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 schlegeli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7초

실험실 사육에 의한 한국산 실고기과(Syngnathidae) 2종, 풀해마(Urocampus nanus)와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의 초기생활사 비교 (Comparative Early Life History of Two Pipefish, Urocampus nanus and Syngnathus schlegeli (Syngnathidae) in Laboratory Culture from Korea)

  • 이재환;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3-89
    • /
    • 2020
  •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larvae obtained from Urocampus nanus and Syngnathus schlegeli male brood fish over 20 days of culture in the laboratory. In both species, mating takes place when several males each spread their brood pouch like a wing to attract a female's attention. When the female begins to swim upward, the males follow her and receive her eggs in their brood pouches. Newborn larvae of U. nanus and S. schlegeli had already completed formation of dorsal and caudal fin rays, but not of pectoral fin rays. Pectoral fin rays were completely formed 15 days after release in S. schlegeli and 20 days after release in U. nanus. The ratio of caudal fin length to standard length increased until 8 days and decreased thereafter in S. schlegeli, while in U. nanus this ratio declined continuously after hatching. The larvae of the two species were very similar in external morphology, but well distinguished by the number of dorsal fin rays (15-16 in U. nanus vs. 39-43 in S. schlegeli), the presence of a membrane under the tail (absent in U. nanus vs. present in S. schlegeli), and the presence of melanophores in the dorsal fin (present in U. nanus vs. absent in S. schlegeli). Based on this study, U. nanus appears to be evolutionally more similar to pipefish than to seahorse.

통영 바다목장해역에 서식하는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식성 (Feeding Ecology of Sebastes schlegeli in the Tongyeong Marine Ranching Area)

  • 박경동;강용주;허성회;곽석남;김하원;이해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08-314
    • /
    • 2007
  • The feeding habits of Sebastes schlegeli collected from the Tongyeong marine ranching area throughout 2002 were studied. S. schlegeli is a carnivore (piscivore), and consumed mainly fish. Its diet also included a small amount of caridean shrimps, crabs, amphipods, polychaetes, and isopods. The diet of S. schlegeli underwent size-related changes. Small individuals (standard length (SL)<6 cm) fed mainly on fishes, caridean shrimps, and amphipods, and the proportion of fish increased with SL. Large individuals (SL>20 cm) ate fish predominately. The diet of S. schlegeli changes seasonally, and caridean shrimps were consumed mainly from May to July. The dietary breadth index of S. schlegeli varied with SL and season.

Effects of 4-Nonlyphenol Exposure on $P.$ $olivaceus$ and $S.$ $schlegeli$ Vitellogenesis

  • Jung, Jee-Hyun;Bae, Sun-Hae;Baeck, Kyong-Lan;Shim, Won-Joon;Kim, Dae-Jung;Han, Chang-Hee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1호
    • /
    • pp.9-18
    • /
    • 2012
  • The effects of the estrogenic compound 4-nonylphenol (4-NP) on vitellogenesi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exposed continuously at 10, 50 and $100{\mu}g{\ell}^{-1}$ levels for 7 days were compared. The expression of VTG mRNA level and protein using specific probes were examined. The levels of plasma estradiol-17 ${\beta}(E_2)$ and testosterone (T) were assessed by radioimmunoassay (RIA). Plasma $E_2$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wo female fish species exposed to $100{\mu}g{\ell}^{-1}$ of 4-NP over concentrations in control fish. Plasma T concentrations increased in $P.$ $olivaceus$. Four days after exposure, the level of VTG mRNA expression increased in $P.$ $olivaceus$ and $S.$ $schlegeli$ exposed to $20{\mu}g{\ell}^{-1}$ of 4-NP. In addition, plasma VTG protein expression was seen in $P.$ $olivaceus$ and $S.$ $schlegeli$. In $S.$ $schlegeli$ and $P.$ $olivaceus$ exposed to 4-NP, the changes were noticed mainly in hepatocytic vaculation after 7 days of exposure. Thus, 4-NP may disrupt vitellogenesis in immature fish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via disrupted steroidogenesis and liver pathology. Immature $S.$ $schlegeli$ were the most sensitive to 4-NP exposure in vitellogenesis.

