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yal Palace Building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19초

혜음원지와 고려 정궁지 건축유구의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eeumwonji and the Main Palace of the Goryo Dynasty)

  • 우성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6호
    • /
    • pp.31-40
    • /
    • 2018
  • This paper is to clarif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eeumwonji and the Main Palace of the Goryo Dynasty. The architectural techniques and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embankment, stylobate, stairway, foundation stone, and pav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Haeeumwonji and the Main Palace of the Goryo Dynasty. In order to express the hierarchy of the area and building, the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s of the embankment, stylobate, stairway, foundation stone and pave were used differently. The paving of the floor of the main building and area is also an active expression of the hierarchy and status of the building area and the building through the use of building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s. This result confirms the support of Goryeo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 for the construction of Haeeumwonji, which is recorded in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it also shows that the architectural techniques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period were shared in the capital and provinces, which is an important clue that proves that the capital-centered architectural technology has spread to the provinces.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research will be nee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12th century architecture technique in which Haeeumwonji was built.

고종대 경복궁 중건 시 영건일기에 나타난 목재 조달 고찰 (A Study on the Wooden Procurement in the Diary of Yeonggun during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in King Gojong's reign)

  • 김버들;조정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6호
    • /
    • pp.101-112
    • /
    • 2020
  •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seco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which has been spotlighted for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The author analyzed the contents of wood procurement with the Yeonggeon Diary, which records each day of construction si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Yeonggeon of Gyeongbokgung Palace, was a new building that reflected the old system and 270 years of changed environment on the existing site. Despite the poor economic conditions, it began with years of effort and voluntary volunteer work and dedication. Second, the priority of timber transport was recruiting people in the whole process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transportation tools. Carrying lumber from the mountains to the riverside and floating it at the right time were all a matter of manpower. Soldiers and carts were used to carry timber that arrived in Hangang River to the construction site. The cart was a consumable product, so it was necessary to continuously use the wood to make cart at the site. Third, fire and flood were the biggest obstacles to the Yeonggeon schedule of Gyeongbokgung Palace. Especially the fire was fatal. It was difficult to extinguish the fire in temporary structure, where was the storage for wood to construct. These disasters greatly affected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Wood procurements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based on public offerings. At the same time, recycled materials from other palace wood and nearby houses, nationwide buying of private mountain wood, the logging of royal tombs and some of the buildings of Gyeonghui Palace and Changgyeong Palace were relocated.

조선초기 경복궁 수리에서 세종의 역할 (King Sejong's role in the repair of the Kyeongbok Palace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4호
    • /
    • pp.129-142
    • /
    • 2002
  • The Kyeongbok Palace was completely renew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fourth King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 The repair was done for the two main purpose; one was to obtain the dignity of the main palace of the dynasty, the other was to make the palace suitable for the performing of the various ritual ceremonies. It was under the reign of King Sejong that every detail of the procedure of the royal ritual ceremony. The procedure of ritual ceremony changed the buildings of the palace. The quarter of Sajeong-jeon, King's office, was changed remarkably from the original form as the building became the beginning and ending point of King's moving during the ritual ceremonies. The site of the palace had ill reputation from the point of geomancy since its establishment. King Sejong ignored the rumor and kept the palace as usual. In his later year's, Sejong had tried to build a detached quarter and a Buddhist shrine in the palace. But he had to give up his plan because of the retainer's strong opposition. The original layout of the Kyeongbok Palace could be remained as the King renounced his controversial personal wish. King Sejong deserves a full credi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yeongbok Palace as the main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 PDF

경복궁 집옥재, 협길당 및 팔우정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of Jibokjae, Hyubgildang and Palujung at Kyungbok Palace in Seoul)

