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Name Address syste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Redefining Korean Road Name Address System to Implement the Street-Based Address System

  • Choi, Jihye;Lee, Jiye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81-394
    • /
    • 2018
  • An address is sub-spatial data representing a location, and identifies the place in which a resident's life is based. The Korean address system has changed from an area-based address system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n 2014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rea-based address system and to accept the international address standards. Althoug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s continually being modified and implemented it limit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these limitations and to analyze and redefine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of Korea to implement the street-based address system. To understand the address, we define the components of the address system and analyze the Korean Road Name Address System based on each component to derive the limit.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and to implement the street-based address system,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s redefined according to three aspects. Finally, we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through address based geocoding.

수치지도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매칭 및 속성 융합 방안 - 도로중심선 레이어를 중심으로 - (Matching and Attribute Conflating Method for Linking the Digital Map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Focused on the Road Centerline Layer -)

  • 방윤식;가칠오;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9-388
    • /
    • 2012
  •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도로명주소 체계가 시행 및 활용되고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국가기본도인 수치지도는 현재 도로명주소 체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관계로 도로명주소 체계하에서의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에 도로명주소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확장형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먼저 도로명주소 지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레이어와의 중첩 분석을 통하여 두 레이어의 객체간 매칭 관계를 도출였으며, 두 레이어의 속성항목 분석을 통하여 도로명주소 지도에서 수치지도로 추가할 속성항목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도로명주소 지도의 도로명주소 관련 속성정보들을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데이터로 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속성 확장된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레이어는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른 도로명 정보를 속성으로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수치지도 활용시에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른 위치참조가 가능하게 된다.

신뢰도 향상과 활용성 제고를 위한 도로명주소기본도의 오류 및 정확도 분석 (Error and Accuracy Analysis about Road Name Address for Reliability Improvement and Efficient Utilization)

  • 이종신;김정현;김민규;윤희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23-230
    • /
    • 2015
  • 기존 지번방식의 주소체계로부터 도로명주소체계로의 변환으로 인해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도로명주소의 활용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도로명주소기본도 데이터의 신뢰성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는 데이터의 정확도를 뜻한다. 그러나 도로명주소기본도는 작성당시 서로 다른 도면의 사용으로 인해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활용성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시도별 도로명주소기 본도의 구축현황을 파악하고, 도로명주소기본도의 위치정확도 오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적현황측량 성과의 RMSE가 수치지형도측량 성과의 RMSE보다 낮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도로명주소기본도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길찾기 과정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선형 객체 매칭 방법 (Line Matching Method for Linking Wayfinding Process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방윤식;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5-123
    • /
    • 2016
  • 지난 2012년부터 도로명주소가 본격 시행 및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 부분에서는 기존의 지번주소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인들의 공간 인식체계와 도로명주소의 공간 구조화 방식의 간극으로 인한 문제이다. 따라서 도로명주소 기반의 공간 인식 체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생활 속에서 활용되는 각종 공간정보들이 도로명에 의하여 주소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 인식 과정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는 길찾기 과정에서의 도로명주소 체계의 연계를 목적으로,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데이터의 기하학적 매칭 방법론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에 대하여, 개별 도로 객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이웃을 생성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이웃 집합 간의 기하학적 유사도 비교를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의 각 객체에 매칭되는 도로구간을 탐색하였다. 매칭 성능은 F0.5 값을 기준으로 0.936의 결과를 얻었으며, 유사도 값을 기준으로 10% 수동 검사를 수행한 결과 이 값을 0.978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매칭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 도로명 정보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한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및 공간 인식체계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로명주소의 주소정보기반대상 등록 제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Registration System for Address Information Reference Object of Addressing Road Name Address)

  • 양성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21-34
    • /
    • 2021
  • 도시 내에서 도로의 역할과 도로명주소법의 취지를 고려하면 주소지의 도로명은 해당 건물과 접한 가장 가까운 도로구간으로 등록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렇기 때문에 도로명주소법 시행령에서도 시장 등은 건물 등의 주된 출입구가 접하는 도로구간의 기초번호를 기준으로 건물번호를 부여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도로명주소 중에 인접한 도로가 아닌 다른 도로로부터 주소가 부여된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대부분은 출입구가 둘 이상의 도로에 접해 있는 경우에 대한 잘못된 해석으로 발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현재의 건물번호 부여 방식이 가진 한계점을 실증하여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주소정보기반대상의 정확한 선정이 가능토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제도적, 시스템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도로명주소는 지번방식 주소가 가진 위치찾기에서의 불편함을 개선하는 것을 핵심적인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여전히 일부에서는 도로명주소의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음에도 성공적인 정착이 가능했던 것은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사용하고 도로를 따라 건물을 찾아갈 수 있다는 직관적인 원칙때문이었다. 그러므로 정확한 주소정보의 품질관리와 관련 산업 활성화라는 측면에서도 제도 및 시스템 개선이 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물주소 부여대상 확대 방안 연구 (A Study on Extending of the Addressable Object of Address of Things)