외인성 갑상선호르몬 ($T_3$)의 경구투여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생리적 상태,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Administrated Thyroid Hormone ($T_3$) on Physiological Conditi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장영진;김윤;명정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88-593
    • /
    • 2001
  • 조피볼락, S. schlegeli 치어의 생리, 성장 및 생존율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_3$)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T_3$를 0, 5, 10 및 15ppm으로 사료에 섞어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식률 및 사료효율은 10PPM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CH는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TCH값을 나타내었다 실험구별 기형률은 $T_3$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실험 종료시 체성분 분석 결과, 수분과 회분 함량은 실험구간 유의 차를 찾아 볼 수 없었고, 단백질 함량은 15PPM구가 5PPM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 비해 많았으며, 지질 함량의 경우 15PPM구가 대조구에 비해 적었고, 5PPM구와 10PPM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실험구별 길이 및 무게 성장은 10PPM구가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 실험 종료시 $9.80\pm0.26 cm$로 대조구에 비해 빠른 성장을 보였다. 실험구별 비만도는 $T_3$구가 $18.9\~19.0$으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각 실험구별 사육어의 생존율은 CONTROL구가 가장 높았고, CONTROL구를 제외하고는 10PPM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 PDF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복합당질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Lectin Histochemistry of the Glycoconjugates in the Esophageal Mucous Cells of Sebastes schlege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h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이응희;조기진;정권순;조운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7-424
    • /
    • 2004
  • 경골어류인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복합당질 성상을 biotinylated lectin인 DBA, SBA, PNA, BSL-1, RCA-1, sWGA, UEA-1, LCA 및 Con A로 연구하였다. 조피볼락과 용치놀래기는 큰ㆍ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가 섞여 있었고, 송곳니베도라치와 졸복은 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들이 섞여 있었다. 식도 점액세포들의 lectin 결합양상도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조피볼락은 DBA, SBA, BSL-1, RCA-1 및 sWGA에, 용치 놀래기는 DBA, SBA, PNA 및 sWGA에, 송곳니베도라치는 SBA 및 sWGA에 각각 반응을 하였으며 졸복은 DBA, LCA 및 Con A를 제외한 모든 lectin에 반응하였다. 조피볼락의 모든 점액세포에는 DBA, SBA 및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이 외에 BSL-1이 반응하였다. 용치놀래기의 큰 점액세포에서는 PNA가, 중간 점액세포에는 DBA, SBA 및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DBA와 SBA가 반응하였다. 송곳니베도라치의 중간 점액세포에는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SBA와 sWGA가 반응하였으며 졸복은 모든 점액세포에 SBA, PNA 및 RCA-1가, 중간 점액세포에는 이 외에 sWGA와 UEA-1이 반응하였다. 특히 조피볼락의 점액세포에서 DBA와 SBA의 양이 많고, 용치놀래기에서는 큰 점액세포에서 PNA 양이, 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에서 SBA양이 많았으며, 졸복의 경우 중간 점액세포에서 SBA, PNA, sWGA 및 UEA-1의 양이, 작은 점액세포에서 RCA-1의 양이 많았다.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래의 주화세포의 확립과 확립된 세포의 특성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new cell line derived from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임은영;강민수;오명주;정태성;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5-173
    • /
    • 2003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비장에서 주화세포인 BSBS를 확립하고 세포의 특성을 검사하였다. BSBS세포는 60회 이상의 계대배양이 가능하였고 형태학적으로는 상피성 세포였다. 세포는 20℃, 10%의 FBS가 든 L-15배지에서 배양하는 조건에서 잘 자랐다. BSBS세포는 해양버나바이러스 (MABV Y-6), 잉어의 봄바이러스병바이러스 (SVCV), 넙치의 랍도바이스 (HIRRV)와 연어바이러스 (CSV)를 접종했을 때 세포변성효과가 나타났다. 새로 확립된 주화세포는 앞으로 많은 바이러스병의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olecular Parameters for Assessing Marine Biotoxicity: Gene Expressions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Exposed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Woo, Seon-Ock;Yum, Seung-Shic;Park, Hong-Seog;Jung, Jee-Hyun;Lee, Suk-Chan;Kim, So-Jung;Lee, Taek-Ky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4호
    • /
    • pp.267-272
    • /
    • 2007
  • Environmental and anthropogenic changes affect the health and stability of marine ecosystem.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molecular biomarkers for ecotoxicological pollutants risk assessment in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We designed primers based on conserved sequences by multiple alignments of target genes from related species, and cloned the partial cDNAs of cytochrome P450 (CYP1A1),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metallothionein (MT), superoxide dismutase (SOD), ubiquitin (UB), vitellogenin (VTG) and $\beta$-actin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from S. schlegeli. Northern blot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six genes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induced by benzo[a]pyrene (BaP, 1 ${\mu}M$) and that the level of each of their transcripts increased in BaP-exposed rockfish in a time-dependent manner. This study suggests that transcriptional changes in these six genes may be used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exposure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조피볼락 sebasties schlegeli 아가미에 기생하는 단생흡충 Microcotyle sebastis의 기생방법과 병리조직학적 소견