  • 이광희;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5
    • /
    • 2010
  • Three buildings -Jibokjae, Hyubgildang and Palujung- are connected each other and consist of a library and reception complex for royal kings at Kyungbok Palace in Seoul. Jibokjae and Hyubgildang were known to have been moved from Changdok Palace in A.D. 1891. No construction records have been known for Palujung. In 2004, during repair of three buildings, a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ir building histories. We took 67 wood samples for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20 from Jibokjae, 37 Hyubgildang and 10 Palujung,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lling dates of Jibokjae and Hyubgildang woods were A.D. 1877-1879/1880, indicating original construction of two buildings at early 1880s. Felling dates of Palujung were 1886-1889/1890, those of roof filling timbers 1890 and the connection part between Hyubgildang and Jibokjae 1886, confirming 1891's movement of Hyubgildang and Jibokjae and adding a new building, Palujung.

  • PDF

근대적 궐내 외교관 의례의 성립과 1899~1902년 경운궁 휴게소의 건립 (Constructing Foreign Reception Hall and Modern Royal Diplomatic Protocol in the Gyungungung Palace during 1899-1902)

  • 장필구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79-88
    • /
    • 2018
  • Foreign Reception Hall in Gyeongungung Palace was constructed during 1899-1902 according to Yesigjangjeong (禮式章程), Korean Empire's modern diplomatic protocol. This bulilding is a case worthy of notice, because its construction process was written in Jubon(奏本), Korean Empire's official document. Yesigjangjeong(禮式章程) regulates the process of diplomat's audience with Emperor Gojong. The process suggested that Foreign Reception Hall was designed as the place of the end as well as the beginning for audience. According to the process, diplomat came through main gate, Daehanmun and outer gate of main hall(Junghwajeon Hall, Audience Hall), then arrived at the stair to Foreign Reception Hall. After waiting time in the hall, he was going to be granted an audience with Emperor. And he exited through Foreign Reception Hall as the reverse way. This hall was constructed as western-style. Subcontracted carpenters and wood sculptors and laborers from China represents that chinese workers were prevailed in the government construction at that time. And modern building materials, such as glass, colored brick, sanitary wares and lightings were applied, which showed the new landscape in the middle of Gyeongungung Palace. Above all, official documents related with this hall reveals Korean Empire supervised this construction for diplomatic protocol. That is the identity of western-style buildings in Gyeongungung Palace.

경희궁 별원(別苑) 함춘원의 실지(實地) 경역 고찰 (A Study of the Impractical Area and Boundary of an Outer Royal Garden "Hamchunwon" Attached to Gyeonghuigung Palace)

