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binia pseudo acacia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초

Characterization of Peanut stunt virus Isolated from Black Locust Tree (Robinia pseudo-acacia L.)

  • Bang, Ju-Hee;Choi, Jang-Kyung;Lee, Sang-Y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25-130
    • /
    • 2006
  • An isolate of Peanut stunt virus (PSV) isolated from black locust tree (Robinia pseudo-acacia L.) showing severe mosaic and malformation symptoms, was designated as PSV-Rp. PSV-Rp was characterized by the tests of host range, physical properties, RNA and coat protein composition and RT-PCR analysis. Nucleotide sequences of the cucumoviruses CP genes were also used for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SV-Rp. Six plant species were used in the host range test of PSV-Rp. PSV-Rp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each Cucumovirus strain used as a control by symptoms of the plan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PSV-Rp virus were TIP $65^{\circ}C$, DEP $10^{-3}$, and LIP $2{\sim}3$ days. In dsRNA analysis, PSV-Rp consisted of four dsRNAs, but satellite RNA was not detected. Analysis of the coat proteins by SDS-PAGE showed one major protein band of about 31 kDa. RT-PCR using a part of Cucumovirus RNA3 specific primer amplified ${\sim}950bp$ DNA fragments from the crude sap of virus-infected black locust leaves. RFLP analysis of the RT-PCR product could differential PSV-RP from CMV The nucleotide sequence identity between the PSV-Rp CP and the TAV-P CP genes and the PS-V-RP CP and CMV-Y CP genes were 61.6% and 40.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nucleotide sequence identity of the PSV-Rp CP gene was $70.9%{\sim}73.4%$ in comparison with those of PSV subgroup I (PSV-ER and PSV-J) and 67.3% with that of PSV subgroup II(PSV-W). Especially, the nucleotide sequence identity of PSV-Rp CP gene and that of PSV-Mi that was proposed recently as the type member of a novel PSV subgroup III was 92.4%.

전주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지의 생육환경으로 본 자연유산 가치 분석 (Analysis on the Growth Environment of Chionanthus retusus Community at the Wansanchielbong in Jeonju)

  • 김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5-97
    • /
    • 2010
  • 본 연구는 전주시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 군락지의 토양환경 및 식물상 그리고 식생구조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 이를 토대로 현재 시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현재의 자연유산적 가치를 제고하고자 시도되었다. 전주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지의 토양산도는 pH 5.69였으며, 유기물함량은 평균 4.98%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생과 식물상을 볼 때 비록 단위 규격은 월등한 규모는 아니지만 수고 2m 이상의 이팝나무 개체수는 107그루에 이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고 2m 이하의 관목과 치수는 63그루가 확인되는 등 순수 단일 군락으로서의 종조성을 보이고 있는 점도 매우 주목할 만하다. 뿐만 아니라 어린 치수에서부터 거의 노거수로 분류되는 개체까지 다양한 영급의 수목이 함께 자생하는 것으로 보아 지속가능성 또한 매우 높은 실정이다. 그리고 이팝나무가 자생하는 완산칠봉은 역사적 순교지이기도 하며 전주십경 중 하나인 곤지망월(坤止望月)의 주대상으로 서의 역사성도 함께 간직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심지내 자생 희귀 수종인 이팝나무가 안정된 군락을 이루고 있음은 국내에서 그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도심내 한복판에 존재하기 때문에 교란과 훼손의 위협은 물론 토지이용의 요구 또한 지속적으로 받고 있었기 때문에 현재 전주시 보호림의 지정 차원에 머물 것이 아니라 장차 최소한 시 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적극적인 보호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 조사 자료가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지의 합리적인 보전 및 생태적 관리방안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야생딱총나무(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의 조경식목 화를 위한 기초 연구 (Studies on the Sambucus silliamsii var. coreana Nakai for Landscape use)

  • 김정미;박용진;이기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9-148
    • /
    • 1993
  • The present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plant's growth environments habitate, mode of life, characteristic of photosynthesis, habit of growth and propag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distributes around all sides of native site without having any relation to altitude, inclination and direction. 2. In the native site, Robinia pseudo - acacia and its neighboring species were Prunus yedoensis, Acer pseudo-sieboldianum, Lindera obtusiloba and Staphylea bumalda. From 21 to 41 types of species were located in the vegetation of the quadrat area. 3.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leaf temperature with the result of the change of net photosynthetic rate, the optimum temperature for growth is $25^{\circ}C$. 4. The rooted rate of vegetative propagation was the highest at 100ppm IBA plot and the lowest at 200ppm BA plot. 5. The rooted rates of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in perlite 50% bed, vermiculite bed and peatmoss 50%+sand 50% bed are higher than others.