  • 윤길하;이경희;조재윤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54-454
    • /
    • 2000
  • 우리나라 연안 가두리 양식장에서 많이 사육하고 있는 조피볼락, Sebasti schlegeli 아가미에 기생하는 단생흡충인 Microcotyle sebastis는 여름철 고수온기에 양식어류 대량으로 폐사시킬 수 있지만, 어떤 방법으로 어떠한 피해를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icrocotyle sebastis의 기생 방법과 병리조직학 관찰을 수행하였다. (중략)

  • PDF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 (Sex Differentiation of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영돈;노섬;장영진;백혜자;안철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0
    • /
    • 1996
  • 조피볼락 (S. schlegeli)의 성분화 과정을 구명하기 위해 시원생식세포의 출현과 원시생식소 형성, 그리고 암${\cdot}$수의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시원생식세포는 출산후 2일, 전장 6.3mm 개체에서 장관과 중신사이의 섬유성 간충직에 묻혀 식별되었다. 출산 65일 전장 $5.2\~5.9cm$ 개체에서, 생식소의 주변 부위에 강 (cavity)을 형성하고 다수의 생식원세포로 구성된 생식소는 난소로 발달한다. 이 시기에 체세포들이 곡정세관을 형성하는 생식소는 정소로 분화된다. 출산후 115일, 전장 $7.0\~7.2cm$ 치어들에서, 생식소는 흑색소를 함유하는 정소와 흑색소가 없는 난소로 구분된다. 따라서 조피볼락은 초기 성분화 단계에 자상을 거치지 않고 난소와 정소로 분화되는 분화형의 자웅이체에 속한다. 출산후 12개월된 개체들의 성비는 1 : 1이었다.

  • PDF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 및 분포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the Intestines of Sebastes schlege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h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82-788
    • /
    • 2008
  • 경골어류 4종(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장을 네 부위로 나누워 아홉 종류의 biotinylated lectin들(DBA, SBA, PNA, BSL- I , RCA- I , sWGA, UEA- I 및 Con A)로 반응시켰다. 조피볼락을 제외하면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용치놀래기 장 상피는 모든 부위에서 D-glucose/mannose 잔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조피볼락,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 모든 부위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beta}$-N-acetyl-D-gal-actosamine가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조피볼락의 근위장, 중간장 및 원위장에는 galactose-${\beta}$-1,3-N-acetyl-D-galactosamine 및 ${\alpha}$-D-galactose도 함유되어 있었으나 직장에는 이들 당 잔기들이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송곳니베도라치에는 ${\beta}$-N- acetyl-D-galactosamine 외에 ${\beta}$-N-acetyl-D-glucosamine 및 D-glucose/mannose도 발견되었으며, 졸복에서는 Galactose-${\beta}$-1,3-N-acetyl-D-galactosamine, D-galactose 및 D-glucose/mannose도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