  • 정우진;홍현도;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6-42
    • /
    • 2022
  • 본 연구는 러시아공사관 부지 이전에 존재하던 경희궁 별원 함춘원의 경역과 본래의 외곽 경계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러시아공사관 부지확보 및 신관 건립을 위해 작성된 3종의 도면을 살펴보면, 부지 내부에 함춘원의 원지형으로 보이는 2개의 낮은 봉우리가 남북 방향으로 존재했음이 확인된다. 공사관의 초기 계획안에는 출입문이 북서쪽 새문안로와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러시아 임시공사 베베르가 공사관 부지를 매입할 당시의 보고서에는 이미 좁은 출입구와 흙길이 있어 새문안로와 통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공사관의 출입문으로 계획한 부지 북서쪽에 함춘원으로 진입할 수 있는 관리 동선과 원문(苑門)이 위치했음을 알게 해준다. 둘째, 공사관의 건립 당시 높은 언덕 상부를 절토하여 대지가 조성되었고 그 결과 2단의 계단식 지형이 만들어졌다. 본관 및 서기관동 등이 세워진 지반은 가장 높은 봉우리를 깎아 평평하게 다짐하여 만들어졌고 이때 다량의 토량이 정지작업에 사용되었다. 본관 북쪽 영역의 경우도, 산지를 깎아 평평하게 지형을 고른 흔적이 역력하고, 조망이 수월한 물리적 환경을 활용하여 산책로와 정자가 있는 전망형 정원이 조성되었다. 이는 궁궐이 내려다보이는 높은 지형에 민간의 조망을 막기 위해 별원을 조성했던 지형 조건과 상통한 이용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미국, 영국, 러시아공사관 주변의 공간 변화를 보여주는 1880~1890년대의 사진에 함춘원 담장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사진분석 결과 함춘원은 러시아공사관 부지 북측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사관의 북쪽, 서쪽, 동쪽 담장이 함춘원의 담장과 근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공사관 남쪽 영역은 본래 민간의 가옥이 있던 곳으로서, 여러 자료에서 수십 채의 민가와 농경지를 매입한 정황을 살필 수 있었다. 넷째, 광해군 연간 경덕궁의 별원으로 조성된 함춘원은 경복궁 중건 때 경희궁의 전각을 뜯어서 공사 부재로 사용하면서 별원으로서의 장소성을 상실했으며, 1885년경 러시아에 매각됨으로써 멸실되었다. 함춘원이 있던 경역은 신관의 건립 뒤로 주요 건물과 정원이 있는 러시아공사관의 핵심적 공간으로 변용되었다. 따라서 러시아공사관 북측 영역에 한정된 함춘원은 1897년 이후 조영된 경운궁 및 선원전과 시간적, 공간적 맥락이 닿아 있지 않으며, 선원전의 배후림 또는 배경림으로 보는 시각도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중건 경복궁 후원 오운각(五雲閣) 권역으로 조명한 조선시대 궁궐 별원(別苑)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yeolwon (別苑: A Separate Garden Made Away from Living Space) in Palac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Illuminated by the Oungak Area at the Rear Garden of Reconstructed Gyeongbokgung Palace)

  • 정우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7
    • /
    • 2016
  • 본 연구는 고종 연간 경복궁 후원의 북쪽에 조성된 오운각 권역의 특성과 창덕궁 후원 옥류천에 구비되어 있던 기능적 요소가 경복궁 후원으로 치환되었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오운각 권역은 샘과 천하제일복지 각자가 있던 기존의 공간을 활용하여 왕의사적인 공간으로 정비된 공간이었다. 고종은 오랫동안 창덕궁 옥류천이 담당했던 왕실의 휴식과 위락기능을 중건 경복궁에 그대로 옮기려 하였다. 그 결과, 옥류천과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조성된 오운각 권역이 후원의 별원으로 개발되었다. 양자 간에는 후원의 최북단에 조성된 입지 외에도, 건물의 구성 및 유배거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관상용 수경설계 등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오운각 권역은 옥련정, 오운각, 벽화실과 천하제일복지천의 수경시설로 구성되었다. 이중에서 벽화실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옥류천과 직간접적인 관련성을 갖되, 지형의 굴곡, 경사, 수계의 상황 등 주어진 입지조건에 따라 조성되어 색다른 정감을 갖는 공간으로 개발되었다. 먼저, 옥련정은 남산에 이르는 서울의 경관을 조망하기 위해 높은 언덕에 입지하였고, 천하제일복지천의 독특한 형식의 수로는 위이암의 유배거의 기능을 모방한 형태로 추정된다. 한편 오운각은 옥류천의 농산정과 같이 주거가 가능한 집으로 조영된 것이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다분히 옥류천의 기능과 위상을 경복궁에 치환하기 위한 조성목적을 표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기능 공간이었던 별원의 특성을 잘 대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묘제(墓制)와 목관(木棺)을 통해 본 익산 쌍릉(益山 雙陵)의 의미 (The Burial Type and Wooden Coffin of Iksan(益山) Ssangneung(雙陵))

