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les in reproduction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5초

공주패션의 역사와 사회문화적 고찰 -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 (A Study on the History of Princess Fashion and Its Socio-Cultural Implications -Focused on the Feminist's Viewpoint-)

  • 김성복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723-73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ulate on the history and the meaning of so-called "princess fashion" based on the feminist's viewpoint. While many designers in Korean fashion world have fostered the trend of princess fashion, relatively little insight has been developed regarding its socio-cultural meanings. For this problem, the researcher trac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incess fashion in both the western and the Korean fashion world. As a case of the princess fashion study, Andre Kim(a renowned Korean designer)'s collection was selected and analyzed since he has often been a central figure for the princess fashion trends in Korea. Here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princess fashion is the lavish dresses designed based on the western court dress styl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princess fashion was originated from the eighteenth century in France. In the nineteenth century, male designers took over the role to make extravagant dresses such as empire and crinoline dresses which became the prototypes for the princess fashion. In Korea, the western court dress style was introduced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 became a uniform of prostitutes during the Korean War. By analyzing Andre Kim's collection, it is found that his romantic dresses imitated the nineteenth century court dresses. Therefore, from the feminist's viewpoint, his princess fashion is a mere reproduction of anachronistic styles reflecting inferior and passive images of women. The researcher draws a conclusion that today's fashion should transcend the princess fashion that signifies the female's submissive-masochistic roles operated by the male's sexual expectation.

Wnt 신호 전달 연구의 최신 지견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Wnt Signal Transduction)

  • 김완태;차복식;조익훈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141-153
    • /
    • 2007
  • Wnt 신호 전달 과정은 다세포 생물체의 발생 과정에서 세포의 증식이나 분화를 조절하거나 성인 조직에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Wnt 신호 전달의 조절에 이상이 생기면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이 유발되어진다. 최근 들어서 Wnt 신호 전달의 이상에 의해 유도될 것이라고 생각되어지는 질병의 수가 많아져서, Wnt 신호 전달의 조절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가 많아지고 있다. 많은 리뷰 논문이 출판되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Wnt 전문가들을 위한 특정 논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처음으로 Wnt 신호 전달을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이 Wnt 신호 전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예가 있다. 본 총설에서는 Wnt 신호 전달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Wnt 신호 전달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과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내용들을 이해하고자 한다.

  • PDF

곤충의 페로몬 생합성 활성화 신경펩타이드(PBAN) (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in Insects)

  • 최만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5-28
    • /
    • 2022
  • 신경펩타이드(Neuropeptide)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성 물질로, 곤충 호르몬에서 가장 큰 그룹으로 차지한다. 이들은 곤충의 전 생육단계에 걸쳐 지방체의 항상성, 섭식, 소화, 배설, 순환, 번식, 탈피/변태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과 행동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있다. 신경호르몬 일종인 PRXamide (NH2) 펩타이드 계열 호르몬은 카르복실기 끝에 PRX (X, 다양한 아미노산)라는 공통의 아미노산 서열이 특징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곤충 전반에 걸쳐 발견된다. 곤충에서PRX 신경호르몬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련하고 있는데 호르몬구조와 기능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한다. Pyrokinin (PK)계열의 호르몬은 페로몬 생합성 활성화 신경펩타이드(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및 휴면 호르몬(diapause hormone, DH)이 속하며, 카파(CAPA) 펩타이드 호르몬, 그리고 탈피촉진 호르몬(ecdysis trigging hormone, ETH)이 여기에 속한다. PK 계열의 PBAN 호르몬은 지금으로부터 약 30년전 나방에서 처음 밝혀졌으며, 성페로몬 생합성을 자극하는 신경호르몬으로 확인되었다. 그 이후, PBAN의 연구는 절지동물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하여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본 종설은 PBAN의 유전자 구조와 발현, PBAN에 의한 세포신호 전달과 성페로몬 생합성에 관련된 생리적 기작, 그리고 신경호르몬과 PBAN을 이용한 새로운 해충 방제법 개발의 가능성과 예를 소개한다.

