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준만 (2014). 감정독재. 서울: 인물과사상
- 고용노동부 (2020.9). 2019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보고서.
- 고용노동부 (2020). 2020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보고서.
- 김소연 (2019). 다양한 노동기억의 전승을 위한 지역노동자공동체 구술기록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김수환 (2009). 정체성과 그 잉여들 : 문화기호학과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18, 71-98.
- 김영. 설문원 (2015).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_밀양765kV 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4, 101-151. https://doi.org/10.20923/kjas.2015.44.101
- 김원 (2011).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 서울: 현실문화
- 김원정 (2011). 식당여성노동자 인권적 노동환경 만들기 : 문제 진단과 정책.설천과제. 한국여성민우회 발간자료, Vol.2011.
- 김익한. 장대환 (2018).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 기록학연구, 59, 277-320.
- 김창래 (2012). 상, 재현, 언어, 가다머의 언어개념. 철학, 제10집, 49-82.
- 김효정 (2009).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노동의 의미에 관한 연구 : 소규모 식당노동종사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 농림축산식품부 (2019). 2019 국내 외식 트렌드 조사보고.
- 류한조 (2008). 재현을 위한 기록콘텐츠 개발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박성수 (2000). 재현, 시뮬라르크, 배치. 문학과학, 24호.
- 백선기 (2006). 한국 언론의 소수자.약자 보도 경향과 사회문화적 함축의미. 저널리즘평론, 2005년 2호 통권 21호, 10-62.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5). 서비스업 종사자 보호를 위한 산업안전보건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노동권익센터 (2017). 서울지역 여성 비정규직 노동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 설문원 (2019). 기록이란 무엇인가 : 활동의 고정적 재현물로서의 개념 탐구. 기록학연구, 59, 5-46.
- 송기역 기획 (2015). 숨은 노동찾기. 파주: 오월의봄.
- 송지수 (2019). 다큐멘터리 노동기록 재현과 사회적 함의 : 영화 <위로공단>의 기록활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신경아. 박기남 (2006). 소규모 서비스업 여성노동자 실태조사 및 정책연구_10인미만 음식점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소규모 음식점업 여성노동자 실태와 정책 과제 토론회 자료집. 민주노동당.국회의원 단병호.
- 신승환 (2017). 생명정치학의 철학적 지평. 철학논집, 제51집. 155-181 https://doi.org/10.17325/SGJP.2017.51..155
- 안미선 (2019). 여성 목소리들. 파주: 오월의봄.
- 안수찬. 임인택. 임지선. 전종휘 (2012). 4천원 인생. 서울: 한겨레출판.
- 안채영. 김지현 (2020).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 평가 개선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66. 105-155. https://doi.org/10.20923/kjas.2020.66.105
- 여성노동자글쓰기모임 (2016). 기록되지 않은 노동. 서울: 삶창.
- 윤은하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057
- 이문영 (2017). 웅크린 말들. 서울: 후마니타스.
- 이승원. 정경원 (2011). 우리가 보이나요?. 고양: 한내.
- 이윤재 (2017). 여성인권기록화 전략연구: 성차별 기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진태원 (2018). 을의 민주주의. 서울: 그린비.
- 질병관리본부 (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조사결과.
- 천정환 (2011). 서발턴은 쓸 수 있는가: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과 민중문학의 재평가를 위한 일고. 민족문학사연구, 47호, 224-254.
- 통계청 (2019.11). 2019년 10월 고용동향.
- 통계청 (2020).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지업별 특성'.
- 한국노동연구원 (2016). 음식점 및 주점업의 산업특성과 고용구조 변화. 월간 노동리뷰, 2016년 6월호, 65-75.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2017년 서비스업 조사 외식업 주요 동향 및 특징.
- 한국여성민우회 (2011.9). 식당여성노동자 노동인권 실태조사 '식당여성노동자의 인권적 노동환경만들기' 토론회 자료집.
- Berger, J. (2019). Confabulation. 김현우 옮김 (2019). 우리가 아는 모든 언어, 파주: 열화당
- Jalbert, P. L. (1983), Some Constructs for Analysing News. In Howard Davis & Paul Warton(eds.), Language, Image, Media, Newyork : St. Martin's Press.
- Jimerson, R. C. (2009). Archives Power :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옮김 (2016). 기록의 힘 :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Ranciere, J. (1998). Aux boreds du politique. 양창렬 옮김 (2016).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서울: 도서출판 길.
- Fly, D. L. (1985), Differential Ideology and Languafe Use : Reader's Reconstruction and Edscriptions of News Events,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2(4).
- Spivak, Gayatri Chakravorty (1988), Can the Subaltern speak?, Maxism and interpretation of cultu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Yeo, Geoffrey. (2007), Concepts of record (1) : Evidence, information, and persistent representations. The American Archivist 70(Fall/Winter 2007). 315-343. https://doi.org/10.17723/aarc.70.2.u327764v1036756q
-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http://www.kinds.or.kr
- 영국 영파운데이션, https://www.youngfoundation.org/publications/rough-nights-thegrowing-dangers-of-working-at-night/
- 한국 여성노동자 '37년의 기록' 투쟁, 그 이후. (2019.10.12).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10120600025&code=940100
- 머리가 하는 노동, 손이 하는 노동. (2017.7.27). 한국일보, http://hankookilbo.com/v/f7ff09cc4af3477e9218a5c83286815f
- 가난한 청년 뒤엔 가난한 부모 있다. (2016.1.26).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1262259135&code=940100
- 여성 노동력, 불안정 직업군에 쏠려 있다. (2018.4.11).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40197.html
- 식당.술집서 등 떠밀린 이직자 사상최대. (2018.8.12). 한국일보, http://hankookilbo.com/v/e0ceab58f0f3469ca566df4497893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