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Experience Program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농촌의 불임수술자 실태 (Voluntary Sterilization in Rural Korea)

  • 김중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0권1호
    • /
    • pp.80-85
    • /
    • 1977
  • 과거 5년간 경북 선산군에서 남녀 불임수술을 받은 사람 232명 (남 136, 여 96)을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불임수슬시 연령은 30대가 정관수술자는 56.1%, 난관수술자는 71.7%로 평균연령은 정관이 37.0세, 난관이 34.9세였고 결혼기간은 평균 정관수술자가 13.9년, 난관수술자가 14.6년이었다. 자녀수는 정관수술자가 평균 아들 2.3, 딸 1.7, 합계 3.6명이고 난관수술자는 아들 2.2, 딸 1.7, 합계 3.7명이었다. 수술이유는 산아제한 목적이 정관수슬자는 91.1%, 난관수술자는 52.0%였고, 수술권유자는 가족계획요원이 정관은 70.5%, 난관은 47.9%였다. 수술전 피임실시자가 정관수술자는 51.3%이고 난관수술자는 49.7%였으며 이상적인 피임방법으로 생각하고있는 것은 정관수술자는 정관수술이 72.0%, 난관수술자는 난관수술 59.3%이라고 진술하였고 수술전 인공유산 경험율이 정관수술자의 부인이 65.3%, 난관수술자는 64.2%였다. 수술후 성교회수가 많아진 사람이 정관수술은 21.3% 난관수술은 10.4%였고 성생활이 시술 이전보다 더 만족한 경우는 정관이 33%, 난관이 14.5%였다. 다른 사람에게 불임수술을 권유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 정관수술의 경우 64.7%, 난관수술자는 63.5%였다.

  • PDF

예방접종 홍보광고 전략개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dvertising Strategy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 Materials for National Immunization)

  • 오국환;이무식;김병희;나백주;김건엽;홍지영;김영택;고재영;김영숙;이석구;조형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0권2호
    • /
    • pp.183-204
    • /
    • 2005
  • 본 연구 목적은 예방접종에 대한 교육홍보 기본 컨셉 도출, 매체 집행전략 개발, 매체시안 개발을 위해 광고전략 조사를 실시하여, 2000년대에 국가예방접종사업의 홍보고안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코자 실시하게 되었다. 연구대상과 방법으로 우리나라 보건소 242개 중 169개 보건소에 종사하는 예방접종 담당자(242명)와 자녀의 예방접종을 위해 보건소에 내소한 보호자(1,193명)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예방접종에 대한 주관적 중요도, 예방접종 사업에 대한 홍보 경험 및 수단,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인식, 예방접종 홍보광고 전략개발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빈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로 예방접종 담당자는 예방접종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접종 사업의 홍보 매체 경험율에 대해서는 예방접종 담당자는 91.3%, 보호자는 70.6%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일반대중이나 광고 전문인 모두 자주 접할 수 있는 TV, 지역신문, 팜프렛 등의 홍보광고 수단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인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가 예방접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호자는 예방접종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방접종 홍보매체의 선호도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가 팜프렛 76.0%, 포스터 44.6% 순으로 나타났고 보호자는 TV 70.5%, 지역신문 39.2%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포스터 색상 선호도 조사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가 초록 32.0%, 노랑 19.9% 순이었고, 보호자 역시 초록 29.5% 노랑 22.0% 순으로 나타났다. 광고 스타일 선호도 조사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는 유명인사나 연예인이 예방접종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활기차고 건강하다는 생활 장면을 보여주는 스타일로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캠페인용 슬로건의 선호도 조상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와 보호자 모두 긍정적 메시지를 선호하였다. 연구를 통해 예방접종 사업의 중단기 홍보전략에 대한 실행방안 구체화와 비교평가를 통한 가장 효율적인 홍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사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실적 대중 요구를 반영한 홍보매체 개발, 홍보전략에 근거한 홍보매체 개발, 매체에 대한 평가연구, 연구방법 및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교육홍보매체에 활용될 표준매체 제작 및 집행지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 또는 국가 공공기관의 예산 투자, 인력 투입과 활용 등을 통해 국가 예방 접종 사업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 PDF

일부 보건진료원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Satisfaction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a Rural Area)