  • 양성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75-87
    • /
    • 2024
  • 사물주소는 공법 상 주소가 아니라는 점에서 행정력 측면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위치표현이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도로명주소와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더 유연하고 세밀하게 위치표현이 가능하므로 도로명주소와 함께 전 국토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부여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기존 도로명주소법, 건축법, 주소정보기본도작성·관리규정 등의 관련 법령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로명주소와 사물주소를 비교한 결과 사물주소체계가 가진 근원적인 한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제도척 측면과 부여대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물주소 체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주소부여대상이라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함께 통일을 통해 상하위 법령의 개선이 필요하고, 둘째 건축법 상건물 중 거주에 사용되지 않는 시설물에는 사물주소로 통일하여 부여하며, 셋째 사물주소 부여대상을 지형지물의 유형별로 주소정보기본도의 등록사항을 구분함으로써 이종의 공공데이터와 연계 활용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부여대상 측면에서는, 첫째 특정 시설물에는 모두 사물주소가 부여되어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도록 해당 범주의 모든 시설물에 부여해야 하고, 둘째 아무런 시설물이 없어도 다수가 이용하는 장소에는 사물주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새주소 체계 도로명의 지리적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청주시를 사례로 - (A Study on Geographical Category Classification of Road Names of New Address System : in the Case of Cheongju City)

  • 홍선일;김영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53-568
    • /
    • 2015
  • 본 연구는 청주시를 사례로 새주소 체계의 도로명에 대해 지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에 도로에 부여된 183개의 도로명에 부여된 사유를 대상으로 도로명의 지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대분류와 세분류 유형으로 나누고 각 분류별 유형의 지리적 특성과 공간적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새주소체계의 도로명은 지역과의 밀접한 관련속에서 정해져야 하는 중요한 지리적 실체이며,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하나의 지명인 동시에 지역적 특성의 공간 분포와 패턴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본적인 지리정보임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도로명 주소 사용의 확산과 안정적 사용을 위해 지리적 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도로명 사용이 필요하며 도로명 변경 및 제정 과정에서도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노력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새주소 체계에서의 도로명은 지명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공간분석까지 다양한 지리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지리적 실체이다.

  • PDF

새주소 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청주시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체계-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New Address -Grant Scheme of Road Name and Building Number in Cheongju City-)

  • 이민영;오민수;이지영;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56
    • /
    • 2001
  • 현행 주소체계는 1910년대 일제가 조세징수를 목적으로 한 지번체계로서, 개발 사업 등으로 지번이 불규칙하게 변화되어 온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불합리한 주소체계로 인하여 방문 통신 택배 관광 유통 교통 등 사회복지 및 산업구조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제공과 행정능률의 향상을 위해 선진국과 같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새로운 주소체계 도입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국가경쟁력 강화대책의 일환으로 국민은 물론 외국인들도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주소제도 개선문제를 1996년부터 주요정책과제로 선정하여, 행정자치부에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 실무기획단이 만들어지고 도로방식에 의한 도로명 및 건물번호부여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청주시 새주소사업에 따른 청주시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체계를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그에 따른 새주소관리시스템의 구현 과정에 대해 평가하였다.

  • PDF

제천시를 위한 새주소 관리 및 안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Address Management and Guide System for Jecheon city area)

  • Yeon, Sang-Ho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24-31
    • /
    • 2002
  • 본 연구는 제천시 새주소 부여사업에서 추진된 새주소 부여를 위한 수치지도상의 건물 및 도로의 데이터베이스와 주출입구 조사 및 입력, 도로구간 설정, 도로명 제정 및 입력, 건물번호부여 등의 작업과정을 통하여 도시공간정보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한 새주소 관리 시스템과 웹상에서 구현한 제천시 새주소 안내와 더불어 생활지리정보 등의 부가정보의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개발된 안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방 중소도시의 새주소 관리 및 안내시스템 개발과 구축은 클라이언트 서버 기반의 GIS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여 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리시스템과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로 안내시스템을 객체지향형으로 설계하여 WEB-GIS로 구현하여 새주소의 안내 및 생활지리정보서비스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그 결과로 제천시의 새주소 관리 및 안내시스템은 일반 시민이 쉽게 접근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그 효용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었다.

  • PDF

음성 기반 도로명 주소 인식 및 주소 검증 기법 (A Method of Recognizing and Validating Road Name Address from Speech-oriented Text)

  • 이건수;김중연;강병권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1-39
    • /
    • 2021
  • TV홈쇼핑을 통한 상품 구매 과정에서, 전화망을 통한 배송지 정보의 확보는 필수적인 과정이며 동시에, 서비스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주요한 자동화 적용 대상 과정이다. 본 연구는 음성으로 기록된 배송지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 및 검증하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방법은 음성 기반의 주소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다음의 세 가지 기능을 포함한다. 첫 번째 기능은 한글 발화문으로 부터 원래 주소의 표기 형태로 올바르게 변환하는 것이고, 두 번째 기능은 음성 녹취 과정에서 주소의 구성 요소별 순서 변화 혹은 동일 구성 요소의 중복 발화 같은 주소 잡음을 처리하는 것이며, 마지막 기능은 띄어쓰기 처리를 통한 최종 주소의 가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능이다. 제안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 주소 DB와 행정안전부의 주소 DB를 사용하였으며, 통화에서 획득한 주소 발화로부터 도로명 주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주소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제안 방법의 구현 결과물은 STT를 통한 발화 인식 결과뿐만 아니라, 키보드를 이용한 표준 입출력으로도 입력 채널을 확장하여, 주소 검증이 필요한 비음성 기반의 서비스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 방법은 주소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 잡음에 강건하게 동작했지만, 요소 생략의 경우 오작동 경향이 존재했다. 이는 생략된 요소에 의해 하위 요소의 지역을 명시하지 못하는 경우 처리하지 못한 모호함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