we knew that PEGDME 500 played a role of preventing incomplete charge-discharge $behavior^{1,2)$. And then, in sulfur dissolution analysis and rate capability test, we first confirmed that nano-sized $Mg_{0.6}Ni_{0.4}O$ had polysulfide adsorbing effect and catalytic effect of promoting the Li/S redox reaction. In addition, from BET surface area analysis, we also verified that it played the part of increasing the porosity of sulfur cathode.

국내산 다시마, 미역포자엽, 톳, 모자반 fucoidan의 리올리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e and Sa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조길석;박진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9-333
    • /
    • 1997
  • 국내산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에서 추출한 부분 정제 fucoidan의 유동특성을 측정하였다. 겉보기 점도는 모자반, 다시마, 톳, 미역포자엽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전단속도 1,500 1/s에서 미역포자엽의 용액 $(5\%)$의 겉보기 점도는 2.2mPa.s로 매우 낮았다. 전시료 모두 유동지수 1이하의 의가소성 유체의 성질을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가소성이 증가하였다. 온도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는 전단속도 1,500 1/s에서 톳 $8.269\times10^6$, 다시마 $7.498\times10^6$, 미역포자엽 $7.141\times10^6$, 모자반 $6.677\times10^6\;J/kg.mol$로 낮아 온도 의존성이 적었다. 또한 설탕 첨가시는 부분 정제 fucoidan의 점도가 증가한 반면에 소금 첨가시는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