  • 이순례;박상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2호
    • /
    • pp.331-350
    • /
    • 1999
  • 본 연구는 보건진료원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업무수행에 도움을 주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보건진료원 348명 중 200명으로 하였고, 1999년 2월 18일부터 3월 5일까지 설문지를 우편으로 대상자에게 발송하여 작성하게 한 후 응답지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성격특성 측정도구는 김(김기석, 1990)의 "일반성격검사"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Salvitt의 도구를 석(석민현, 1992)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rogram에 의해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특성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종교와 보수이다(P=.028). 2. 직업의식은 계속교육여부와 필수적 직무(P=.000), 자율성(P=.000), 보건진료원 선택동기와 필수적 직무(P=.007), 직업긍지(P=.007), 보건진료원 종사예정기간과 필수적 직무(P=.023), 직업적 긍지(P=.000), 현직에 대한 만족여부와 보수(P=.001), 필수적 직무(P=.016), 직업긍지(P=.000), 상호작용(P=.011), 자율성(P=.002), 조직요구(p=.001)가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근무지 여건과 직무만족도 관계를 보면 직급과 자율성(p=.038), 보건진료원 이전 분야별 경력과 상호작용(P=.059), 자율성(P.059), 진료소위치와 자율성(P=.021), 월가정방문수와 상호작용(P=.001), 월상담 교육건수와 보수(P=.044), 직업긍지(P=.021), 보건진료소 연수입과 필수적 직무(P=.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보건진료원의 성격특성 중 자신감(80.1)과 책임성(82.6)이 다른 성격요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5. 보건진료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16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적 긍지 점수가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성격특성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보면 지배성은 자율성(r=.24, P=.001)과 책임성은 직업긍지(r=.26, P=.000), 정서적 안정성은 필수적 직무(r=.25, P=.000), 사회성은 필수적 직무(r=.26, P=.000), 자신감은 필수적 직무(r=.34, P=.000)와 자율성(r=.31, P=.000)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보건진료원의 제요인과 성격특성 중 종교, 진료소위치, 환자진료, 교육기회 여부, 지배성, 자신감, 보건진료원 종사 예정기간, 현직에 대한 만족여부, 보건진료원 이전 근무 분야, 행정업무 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 PDF

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 김영락;김신월;정은경;최진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51-64
    • /
    • 2002
  • 전라남도의 무작위 추출된 10개 시 군과 광주광역시 5개 구의 방문보건사업 담당직원 200명 중 우편설문조사에 응답한 14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방문보건 사업과 관련된 교육훈련경험 여부와 만족도,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 그리고 향후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방문보건요원의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3년 동안 한가지 이상의 중앙교육 훈련 경험자는 43명(29.9%), 광역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7명(39.6%),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3명(36.8%) 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점수화 한 결과 중앙 교육($2.38{\pm}0.57$)이 광역자치단체 교육($2.18{\pm}0.57$)과 기초자치단체 교육($2.13{\pm}0.54$)보다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환자 및 질병관리 영역 중 투약 및 검사, 상처 및 욕창 관리, 환자 개인위생, 고혈압환자 관리, 당뇨환자 관리, 관절염환자 관리 그리고 전염성질환자 관리, 고위험 가족 및 가정환경 관리 영역 중 환경위생 관리, 안전 및 사고 관리 그리고 감염관리, 건강증진관리 영역이 5점 만점에 평균 3점 이상이었으며, 재활 및 요양 영역은 전반적으로 평균 3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높았으며, 중앙 교육 중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과 정신보건전문간호사, 광역자치단체 교육 중 보건진료원보수교육, 정신 보건교육,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교육의 건강증진영역,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 정신보건영역과 급성질환 관리영역에 대한 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노인건강 관리과정이 가장 높았고, 최근 업무가 새롭게 추진되고 있는 노인보건, 호스피스, 치매노인관리, 재활, 건강증진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방문보건사업 업무별로는 방문보건사업전반이 가장 높았고 방문보건사업에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으로는 공무원 집단교육(47.0%)을, 교육전담 주체는 광역자치단체 (30.4%)를, 교육방식은 실습(57.7%)을, 교육횟수는 년 2-3회(44.5%)를, 교육기간은 3-5일(41.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사회 주민에게 효과적인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식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확대하고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에 근거하여 교육훈련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 PDF

도심 골목상권으로서 샤로수길 가로 경관의 미적 경험 (Aesthetic Experience of Streetscape in Syarosu-gil as Urban Commercial Alleyway)

