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gazine Farmer's Life and the Daily Archives

잡지 『농민생활』과 일상 아카이브 연구

  • Received : 2021.03.11
  • Accepted : 2021.04.19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Magazines also contain the daily lives of contemporary ordinary people. These characteristics serve as the possibility of daily archives. This study aims to build daily archiv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agazine Farmers' Life published in Daejeon for those archival values. To do that, it classified the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Farmers' Life for 14 years from 1954 to 1967, it analyzed personal and organizational information, and also it implemented the daily life of farmers and rural society. The conclusion of the analysis on Farmers' Life summarized into following five points. First, the value of Daejeon private archives proved. Seco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people who were active in various fields of the society identified, and It classified by professional occupations such as politician, professor, agricultural scholar, doctor, and cartoonist, etc. Third, information on the organizatio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was able to collect that of some government organizations, public-private organizations, U.S. aids and 4H organizations. Fourth, certain evidence presented that help to correct the records that recorded wrongly or omitted or in need of speculation in the Christian Magazines, Literature and Art Fields. Fifth, the daily life of rural society and farmers classified into the series and organized into daily archives. This paper presented as a basic database to perceive the rural society and farmers' daily life in the 1950s and 1960s.

잡지는 동시대 보통사람들의 일상을 담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특성은 일상 아카이브의 가능성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대전에서 발행된 잡지 『농민생활』의 내용과 기록가치를 분석하여 일상 아카이브로 구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54년부터 1967년까지 14년 간 발행된 『농민생활』에 수록된 기사를 대상으로 기사의 내용을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농민생활』의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는 다음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대전지역의 민간기록물의 가치를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던 인물들의 인명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정치인, 농업학자, 교수, 의사, 만화가 등 전문직업별로 분류하였다. 셋째, 농업분야조직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정부조직, 민관조직, 미국원조 및 4H조직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기독교잡지, 문학, 예술분야에서 오기 또는 누락되어 있거나 추정에 의존하는 기록들 중에서 수정할 수 있는 내용을 찾아 제시하였다. 다섯째, 농촌사회와 농민들의 일상생활을 시리즈로 분류하여 일상 아카이브로 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1950, 60년대 농촌사회와 농민의 일상세계에 접근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농민생활 1954년 6월-1967년 6월, 16(1)-29(6).
  2. 곽건홍 (2009). 자율과 분권, 연대를 기반으로 한 국가기록관리 체제 구상. 기록학연구, 22, 3-35. https://doi.org/10.20923/kjas.2009.22.003
  3.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https://doi.org/10.20923/kjas.2011.29.003
  4. 곽건홍 (2012). 한국의 노동아카이브와 노동자들의 기록. 2012년 명지대학교 인간과기록연구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1-12.
  5. 곽건홍 (2015). 1960년대 대통령기록 분석: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5, 189-217. https://doi.org/10.20923/kjas.2015.45.189
  6. 김상신 (2016). 젠킨슨과 쉘렌버그의 기록학 이론 비교연구. 기록학연구, 50, 61-95. https://doi.org/10.20923/kjas.2016.50.061
  7. 김익한 (2012). 일상 아카이브의 미래를 여는 단상들. 2012년 명지대학교 인간과기록연구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38-43.
  8. 김주평, 임종빈 (2000). 기독교에 관련된 한국의 잡지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21, 145-168.
  9. 김하나 (2019). 걷기 아카이브.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10. 김흥수 (2010). 기독교연합봉사회: 1950년대의 기독교연합사업 연구. 한국기독교와 역사, 33, 81-108.
  11. 남경호 (2005). 시사만화의 기록학적 관리방법론: 정리기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기록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2.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2000. 5. 2). 대전충남기록문화발전을 위한 포럼 보도자료.
  13. 박선지, 임은혁 (2017). 1960년대 새농민 표지에 표상된 여성이미지.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7(4), 39-48.
  14. 박태일 (2014). 1930년대 평양 지역문학과 농민생활. 2014 한국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 337-364.
  15. 설문원 (2011). 예술기록의 분류와 정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217-2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2.217
  16. 심성보 (2011). 일상 아카이브즈를 통한 생활세계 연구의 가능성. 국제한국학연구, 5, 93-109.
  17. 안병직 (2006). 서양사에서의 일상사 연구 동향: 나치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사시민강좌, 39, 221-240.
  18. 연규홍 (1999). 기독교연합봉사회 50년사. 대전: 사회복지복인 기독교연합봉사회.
  19. 오윤택 (2014). 일상아카이브 방법론을 통한 새로운 대학기록 수집방안: 학생공동체 기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
  20. 윤경선 (2017). 잡잡지 컬렉션 조직에 관한 연구 : 월간 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
  21. 윤주범, 김연주, 송혜현, 김재훈, 정민경 (2013). 영구기록물 정리.기술지침. 대전: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부 공개서비스과.
  22. 이상민 (2003). 아키비스트 윤리규약과 논평. 기록학연구, 7, 199-214. https://doi.org/10.20923/kjas.2003.7.199
  23. 이승억 (2018). 기록의 평가선별: 영구 보존할 기록을 어떻게 선별할 것인가?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조은글터, 175-216.
  24.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Community Archpe)' 시론: 마을 차원의 "책, 기록, 역사, 그리고 치유와 창업의 커뮤니티"를 위한 제안. 기록학연구, 18, 221-254. https://doi.org/10.20923/kjas.2008.18.221
  25. 이젬마 (2011). 기록분류.조직. 기록관리총서, III. 대전: 국가기록원 기록관리교육과.
  26. 이형희 (2018). 지역문화잡지의 지역아카이빙 활동과 발전방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27. 임진희 (2011). 일상 아카이브즈 구축방안. 국제한국학연구, 5, 11-128.
  28. 전영주 (2019). 평양잡지 농민생활 문예란과 시문학의 메타모포시스. 국제언어문학, 44, 217-243.
  29. 한규무 (2010). 1950년대 기독교연합봉사회의 농민학원 설립과 운영. 한국기독교와 역사, 33, 109-132.
  30. 홍창수 (2018). 강소천의 아동희곡 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3, 309-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