  • PDF

아까시아나무 모자익병에 관한 연구 2 (Mosaic Disease of Black Locust on Rodinia pseudo-acacja L.(Par. 2))

  • 김종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2-26
    • /
    • 196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ost range of the mosaic disease of black locust in the Chunchon area, the sap of the mosaic-diseased leaves of black locust itself and the cowpea leaves infected with the above mentioned sap, were inoculated to 53 species of plants belong to 12 families. As to the result, no difference in infection was found as related to the virus sources, and the infection was recognized in 4 species of the family Chenopodiaceae and 8 species of the family Leguminosae. The plants recognized as hosts are as follows: the plants which showed local infection are Chenopodium album, Ch. ambrosioides, Ch. quinoa; the plants which showed systemic infection are Chenopodium amaranticolor, Phaseolus vulgaris, Robinia pseudo-acacia, Vigna sinensis; and Astragalus sinicus, Melilotus indicus, Phaseolus angularis, Pisum sativum and Vicia faba were recognized as carriers. Through investigating its host ranges and symptoms, this mosaic virus of black locust seems not to be regarded as the group of the black locust mosaic virus in southeastern Europe reported by Milinko et al (1961). And, too, it is thought hardly to exist in combination with the cowpea mosaic virus. It appears, therefore, that this mosaic virus was confined to that of black locust.

  • PDF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종자 단백질의 전기 영동 변이

  • 김창호;이호준;김용옥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515-526
    • /
    • 1993
  • 한반도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종자의 생태학적 형질변이를 추적하기 위하여, 북위34$^{\circ}$18'~38$^{\circ}$36'사이에 위치한 15개 지역(대진, 속초, 강릉, 수락산, 홍천, 광릉, 남한산성, 충주, 예산, 안동, 전주, 달성, 창원, 목포, 완도)을 선정하여 채종한 종자를 재료로, 단백질 패턴 및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SDS-PAGE에 의한 단백질 패턴 분석결과, 전 지역데 걸쳐 총 35개의 밴드가 분리되었으며 최고 분자량은 142,232 daltons, 최저 분자량은 17,258 daltons였다. 분리된 단백질 밴드 수를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대진, 속초가 32개로 가장 많은 반면, 홍천과 달성은 23개로 가장 적었으며, 대체로 고위도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각 단백질 밴드의 유무에 따라 지역에 따른 단백질 패턴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중북부 동해안형(대진, 속초, 강릉)과 중부형(수락산, 홍천, 광릉, 남한산성, 충주) 및 남부형(에산, 안동, 전주, 달성, 창원, 목포, 완도)등 3가지 지역 유형이 구분되었다. 단백질 패턴의 지역간 유사도 지수(Jaccard 계수)를 근거로 UPGMAdp 의한 cluster analysis 결과, 중북부 등해안형(속초, 강릉), 중북부 I형(수락산, 홍천), 중북부 II형(남한산성, 충주, 대진), 중북부III형(광릉), 중남부형(예산, 달성, 전주) 및 남부형(안동, 창원, 목포, 완도)등 6개 유형이 식별되었다. 분리된 단백질 밴드 가운데, 모든 지역세어 No.12밴드(78,162daltons)가 가장 높은 염색 강도를 나타냈고, No.11.12.13.과No.23~28 밴드 역시 비교적 높은 염색강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총 단백질 함량이 높은 창원, 목포, 완도 등 남부형 지역에서 특히 높은 염색 강도를 나타냈다. 총 단백질 함량은 각 지역별로 최저9.68mg/g(수락산)에서 최고17.30mg/g(전주)에 이르는 다양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대체로 저위도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남산의 소나무림, 신갈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의 낙엽생산과 토양유기탄소 동태 (Litter Production and Soil Organic Carbon Dynamincs of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in Mt. Nam)

  • 정헌모;김해란;신동훈;이경미;이승혁;한영섭;장래하;이상경;김태규;유영한
    • 환경생물
    • /
    • 제31권2호
    • /
    • pp.87-95
    • /
    • 2013
  • 남산의 소나무림, 신갈나무림 그리고 아까시나무림에서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의 월별 낙엽생산량과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조사하였다. 소나무림은 2008년과 2009년 모두 10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008년 1월과 2009년 1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신갈나무림은 2008년과 2009년 모두 11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아까시나무림은 2008년 11월과 2009년 10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2008년 1월과 2009년 12월에 낙엽생산량이 가장 적었다. 이것은 한반도 중부에서 상록성의 소나무림이 낙엽성의 참나무숲 보다 더 일찍 낙엽이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의 2년 평균의 낙엽생산량은 7.07, 6.36, $5.02ton\;ha^{-1}$로 소나무가 가장 많았다.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 아까시나무림의 2년 평균의 토양유기탄소량은 76.2, 68.6, $72.5ton\;C\;ha^{-1}$로 소나무림에서 가장 많았다. 이처럼 소나무숲에서 높게 나타난 것은 남산에서 신갈나무나 아까시나무를 벌목하여 임목밀도가 줄었기 때문이다.