P19 배아 암종 줄기세포에서 RNA 간섭에 의한 Nanog 유전자 발현의 특이적 억제 (Specific Knockdown of Nanog Expression by RNA Interference in P19 Embryonal Carcinoma Stem Cells)

  • 최승철;임도선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2호
    • /
    • pp.159-168
    • /
    • 2008
  • Nanog is a newly identified member of the homeobox family of DNA binding transcription factors that functions to maintain the undifferentiated state of stem cells. However,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function of Nanog remain largely unknown. To elucidate the regulatory roles of Nanog involved in maintenance of P19 embryonal carcinoma (EC) stem cells, we transfected three small interfering RNA (siRNA) duplexes targeted against different regions of the Nanog gene into P19 cells. The Nanog siRNA-100 duplexes effective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Nanog up to 30.7% compared to other two Nanog siRNAs, the Nanog siRNA-400 (67.9 %) and -793 (53.0%). When examined by RT-PCR and real-time PCR, the expression of markers for pluripotency such as Fgf4, Oct3/4, Rex1, Sox1 and Yes was downregulated at 48 h after transfection with Nanog siRNA-100. Furthermore, expression of the ectodermal markers, Fgf5 and Isl1 was reduced by Nanog knockdown. By contrast, the expression of other markers for pluripotency such as Cripto, Sox2 and Zfp57 was not affected by Nanog knockdown at this time.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Lif/Stat3 pathway molecules and of the endoderm markers including Dab2, Gata4, Gata6 and the germ cell nuclear factor was not changed by Nanog knockd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knockdown of Nanog expression by RNA interference in P19 cells was sufficient to modulate the expression of pluripotent markers involved in the self-renewal of EC stem cells. These results provide the valuable information on potential downstream targets of Nanog and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Nanog in P19 EC stem cells.

  • PDF

말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의 생화학적 기능 (On the Biological Functions of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 민관식;윤종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9-308
    • /
    • 2002
  • eCG(말 융모성성선자극 호르몬)$\beta$와 eLH(말 황체형성호르몬)$\beta$는 하나의 유전자로 코드 되어 있으며, eCG와 eLH는 당쇄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데, LH는 sulfate가 CG는 sialylate가 수식되어 있다. eCG는 다른 동물에 있어서 강력한 FSH (난포자극)와 LH의 이중활성을 나타내어 아주 특이하고, 많은 탄수화물로 수식되어 있는 당단백질 호르몬이다. eCG의 이러한 이중활성은 성선 자극호르몬의 구조, 기능 및 수용체와 이들 호르몬과의 특이결합에 대하여 분자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데 아주 흥미롭다 따라서, eCG는 당쇄의 구조와 생화학적인 기능에서 아주 특이한 분자이다. 이러한 중요점을 당쇄첨가부위의 돌연변이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LH의 활성에서는 eCG$\alpha$의 56번 당쇄가 필수불가결한 역할을 하지만, eCG$\beta$의 카르복실기 말단의 O-linked 당쇄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N- 및 O-linked 당쇄 모두는 FSH활성에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양쪽 당쇄의 제거는 오히려 FSH 활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eCG의 LH와 FSH의 이중활성은 $\alpha$의 N-linked 당쇄의 제거와, $\beta$의 O-linked 당쇄를 제거함으로써 완전히 분리할 수 있으며, eCG에 있어서 당쇄는 생화학적 활성에 대하여 아주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단일체인 eCG($\beta$의 C-terminal에 u를 연결한)도 eCG$\alpha$/$\beta$ 및 천연형 eCG와 비교한 결과 효율적으로 분비되어지고 완전한 LH와 FSH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eCG 분자에 있어서 지금까지 문제시되어왔던 LH활성을 나타내지 않고, 높은 FSH 활성만을 나타내는 특이한 모델을 만들 수가 있으며, 현재 단일체인 분자에 있어서 당쇄의 기능에 대한구축은 각 단체의 결합,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당쇄 돌연변이 연구에 아주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태아모체간 계면에서의 면역학적 측면 (Immunologic Aspects at the Feto-Maternal Interface)

