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School Librari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농산어촌지역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ies in the Rural Area)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3-20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어촌 지역에 학교도서관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농산어촌 지역의 학교도서관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사용된 연구방법은 설문지법과 면담법이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농산어촌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독서교육 공간과 학생들의 문화 및 여가활용 공간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견문을 넓히는 공간으로 다양한 정보매체 활용을 위한 공간을 강조하였다. 또한 농산어촌의 학교도서관은 지역주민과 결합된 문화공간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 있는 도서관 운영시간, 학업능력 향상 프로그램 교양능력향상 프로그램, 문화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 신청 초등학교 도서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Applicants for the "Campaign for Libraries for Rural Schools")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4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2009년 조선일보가 주관한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에 신청한 119개 시골 초등학교 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학교들의 신청서를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하고, 시설, 장서, 환경의 측면에서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 학교도서관들은 전체 장서 규모, 1인당 장서 증가 규모 등 수치상으로는 무난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거의 공통적으로 낡고 열악한 시설, 장서의 부족, 불균형과 낮은 질, 재정지원의 부족, 문화적 고립 등 문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전형적 시골학교 도서관이 아니라고 해도 통계 수치만으로 알 수 없는 학교도서관 현실의 일면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등의 인식 변화와 재정 지원이 가장 시급한 해결책임을 인식하고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관련 정책이 유권자들의 관심거리임을 주지시켜야 한다. 둘째, 기존의 각종 도서관 평가와 시상제도의 가시성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각종 도서관 평가에서 질적 측면을 강화해야 한다.

  • PDF

대전시내 초등학교 도서실 현황에 관한 연구 - 교사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Focu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eachers)

  • 이정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50 schools a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on two groups of teachers, those that take charge of school library and those who do not.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ing issues are emerged. First, the present state of surveyed school libraries is below standard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books and size a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se poor conditions. Second, the space programs are not sufficient to conduct enlarging scope of school libraries, which is conspicuous in spaces for affording librarians, supporting various activities and serving user's convenience. Third, in spite of poor conditions in school library facilities, respondents' satisfaction rate is not so low and there's no obvious demand for diversity of spaces.

  • PDF

조선조의 향교문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ang-Gyo Libraries In the Yi Dynasty)

  • 이춘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권
    • /
    • pp.1-30
    • /
    • 1978
  • The libraries of the various learning institutes in the Yi Dynasty may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1) The Hyang-Gyo library(the public school libraries in rural districts) 2) The Sabu-Hankdang library (the public school libraries in the Capital) 3) The $S\bar{o}w\bar{o}n$ library (the libraries of private learning institutes) 4) The $Jyon-Gy\bar{o}ng-Gak$ library (the library of the Sung Kyun Kwan which was the highest learning institute in the Yi Dynasty) For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libraries as well as its education and culture the Hyang-Gyo libraries hold an very important position, but undeservedly its study has been neglected. In this paper, the writer made an effort to grasp the various function of the Hyang-Gyo libraries with its historical background.

  • PDF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Joint School-Public Libraries for Rural Communities)

  • 이미영;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43
    • /
    • 2013
  • 우리나라는 공공도서관의 수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의 학교도서관이 학교구성원에 대한 서비스와 함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네이버 문화재단 등의 민간단체에서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의 확대를 위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들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문화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정보소외지역에서 실질적인 정보격차 해소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등으로부터 외부지원의 확보, 운영자들의 직무 교육 실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다양한 도서관서비스의 마련 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일제시대의 향교재산과 공공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y of Hyanggyo and public libraries under the colony of Japanese empire)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159-190
    • /
    • 1989
  • Under the colony of Japanese Empire, libraries of Hyanggyo's(a Confucian temple and a old-time School belonging to it) property a n.0, ppeared 45 libraries. Effects of these libraries are as follows: 1. Libraries of Hyanggyo's property impeded Korean people's enlightenment works in the aspect of a save the Nation movement spread all over the country by taking in Confucian scholars and those who work for the good of the locality. 2. It having prepared a point to civilize Koreans for Japanizing as far as rural and fishing community through libraries of Hyanggyo's property. 3. Though many libraries of Hyanggyo's property were closed, a quite libraries became the predecessor of Korea modern library which linked with public libraries.

  • PDF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Joint-Use Libraries: Development and Effect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37-35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통합도서관에 대한 사례와 그 효과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통합도서관 설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합도서관의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다. 통합도서관을 운영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전문인력 활용, 장서의 증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효율적인 시설활용 등이다. 반대로 단점은 학교에 위치한 통합도서관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 소장 자료의 제한, 학교도서관 기능의 축소 등이다. 우리나라의 통합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구수, 주민들의 통합도서관 설치 의지, 시설, 법적 문서의 존재 등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 농산어촌 지역에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과 소규모 시에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의 통합도서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지원 및 협력체제의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School Library Support and Cooperation System Management)

  • 이지연;민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9-29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과 관련하여 개별 단위학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의 해결을 돕고 학교도서관 운영의 질을 전반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교도서관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및 타 기관과의 협력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의 운영방향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학교장의 학교도서관 운영정책 및 현황,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현재 장서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으나, 학교도서관 운영인력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도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대도시와 농산어촌에 비해 중소도시는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정책적인 지원에 대한 기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의 폐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7-106
    • /
    • 2018
  • 본 연구는 도서관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폐교 활용방안에 앞서, 폐교 현황과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최근 도서관의 폐교 활용 트렌드를 파악하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가능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 건립은 복합문화공간 제공, 친환경적 공간 제공, 지역 커뮤니티 장소 제공 등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특색을 가진 도서관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지역경제 기여와 지역의 재활성화 기회 제공,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 밀착형 친화형 공간, 노인복지 요양서비스 귀농 생활 등과 연계한 공간의 재활용, 폐교를 활용한 부가 가치 창출과 지역 비즈니스 창출,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구성,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구성된 통합적인 공간으로 활용, 지역의 커뮤니티 센터 역할 수행, 지역의 요구를 충족 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활용.

청소년의 여가환경이용과 희망 여가공간의 위치구조 (Using & Structure of Leisure Spaces Perceived by Adolescents)

  • 오은미;박경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7-31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leisure space planning desirable for adolescents through survey on their using leisure space. Four hundred sixty-six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Chongju city, Gwesan-gun and Eumsung-gun responded the first basic questionnaire and 160 students among them answered again the second questionnaire for more information on the site of leisure space they want.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d Multi-Dimensional Scale were methods of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are wasting their leisure time because of insufficient facilities for productive activities. They use the time, when observed in one week, roaming around downtown, studying in off-school academies, visiting shops and playing in the game rooms. And when observed in a month, they use time meeting friends in coffee shops, visiting restaurants, studying in the libraries, playing in the ground and visiting sports facilities. Adolescents' leisure tim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age,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occupation, household income, and living area. Students hoped the leisure spares to be located in the neighborhood where they can access easily, and facilities they wanted were small shop-buildings, game rooms, off-school academies, schools, sports facilities, studying moms and libraries. It is necessary that adolescents have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use their leisure time healthy in the leisure space. And consideration on adolescents living in the remote rural area have to be dealt importantly in the beginning of various plan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