  • 임한솔;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25-137
    • /
    • 2021
  • 도심에 위치한 좁고 오래된 골목길이 뜨는 상권이 되어 사람들의 발길을 끄는 현상을 미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이면도로라는 입지와 소규모 점포의 집합을 조건 삼는 도심 골목상권 특유의 미적 경험을 논하고,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샤로수길을 사례로 하여 그 경관적 양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도심 골목상권의 미적 경험은 공간적 측면에서 크고 정제된 대로변 도시 조직과의 대비를 통해, 시간적 측면에서 오래된 것/새로운 것의 조화와 알려진 것/덜 알려진 것의 길항을 통해 발생한다. 샤로수길의 물리적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00년대 지어진 고층건물을 지나 1970년대 후반 이후의 다양한 건축연한을 지닌 저층 건축군으로 들어서는 진입 과정과 노포, 신규 점포가 어우러지는 골목 내부의 가로 경관으로 볼 때 샤로수길은 도심 골목상권의 미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환경을 갖추었다고 판단된다. 샤로수길의 도심 골목상권 부상과 연계하여 관악구청은 명칭, 간판, 포장을 중심으로 가로 정비사업을 시행하였으며, 전술한 미적 경험에 비추어 그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샤로수길' 명칭의 공식화는 대상지를 장소특정성으로부터 탈피하게 하고 대안성을 획득하게 하였다. 둘째, 노포의 간판 개선사업은 상업 주체의 측면에서 신/구 조화를 추구하지만 이미지의 측면에서는 시간성의 뒤섞임을 발생시킨다. 셋째, 보행자우선도로 조성 사업에서 노면의 포장은 골목 정체성을 강화하고 영역을 가시화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도심 골목상권의 현실이 이용자의 방문, 즉 체험에 좌우된다는 점을 상기할 때, 감각과 미학의 관점에서 도심 골목상권의 경관을 해석한 본 연구의 시각은 관련 제도와 데이터 기반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전북 지역 학교급식소의 시설.설비 및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 국숙자;최병숙;노정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7-507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ituation of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52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v. 11.5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99.2% of the subjects were women 76.6% were married, over 87% were between the ages of 30 and 40(p<0.01) and 56.8% had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p<0.001). Among the 252 school foodservice systems evaluated, 51.6% of the schools were located in urban areas and 48.0% were in rural areas(p<0.01). Approximately 68.0% of the schools prepared meals in the conventional way, and 32.3% prepared them in the commissary way(p<0.001). The number of employees at each institution was separat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to 3(37.7%), 4 to 6(27.8%), and 7 to 9(25.4%, p<0.01). Approximately 54.0% of schools had been running a school meal service for longer than 11 years(p<0.001). However, 67.5% of those facilities had not been remodeled since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foodservices. Approximately 94.0%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we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72.2% among them were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and 16.7% were prefabricated(p<0.001). As the result of our evaluation of related physical evidence and the atmosphere of the space, the average importance grade was $4.41{\pm}0.46$, and the average performance grade was $2.78{\pm}0.67$. Most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in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s responded that the related physical evidence and the atmosphere of the space i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were important, but the satisfaction level among the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was quite low. Therefore, it's important and necessary to analyze the opinions of the stakeholder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prior to the remodeling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전북지역 초중고등학교 학교급식소의 내부시설 및 위생관리 실태 조사 (Survey on Internal Facilities and Sanitary Manag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in Chonbuk Area of Korea)

  • 국숙자;노정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135-114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internal facilities and sanitary manag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in Chonbuk are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52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tian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a SPSS 11.5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99.2% of the subjects were women and those who were married accounted for 76.6%. Those in their 30s to 40s accounted for over 87%, those with more than 11 years experience accounted for 56.8%, and those 69.0% were regular nutrition teachers. Among the 280 school foodservice systems, 51.6% of the schools were located in urban areas and 48.0% in rural areas. About 68% of the schools prepared meals the conventional way and 32.3% prepared them the commissary way. The number of employees accounted for in the schools was 37.7% with 1 to 3 employees, 27.8% with 4 to 6 employees, and 25.4% with 7 to 9 employees. About 54% of schools have an expectance of school meal service for more than 11 years. However 67.5% of their facilities had not been remodel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foodservice. As a result of the conditions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 high schools; preparation room (p<0.01), toilet (p<0.01), and boiler room (p<0.01). About 62% of the nutritio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situation of the facilities (e.g. size and materials of the kitchen, heating and cooling systems). The washing and disinfection meth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very different, because they had no sanitizers and disinfectant guidelines. Therefore the governmental regulating agencies must review and approve of the plans prior to new construction or extensive remodeling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In addition,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sanitizers and disinfectant guidelines and other useful education.

일부농촌지역(一部農村地域)의 모자보건실태(母子保健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Status in a Rural Area)

