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s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7초

탈지조성에 따른 철강용 알칼리탈지제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Alkaline Degreasing Agents for Steel Containing Degreasing Components)

  • 박은석;정동진;박홍수;함현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1-86
    • /
    • 2003
  • To prepare alkaline degreasing agents(SADAs), tetrasodium pyrophosphate(TSPP), $Na_2CO_3$, Tetronix T-701 (T-701), Na-dioctyl sulfosuccinate(303C), Demol C, and MJU-100A were blended. The prepared degreasing agents were tested with steel specimen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egreasing powers of SADA-6($Na_2CO_3$ 50g/TSPP 25g/T-701 10g/303C 15g/Demol C 12g/MJU-100A 8g/water 130g mixture) for press-rust preventing oil were 98% and 99% degreasing at 4wt%, 70 $^{\circ}C$ and 90 $^{\circ}C$, respectively; for quenching oil, the degreasing power of SADA-6 was 92% degreasing at 4wt% and 70 $^{\circ}C$. From these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SADA-6 exhibits a good degreasing power. Foam heights measured immediately after foaming by Ross & Miles method and Ross & Clark method at 6wt% and 60 $^{\circ}C$ were 16mm and 40mm, respectively. SADA-6 was proved a good low foaming degreasing agent.

철강용 알칼리세정제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Alkaline Cleaning Agents for Steel)

  • 근장현;함현식;박홍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5-40
    • /
    • 1993
  • Alkaline cleaning agent(ACA) was prepared by blending of POE(4)octadecylmine(S-204), $Na_2CO_3$, sodium orthosilicate(Na-OSi). Tetronix T-701(T-701), and MJU-100A. The physical properties of ACA tested with steel specime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leaning powers of ACA-6(S-204 80g/$Na_2CO_3$, 160g/Na-OSi, 80g/T-701, 60g/MJU-100A, 20g mixture) for press-rust preventing oil was 98% and 99% degreasing at 2wt%, $70^{\circ}C$ and $90^{\circ}C$, respectively : for quenching oil, the cleaning power of ACA-6 was 95% degreasing at 2wt% and $70^{\circ}C$. From these results, it was ascertained that ACA-6 exhibited a good cleaning power. Foam heights measured immediately after foaming by Ross & Miles method and Ross & Clark method at 3wt%. $60^{\circ}C$ were 17mm and 40mm, respectively. As the result, ACA-6 was proved a good low foaming cleaning agent.

알루미늄용 저기포성 산성탈지제의 제조와 그의 탈지효과 (Preparation and Effects of Low Foaming Acidic Degreasing Agents for Aluminum)

  • 하경진;박홍수;배장순;김영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1-77
    • /
    • 1997
  • Low foaming acidic degreasing agent(LFADAs) were prepared by blending sorbitol, n-octanoic acid, MJU-100A, Tetronix T-701, Na-dioctyl sulfosuccinate, Demol C, and phosphoric acid. The physical properties of LFADAs tested with aluminum specime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 when 3wt% LFADA-6 was performed at $70^{\circ}C$, the degreasing rate was 95% which is comparitively good, and the percentage of etching was 0.275% which was found to be less than that of commercialized product. When 20wt% of LFADA-6 was added at $65^{\circ}C$, the percentage of derusting was 92% and the good defoaming effect proved by following low foaming power tests respectively : Ross and Miles, and Ross and Clark methods.

The first record of the winter stonefly genus Mesyatsia Ricker & Ross, 1975 (Plecoptera: Taeniopterygidae) from Korea

  • Hwang, Jeong Mi;Hur, Jun Mi;Kang, Ji Hyoun;Bae, Yeon Jae;Muranyi, David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419-421
    • /
    • 2021
  • The genus Mesyatsia Ricker & Ross, 1975 is a small genus of the family Taeniopterygidae with only six species worldwide. This genus is mainly distributed in Asia, but has never been reported in Korea. In this paper, we report Mesyatsia makartchenkoi Teslenko & Zhiltzova, 1992 for the first time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Odaesan National Park, Bangtae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Gangwon-do, South Korea by mainly Malaise traps and a few by sweep net. Some pharate larvae and adults crawling on the snow were also collected by handpicking.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pterostigma with dark spots; abdominal sternum 9 with vesicle; abdominal tergum 10 medially divided into two; subgenital plate strongly elongated, scoop-shaped, upcurved with tongue-shaped apex; cercus blunt. We provide materials, diagnosis for newly recorded species, and distributions. Additionally, we include a provisional key to the genera of Taeniopterygidae from Korea based on males.