  • 김낙중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4호
    • /
    • pp.162-177
    • /
    • 2014
  • 이 글에서는 익산 쌍릉의 묘제 및 목관의 특징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쌍릉은 묘제와 장제 뿐만 아니라 옥장신구와 같은 부장유물 그리고 익산과 무왕의 관계를 통해서도 무왕과 그 비의 능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익산에 백제 왕릉, 즉 무왕릉이 조영된 이유는 여러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사비가 아니라 익산을 기반으로 왕이 된 무왕이 익산을 중요시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신라와의 관계에서 익산의 지정학적 중요성도 익산 경영의 요인이 되었다. 익산에 도성의 경관을 이루는 주요시설을 세운 것은 천도 혹은 그에 준하는 행위의 준비와 일부 실행을 보여준다. 다만 귀족과 사서인(士庶人)의 거주구역 등 도시로 완성된 모습을 보이지 않은 것은 그것이 완전하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그렇지만 무왕 사후에도 익산의 중요성은 의자왕에 의해 유지되었다. 그것은 무왕 재위 후반기에 창건된 제석사 및 미륵사와 같은 대사찰이 백제 멸망 때까지 계속 운영된 점이나 사찰로 전용되었지만 왕궁 일원이 여전히 존속된 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러한 계승의식이 무왕과 그 비의 능을 익산지역에 조성하는 행위로 구체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왕실 현판 글자의 금색 안료와 재현 실험 연구 (Pigments in the Letters of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and Reproduction Experiments)

  • 이혜연;이민혜;이희승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118-135
    • /
    • 2023
  • 조선왕실의 현판은 궁궐, 종묘 등 왕실과 관련된 건물에 걸어 건물의 위계와 성격을 나타낸다. 현판은 조선왕실 의궤에 제작 방법이나 재료 등을 기록하고 있어 당시 제작기술이나 재료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현판은 전각의 화재나 전란 등으로 여러 차례 개·보수 되면서 원형과 재료가 변화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선왕실의 현판은 어제·어필 현판이 많아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자로 이루어진 형태가 주요하다. 본 연구는 조선왕실 현판 중 금색 글자로 추정되는 44점을 대상으로 글자에 남아 있는 안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글자 표면에 남아 있는 금색 안료의 현재 상태와 검출된 구성성분에 따라 분류하였다. 글자 안료의 분석 결과 금(Au) 성분이 주요하게 검출된 현판은 양각 24점과 음각 5점이며, 양각 15점은 황동(Cu, Zn) 성분이 주요하게 검출되었다. 황동 성분이 검출된 현판 중 일부는 금색 안료가 아닌 청록색 안료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황동 안료는 문헌에 기록이 없고 현재 단청 안료로 사용하고 있지 않아 황동 안료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현실험을 실시하였다. 재현실험은 재료의 한계로 황동안료의 적용 유무와 사용 방법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앞으로 황동 안료의 사용 시기와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창덕궁 선정전의 의례 공간적 건축 구조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Seonjeong-jeon in Changdeok Palace as a Ceremonial Hall)

  • 이종서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2호
    • /
    • pp.39-52
    • /
    • 2020
  • Seonjeong-jeon, the semi-great hall in Changdeok Palace, was constructed in a highly formal and conservative style and accommodated official ceremonies. However, the contemporary modification of the building has distorted or eliminated features including the two side doors on the front, the floor coverings, and the throne base (Jwa-tap) that consisted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e throne. Seonjeong-jeon originally had three doors that stood between each pair of columns on the front side, respectively. The courtiers accessed the building through the side doors, while the central door was exclusively designated for the king. However, the renovation in 1999 ignored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building and changed the side doors into windows, damaging the traditional structure inherit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the building currently has traditional wooden floor structure (Woomul-maru), it was originally covered with square brick tiles (Bang-jeon)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following the customs of early Joseon Dynasty. The throne was placed to the north of the central door and consisted of the throne base and a decorative roof (Dang-ga). A canvas (Jang-ja), which featured the royal symbolic painting of Sun, Moon, and Five Peaks, was also installed between the two columns that connected the base and the roof. Nevertheless, only the columns and the blank canvas remain nowadays after the removal of the 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