아카시아 잎에서 분획(分劃)한 엽록체단백질(葉綠體蛋白質)과 세포질단백질(細胞質蛋白質)의 영양가(榮養價) 및 기능적(機能的) 성질(性質) (Nutritive Value and Functional Properties on Fractionated Chloroplastic and Cytoplasmic Protein from Leaves of Acacia(Robinia pseudo-acacia Line))

  • 김종규;강갑석;고영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1-325
    • /
    • 1983
  • 아카시아 엽단백질(葉蛋白質)을 식량화(食糧化)할 목적(目的)으로 엽록체단백질(葉綠體蛋白質) 및 세포질단백질(細胞質蛋白質)을 조제(調製)하여 영양가(營養價)와 기능적(機能的)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아카시아잎의 엽록체단백질(葉綠體蛋白質) 및 세포질단백질(細胞質蛋白質)은 methionine 과 tryptophan 이 제한(制限) 아미노산 이었다. 2. 소화율(消化率)은 엽록체단백질(葉綠體蛋白質)이 72.59%, 세포질단백질(細胞質蛋白質)이 62.24% 이었다. 3 부피밀도, 흡수도(吸水度), 유화능력(乳化能力)및 유제(乳濟)의 안정성(安定性)은 milk casein에 비해 별차이가 없으나 용해도(溶解度)는 상당히 낮았다. 4 세포질단백질(細胞質蛋白質)의 지방흡착도(脂肪吸着度)는 milk casein 과 비슷하나 엽록체단백질(葉綠體蛋白質)은 상당히 낮았다.

  • PDF

북한산 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의 5년간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for Five years in Puk′ansan National Park)

  • 최송현;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48
    • /
    • 1993
  • 본 연구는 과중한 이용압력과 대기오염 및 산성우에 의한 만성적 피해로 날로 훼손되어 가는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기왕에 조사된 기초자료(박 등, 1987)와 비교하여 천이의 발달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 26군데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식물군집구조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해 TWINSPAN에 의한classification 및 ordination기법중 RA, DCA, CCA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북한산 국립공원은 해발고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각각의 군집은 아까시나무-참나무류군집, 혼효림군집, 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이었다.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해발고 500m이상의 교목상층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해발고 500m이하 교목상층에서 아까시나무$\longrightarrow$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순이었으며, 교목하층과 관목층에서는 산초나무, 참싸리나무$\longrightarrow$개옻나무, 진달래, 철쭉$\longrightarrow$당단풍 순이었다. 2. 1987년도의 식물군집구조조사와 비교하여 천이가 진행된 자료는 얻을 수 없었고, 인간의 간섭과 대기오염 등에 의해 천이가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아카시아꽃잎 발효액의 미백 및 항산화활성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ation Broth of Acacia Flower (Robinia pseudoacacia))

  • 김유근;디엡느구팜;이영훈;조지중;최은영;이용현;김성배;김창준
    • 청정기술
    • /
    • 제23권4호
    • /
    • pp.401-407
    • /
    • 2017
  • 본 연구에서 아카시아꽃잎을 기질로 미백효과와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을 생산하는 플라스크 발효법을 개발하였다. 아카시아꽃잎 추출액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지 않은 반면, 2년 전통발효액과 2년 전통발효액을 접종한 아카시아꽃잎 플라스크 발효액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였다. 아카시아꽃잎 플라스크 발효농축액 10% 포함된 용액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40%였고 농축액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해율도 증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인 알부틴($20mg\;mL^{-1}$)과 코직산($80{\mu}g\;mL^{-1}$)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각각 90%와 58%였다. 이는 플라스크 발효농축액 40%가 포함된 용액의 미백성능이 코직산($80{\mu}g\;mL^{-1}$)의 성능과 비슷함을 보여준다. 농축액이 20% 포함된 용액의 항산화활성은 56%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용액의 항산화활성도 점차 증가하여 농축액이 60% 포함된 용액의 항산화활성은 98%였다. 이는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비타민 C 수용액($10mg\;mL^{-1}$)과 동일한 항산화능력이다. 모든 농도의 발효농축용액에서 95%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어 발효액은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온에 보관된 아카시아꽃잎 발효상등액은 pH와 당도 변화가 없었고 분리, 변색, 및 변취 등의 관능적 성상의 변화가 없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본 결과는 아카시아꽃잎 플라스크 발효액이 안전하고 미백 및 항산화효과가 뛰어나 미백화장품 원료로 사용가능함을 보여준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하여 아카시아꽃잎 발효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 배양방법이 개발되었음을 시사한다.

영일 조림지역의 식생 동태 (Vegetation Dynamics in Afforested Area of Yungil)

  • Ri, Chong 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1호
    • /
    • pp.25-31
    • /
    • 1986
  • A study was made on the change of vegetation in Yungil area after the erosion control works. The area was divided into three major areas, the devastated land area, the afforested area and the subclimax area. Two groups of plant, i.e., the common species in all area and the different species confined in the subclimax area, were identified by the interspecific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positive correlation value at 5% significance level. High similarity among the sites in the afforested region was indicated by the DIF (difference measure) value, lower than 0.33. However, the devastated area and the subclimax area were distinguished completely. The change in species diversity has been extremely low since the erosion control works. Robinia pseudo-acacia wa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afforested region and showed an adequate growth stat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