동일 조건에서 사육한 수컷 백세미, 브로일러 및 산란종 병아리에 있어서 도체 특성의 비교 (Comparisons of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Male White Mini Broilers, Ross Broilers and Hy-Line Brown Chicks under the Identical Rearing Condition)

  • 안병기;김재영;김지숙;이보근;이소연;이완섭;오성택;김종덕;김은집;현영;김희성;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9-155
    • /
    • 2009
  • 본 실험은 동일한 실험사료를 급여한 유사한 생체중의 백세미, 실용 육계와 산란종 수평아리의 도체 생산 효율 및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계종간의 육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각 100수의 백세미 수평아리, 실용 육계 수평아리, 산란종 수평아리를 펜당 25수씩 총 12개 펜에 임의 배치 하였다. 옥수수와 대두박 위주로 배합된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후 동일한 날짜에 도계하기 위해 백세미는 35일, 실용 육계는 18일, 산란종 수평아리는 49일간 사육하였다. 계종에 따른 도체 성적과 혈액 성상, 가식성 근육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근육 내 과산화물 생성, 항산화 활성, pH 변화 및 계육의 관능적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도체율은 백세미와 육계가 산란종 수평아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산란종 수평아리에서 날개와 다리 비율이, 백세미와 육계에서는 가슴육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GOT 및 GPT 활성에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질 분석에서 전단력가, 보수력 및 가열 감량에서 계종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슴 근육의 명도는 백세미가 가장 높았고, 가슴 근육의 황색도와 다리근육의 적색도에서 백세미와 육계가 산란종 수평아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항산화 활성과 pH 변화에서는 백세미와 육계가 산란종 수평아리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육질의 관능적 특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백세미가 산란종 수평아리보다 육색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풍미, 연도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는 계종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유사한 체중의 세계종을 비교하였을 때 산란종 수평아리에서 계육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은 백세미 및 실용 육계와 유의적으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도체 생산 효율, 성장 및 사료 요구율이 낮은 점을 감안한다면 산란종 수평아리의 활용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육계에서 품종 및 사육 밀도가 생산성 및 생리적 적응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ocking Density and Strain on the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Adaptive Responses in Broiler Chickens)

  • 장인석;윤서현;고영현;김세윤;송민혜;김종선;손시환;문양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5-215
    • /
    • 2014
  • 본 실험은 육계 품종(Ross vs. Cobb) 및 사육 밀도(표준 밀도구, $0.046m^2$/수 vs. 고밀도구, $0.023m^2$/수)가 생산성, 장기무게, 혈액 corticosterone, 친염증 사이토카인과 항산화 효소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전체 사육 기간 동안 품종에 따른 생산성 지표들은 차이가 없었으나, 사육 밀도에 따른 사양 성적은 두 품종 모두 고밀도 사육구(HD)에서 표준 밀도구(SD)에 비해 체중과 사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과 비장의 상대적 무게는 품종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으나(P<0.05), 사육 밀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혈액 corticosterone 농도는 품종 및 사육 밀도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계 품종 및 사육 밀도에 따른 친염증 사이토카인과 항산화 효소의 mRNA 발현 양상으로 간 조직에서 이들 사이토카인(IL-$1{\beta}$, IL-6, IL-18 및 IFN-${\gamma}$) mRNA 발현은 품종과 사육 밀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한편, 항산화 유전자인 GPX mRNA 발현은 품종에 따라 현저한 반응의 차이를 보였으며(P<0.05), Ross 품종이 Cobb 품종보다 GPX mRNA 발현이 낮았다. 사육 밀도 요인에 따른 차이를 보면, SOD, GPX 및 CAT의 mRNA 발현이 모두 고밀도 사육구에서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비장조직에서 대부분의 친염증 사이토카인은 품종 및 사육 밀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IL-18 mRNA 발현은 고밀도 사육 시 Cobb 종에서 발현이 감소되었다(P<0.05). 항산화 효소 mRNA 발현은 품종 및 사육 밀도 요인에 따라 SOD와 CAT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사양 성적은 육계 품종에 따른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사육 밀도는 생산성을 감소시켰다. 친염증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은 품종 및 사육 밀도에 따른 차이는 적었으나, 항산화 효소는 품종, 사육 밀도 및 장기조직에 따른 발현의 차이가 나타나 체내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지표로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남극 로스해 펜넬-이젤린 퇴 동쪽 대륙사면의 코어 RS14-GC2의 점토광물의 기원지 연구 (Origin of Clay Minerals of Core RS14-GC2 in the Continental Slope to the East of the Pennell-Iselin Bank in the Ross Sea, Antarctica)