  • 정인배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93-100
    • /
    • 2001
  • 태아가 모체의 면역 거부 반응으로부터 회피될 수 있는 기전에 관한 연구는 반세기를 지내왔지만 아직까지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태아모체간 계면에서의 면역학적 기전이상은 자연 유산 및 습관성 유산, 태아발육제한, 임신성 고혈압 질환, 보조 생식술 후 착상실패, 태아 사망 등 각종 임신 합병증들의 병인으로 작용하므로 이 기전 규명은 매우 중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현재까지 이 면역학적 기전에 관해 밝혀진 내용들이 그 중요성의 정도순으로 기술되었다. 그 기전 이해에 관해서는 1) 융모외 세포영양모세포(extravillous cytotrophoblasts)가 표현하는 인백혈구 항원(HLA-C, E, G)과 자연살세포 수용체(NK cell receptor)들과 상호 관계가 그 핵심으로 2) 면역 조정(immunomodulation)과 3)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이 주된 기전이고 4) 보체(complement) 등 인백혈구 항원계(HLA system)이외의 인자들이 관여함 등으로 요약될 수 있고 이러한 무수한 기전들의 종합적인 면역 조정 결과가 해당 임신의 예후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향후, 각 기전에 대한 연구들, 특히 융모외 세포영양모세포(extravillous cytotrophoblasts)의 인백혈구 항원(HLA antigens)과 그 수용체(receptor)들의 조절기전, 사이토카인(cytokine), 보체(complement) 등의 역할에 관한 더욱 많은 연구가 진척되어야할 것이다.

  • PDF

한국 여성의 Lactadherin 유전자 Cloning과 발현 연구 (Cloning and Expression of Lactadherin Gene from Korean Women)

  • 염행철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53-261
    • /
    • 2007
  • Lactadherin은 모유의 유지방구막의 당단백질의 하나로 mucin, butyrophilin과 결합된 복합체이다. 특히 모유중의 mucin과 lactadherin은 출생 직후 면역력이 약한 유아를 병균의 침입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어하여 초기 유아의 생존과 성장 및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Lactadherin은 유아 설사의 원인이 되는 rotavirus의 번식과 성장을 억제한다. 아울러 이 단백질은 새로운 혈관의 형성을 촉진하는 주요한 단백질로 알려져 있으며, 이 단백질의 결핍이 치매의 발생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중요성이 강조되는 lactadherin에 대한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인 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 여성의 유선조직에서 mRNA를 분리하였고, 1.2 kb lactadherin cDNA 유전자를 cloning하여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배열을 결정하였다. 이 cDNA를 pET vector에 삽입하여 E. coli에서 43 kD 단백질을 발현시켰으며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으며, 이 단백질을 정제하여 토끼에서 항체를 생산하여, 한국 여성의 모유에서 발현되는 70, 55, 46, 30 kD의 band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백인 여성의 lactadherin 유전자와 한국 여성의 정상 및 유방암 조직의 유전자 비교에서 다양한 SNP가 관찰되었고 변이의 다형성이 관찰되었다.

  • PDF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교육 요구 내용 분석 (Analysis of Needs for Sexu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Children)