  • 남상덕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7권2호
    • /
    • pp.333-342
    • /
    • 1974
  • In September 1974, a survey was conducted towards 900 women respondents, each representing a household, residing in 18 selected Myuns(townships) of 18 Guns(counties) in Kyunggi-Do. Fifty households were selected randomly in each Myun and the sample Myuns were also randomly selected from the 18 Guns home-visiting interviews were carried out by Myun level maternal and child health workers with questionnair forms designed to measure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status at each household.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f the women responents who were investigated in this survey, 13.1% of them were comprised in the illiterates, indicating no difference in literacy rate from that in most urban areas. 2. Most(93.8%)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married at ages of 20-24 years old. 3. Most(85.8%)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delivered their first babies at ages of 20-24, while only 13.4% had their first babies at 25-29. 4. About 22% of the respondents had 2 children, while 19% and another 19% had 2 and 4 children, respectively. 5. A great majority of the respondents (78%) experienced not a single death of a child within the family, while about 17% experienced death of one child. 0.7% of the women experienced deaths of 4 or more children. 6. 18% and 17% of the women experienced 4 and 3 pregnancies, respectively, and 12% of them experienced 7 or more pregnancies. 7. About 29% of the women experienced an induced abortion at least once. Nearly 2% of them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 of 4 or more induced abortions. 8. One half (51%) of the women were found to have received prenatal guidances in the latest pregnancies by (Ub(town) and Myun (township) level maternal and child health workers at least once or more times. 9. 52% women received professional prenatal care in the latest pregnancies: 24% at hospitals or clinics and 20% at health centers. 10. Most (89%) of the last-born children were delivered at home, while only 8.7% were delivered at hospital or clinics. 11. Materials used at delivery comprise vinyl (40%), cement bags (32%) ana gauzed or absorbent cottons (19%). 12. The largest preportion of the attendants at delivery comprises mothers in-law (48). Only 24% were found to be attended by either doctors, midwives or maternal and child health workers. 13. In most (90%) of the deliveries scissors were used to cut the umbilicus. But most (7%) of them used unsterilized scissors, 6 while only 20% of them used sterilized ones. 14. About 68% of the last-born babies were breast-fed for 12 months or more. Those who weaned during 6-12 months were 21%. 15. During 12 months after birth, 65% of the last-born babies were breast-fed, while 24% were given a combination of breast milk and cooked rice. 16. About nine out of the 10 births were found to be registered. 17. 71% of babies received BCG vaccination, while 79% and 56% received samllpox and DPT vaccinations, respectively within a year after birth. Those who were vaccinated against poliomyelitis were about 50%. 18. About 87% of the respondents recogninized the existence of government-sponsored maternal and child health guidance program.

  • PDF

서구권의 북한 관광을 통해 본 평양 경관의 시각적 특수성 (Visual Specificity of the Pyongyang Landscape - Perspectives of North Korea Tourism -)

  • 안진희;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6-74
    • /
    • 2016
  • 안전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북한을 여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서 보고자 하는 것과 그 특성은 무엇인가? 이 논문은 서구권의 관광객의 시각을 대변하는 매체를 통해 북한 관광의 방식과 북한 체제의 합으로 만들어지는 평양 경관의 시각적 특수성을 해석했다. 다크 투어리즘과 극장 국가 이론을 토대로 서구권의 북한 관광 홍보 문구, 관광 에이전시 자료, 위치정보태그 기반 사진공유 웹사이트를 본 결과, 평양 경관의 시각적 특수성에 대해 다음의 결론에 이르렀다. 북한의 위험성은 예상과 달리 오히려 북한을 직접 가보고 싶게끔 만드는 매력으로 역할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관광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실재 관광의 과정에서 위험이 차단되며, 이로써 관광객은 관광의 계기로 삼았던 위험 속에서의 모험을 지속하게 된다. 관광객이 구경하는 대규모 국가 의례는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서까지 작동하여 극장 국가적 성격의 확장이 나타난다. 정치적으로 고립된 세계, 그 세계를 유지하고 보여주기 위한 집단의 몸짓, 베일에 가려진 사람들의 삶을 대변하는 평양의 경관은 서구권의 북한에 대한 환상을 충족시키는 한편, 북한의 체제 유지의 근거를 만들어내는 피상적 이미지이다.

방사선과 졸업생의 학업성취도와 면허 취득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Radiological Technology Graduates' Academic Achoevement and their Obtainment of a License)

  • 박명환;권덕문;서수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1호
    • /
    • pp.47-52
    • /
    • 2006
  • 방사선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학 관련 특성, 재학 중의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에 따른 방사선사 면허 취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출신고교의 지역 및 계열은 대구지역의 인문계 출신자가 대부분이었으며, 일반전형 입학이 가장 많았고, 입학 동기는 높은 취업률 때문이었으며, 학과 선택은 본인과 가족이 함께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수강은 35.1%가 하였으며, 학사경고는 8.5%가 받았고, 학업성취도는 대체적으로 본인 스스로가 낮다고 생각하였으며, 전공과목 이수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대답하였다. 입학전형별 취득한 평균평점은 대학졸업자전형, 일반전형, 특별전형, 농어촌전형 순으로 낮았으며, 입학전형 종류와 이과 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방사선사 국가고시 합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재수강, 학사경고, 학업성취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생활에 있어서 아르바이트 경험, 이성교제 및 동아리 활동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거주형태가 본가인 경우와 스터디 활동을 한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방사선과 졸업생의 면허 취득은 재학 중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