  • 하상범;김부근;조현구;에스터 콜리자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18
  • 남극 로스해 펜넬-이젤린 퇴의 동쪽 대륙사면에 위치한 정점 RS14-C2에서 2014년 PNRA XXIX 탐사(Rosslope II Project)동안 중력코어(RS14-GC2)를 획득하였다. 퇴적물의 기원지 추정을 위하여 대자율, 모래 입자 함량, 점토광물 조성을 분석하고 AMS $^{14}C$ 연대를 측정하였다. 퇴적물은 주로 빙운쇄설물을 포함한 반원양성 사질 점토 또는 실트질 점토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의 최상부 연대는 현생 퇴적물과 홀로세 퇴적물을 지시한다. 방사성 탄소동위원소 연대와 퇴적물의 색, 대자율 및 모래 입자 함량을 이용하여 코어 퇴적물을 간빙기와 빙하기 퇴적물로 구분하였다. 간빙기의 갈색퇴적물은 대자율과 모래 입자 함량이 낮은 반면에 빙하기의 회색퇴적물은 대자율과 모래 입자 함량이 높다. 코어 퇴적물의 점토광물 조성은 전체적으로 일라이트(61.8~76.7%)가 가장 우세하며, 녹니석(15.7%~21.3%), 카올리나이트(3.6%~15.4%), 그리고 스멕타이트(0.9~5.1%)의 순서로 나타나고, 간빙기와 빙하기/후빙기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빙하기 동안 일라이트와 녹니석 함량이 우세한 것은 퇴적물의 기원지가 주로 로스해 빙상 하부에 위치한 남극종단산맥의 기반암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반면 빙상 후퇴에 의한 일라이트와 녹니석의 공급이 감소되어 간빙기 동안 상대적으로 스멕타이트 함량이 약간 증가하며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많이 증가한다. 더불어 간빙기 동안 로스해 서안의 빅토리아랜드 연안의 맥머도 화산군에서 북동쪽으로 흐르는 해류에 의해 스멕타이트가 추가로 공급되며, 카올리나이트는 카올리나이트의 함량이 풍부한 퇴적암이 분포하는 에드워드 7세 반도에서 공급되고 대륙사면류에 의해 대륙사면으로 운반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육용계의 부하시 체중 혹은 정강이 길이와 성장률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Association of Growth Rate with Body Weight or Shank Length at Birth in Broiler Chickens)

  • 석윤오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7-164
    • /
    • 2004
  • 육용계의 성장률 개량을 위한 조기 선발시, 부화시 체중과 부화시 정강이 길이 중 어느 형질을 기초로 하여 선발하는 것이 성장률 개량을 위해서 더 효율적인 방법인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의 일반 농가에서 주로 사육되고 있는 육용계 품종 중 Cobb 종과 Ross 종 두 품종을 이용하여 5주간 시험하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부화 당일에 각 품종별로 병아리 200수중에서 부화시 체중이 무거운 그룹(HBW)과 가벼운 그룹(LBW), 혹은 부화시 정강이 길이가 긴 그룹(LSL)과 짧은 그룹(SSL)으로 나누고 각 그룹당 25수씩(수평아리, 13수: 암평아리, 12수)선발하여 배치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품종 모두 부화시 체중이 유의하게(P < 0.05)더 무거웠던 개체들은 일반적으로 정강이 길이도 유의하게(P < 0.05)더 길었다. 시험 종료시 체중을 기초로 하여 그룹간에 비교를 하였을 때, Cobb 종은 BBW와 LSL간, 혹은 LBW와 SSL 그룹 상호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HBW는 LBW 보다, 그리고 LSL은 SSL보다 유의하게 5주령시 체중이 더 무거웠던 반면에, Ross 종에서는 4그룹 상호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낼 만큼 체중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한편 0 ~ 5주령간 정강이 길이의 변화에 대한 비교에 있어서는 두 품종 모두 4그룹 상호간에 크게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부화시 체중(BW)과 0~5주령간 성장률(GR), BW와 0~5주령간 정강이 길이(SL), 혹은 GR ${\times}$ SL 상호간 상관분석의 결과, 일반적으로 GR ${\times}$ SL 상호간에만 두품종 모두 유의한(P < 0.05 ~ 0.001)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성장률 개량을 위하여 조기 선발을 하는 경우, 부화시 체중을 기초로 하여 선발을 하든지, 아니면 부화시 정강이 길이에 의해 선발을 하든지 간에 부화 이후의 성장률에는 크게 차이가 없어 체중을 측정하는 것보다 정강이 길이를 측정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고, 또한 정강이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체중을 측정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부화시 체중을 기초로 하여 성장률 개량을 도모하는 편이 더 용이하리라 사료된다.