  • 양순옥;정금희;한영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5-2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higher-grade primary school children's needs for sexual education. We got the data with open question from 481 children from March to July 1999. We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 framework suggested by the Sex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USA. The framework involves the six domains such as human development, relationship, personal skills, sexual behavior, sexual health, and society & culture. In the analysis of need for sexual education according to domain, need for human development was highest (79.2 %), after that followed society & culture (8.3 %), sexual health (5.8%), sexual behavior (3.6%), and relationships (3.1%). There was no need for personal skills. By topics, there were needs for puberty (38.0%), reproduction (32.5%), gender roles (6.0%), body image (4.9%), sexual abuse (2.4%) and reproductive health (2.4%). Girls and boys all mostly wanted to know human development 41.0 % and 38.2 % each. Society & culture (3.4 %), sexual behaviour (2.7%), sexual health (2.6%), relationship (2.4%) were domains selected by boys. Girls wanted to know society & culture (4.9%) and 'sexual health (3.2%). Comparing by grad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are commonly interested in development, society & culture. Fourth grade children scarcely show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sexual behaviour and sexual health; meanwhile sixth grade children would like to know sexual behaviour and sexual health. When their grade became higher, they would like to know more precise, concrete and deep information. We suggest that the textbook/guidebook for sexual health for the higher-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sex and grade.

  • PDF

착상과 임신 초기 면역반응에서 T 림프구의 역할 (Roles of T Lymphocytes in Early Human Reproduction)

  • 양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3호
    • /
    • pp.151-162
    • /
    • 2009
  • 착상, 태반생성 및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semi-allograft인 배아 및 태아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모체 면역계의 면역관용이 요구된다. 면역관용은 분자 생물학적으로 염증반응과 항염증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인식되고 있으며, 생식과정에서 모체 면역계의 T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등 여러 면역세포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이루어진다. 면역세포들은 특정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따라 정반대의 성질을 가진 사이토카인을 생산, 분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각을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면역세포로 명확히 구분할 수 없으며 면역세포의 이러한 특성에 의해 생산 및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에 따라 Th0 형 (Th 0 cell, Tc 0 cell, NK 0 cell), Th1형 (Th 1 cell, Tc 1 cell, NK 1 cell), Th2 형 (Th 2 cell, Tc 2 cell, NK 2 cell), Th3 형 세포 (Th 3 cell, Tc 3 cell, NK 3 cell)로 분류하기도 한다. 즉, 착상 시기에 혈관신생 및 영양막의 자궁 내 침투를 위한 적절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의 분비 및 임신의 지속을 위한 항염증성 (anti-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분비 등 생식과정에서 수반되는 염증성과 항염증성 면역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기전은 특정 면역세포만의 작용으로 결론 지을 수 없으며 면역 세포간 network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Figure 5). 면역세포 중 최근 그 존재가 알려진 면역조절 T림프구 (T reg cell)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면역관용에 관여함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어 자궁 내모체-태아간 접촉면에서 면역세포들 간의 network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작용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설들을 뒷받침 할 만한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찰에서는 착상과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 수반되는 면역세포 및 그 세포들의 작용기전중 T 림프구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그 분류 및 기능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착상과 임신의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T 림프구는 면역관용과 거부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착상부전, 습관성유산 등 면역학적 병인이 유사한 생식장애 (poor reproductive performance)들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향후 T 림프구 및 그와 연관된 면역세포들의 작용에 대한 확실한 분자학적 규명이 요구된다.

기록되기 전엔 알 수 없는 것들 (Things unknown before being recorded)

  • 이경희;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68호
    • /
    • pp.107-150
    • /
    • 2021
  • 재현은 존재를 인식하는 것부터 시작하고, 기록은 존재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상호 순환적이다. 인식되지 못하는 존재는 기록이 없고, 그나마의 기록은 왜곡되며, 왜곡된 표상이 대상을 대표하면서 비가시성을 심화한다. 말하지 못하고 재현되지 못하는 존재를 스피박(Spivak)은 서발턴(Subaltern)으로 명명한다. 이 글은 식당여성노동자에 대한 공공기록과 언론보도, 연구물 등을 살펴 그들 기록이 가진 서발턴적 특징과 한계를 밝히고, 서발턴의 기록화를 위해서 고민해야할 지점과 구체적인 역할을 제안한다. 시대와 사회를 담지한 개체이자, 차이적 존재로서 사람 자체가 온전히 기록되어 재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면, 기록이 가지는 설명책임성은 기관을 넘어 시대와 사회로 확장되고, 개인과 공동체는 정치적 주체로 세워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