Dietary L-carnitine Influences Broiler Thigh Yield

  • Kidd, M.T.;Gilbert, J.;Corzo, A.;Page, C.;Virden, W.S.;Woodworth, J.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81-685
    • /
    • 2009
  • L-carnitine promotes mitochondrial ${\beta}$-oxidation of long chain fatty acids and their subsequent transport across the inner mitochondrial membrane. Although the role of L-carnitine in fatty acid metabolism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its role in live performance and carcass responses of commercial broilers is less understoo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if Lcarnitine fed at various levels in diets differing in CP and amino acids impacted on liv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broilers. Two floor pe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dietary L-carnitine in grower diets. In Exp. 1, Ross${\times}$Hubbard Ultra Yield broilers were placed in 48 floor pens (12 birds/pen) and fed common diets to d 14. A two (0 or 50 ppm Lcarnitine) by three (173, 187, and 202 g/kg CP)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was employed from 15 to 35 d of age (8 replications/treatment). An interaction (p<0.05) in carcass yield indicated that increasing CP (187 g/kg) resulted in improved yield in the presence of L-carnitine. Increasing CP from 173 to 202 g/kg increased (p<0.05) BW gain and decreased (p<0.05) feed conversion and percentage abdominal fat. Feeding dietary L-carnitine increased back-half carcass yield which was attributable to an increase (p<0.05) in thigh, but not drumstick, yield relative to carcass. In Exp. 2, $Ross{\times}Ross$ 708 broilers were fed common diets until 29 d. From 30 to 42 d of age, birds were fed one of seven diets: i) 200 g/kg CP, 0 ppm L-carnitine; ii) 200 g/kg CP, 40 ppm L-carnitine; iii) 180 g/kg CP, 0 ppm L-carnitine; iv) 180 g/kg CP, 10 ppm L-carnitine; v) 180 g/kg CP, 20 ppm L-carnitine; vi) 180 g/kg CP, 30 ppm L-carnitine; and vii) 180 g/kg CP, 40 ppm L-carnitine (6 replications of 12 birds each). BW gain, feed conversion, mortality (30 to 42 d), and carcass traits (42 d) were measured on all birds by pen. There were no treatment differences (p<0.05). However, the addition of 40 ppm L-carnitine in the 200 g CP/kg diet increased (p = 0.06) thigh yields relative to BW in comparison to birds fed diets without L-carnitine, which was further confirmed via a contrast analysis (0 vs. 40 ppm L-carnitine in the 200 and 180 g CP/kg diets;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L-carnitine may heighten metabolism in dark meat of commercial broilers resulting in increased relative thigh tissue accretion without compromising breast accretion.

남극 로스해 퇴적물로부터 분리된 세균의 다양성 및 생리학적 특성 (Diversity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ulturable Bacteria from Marine Sediments of Ross Sea, Antarctica)

  • 이영미;정유정;홍순규;김지희;이홍금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19-127
    • /
    • 2014
  • 남극 로스해의 퇴적물로부터 배양을 통해 분리한 균주의 분류 및 생리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리 세균 63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이들은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Alphaproteobacteria 및 Gammaproteobacteria 내의 21개의 파일로타입(phylotypes)에 속하였다. 98.65% 염기서열 유사도를 기준으로, 약 49%의 균주가 잠재적으로 신종 또는 신속 후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 중, 각각 46%, 25% 및 32%의 균주가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 지질분해효소 및 외부다당체 생성에 대한 활성을 나타냈다. 43개의 균주는 최소 1개의 세포외 분비 물질을 생산하였고, 이들 중 21개 균주는 최소 2개의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 지질분해효소 또는/및 세포외다당체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극 로스해 퇴적물 내의 배양된 세균 군집이 해당 환경에서 탄소와 질소와 관련된 유기물질의 가수분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