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side Park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5초

Expression of Mosquitocidal Bacillus sphaericus Binary Toxin and B. thuringiensis cry11B Genes in B. thuringiensis 407

  • Park, Hyun-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권2호
    • /
    • pp.185-189
    • /
    • 2001
  • Wild type Baci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and B. sphaericus toxins have been used separately as active in ingredients for bacterial insecticides to control mosquito larvae due to their comparable toxicity to chemical insecticides. Cry11B, recently cloned from B. thuringiensis subsp. jegathesan, shows higher toxicity against three major species of mosquito larvae than Cry11A, one of the major component of B.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inclusion body. To determine whether the combination of cry11B and B. sphaericus binary toxins is as toxic as B.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parental strain, cry11B and B. sphaericus binary toxins genes were co-expressed as an operon using cytlA promoters/STAB-SD hybrid expression system in B.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acrystalliferous strain 4Q7. However, unexpectedly, B. sphaericus binary toxins were barely produced, whereas relatively large amount of Cry11B was produced. When this strain was grown in four different media, NB+G and Peptonized Milk produced more toxin proteins and spores per unit of media than GYS and G-Tris. Toxicity of this strain against fourth instar Culex quinquefasciatus was ranged from of 8.3 to 45.7 ng/ml, with NB+G culture being the highest, and GYS culture was the lowest.

  • PDF

강변여과 취수로 인한 배후 지하수위 강하량 저감을 위한 최적의 주입정 위치 및 주입량 (Optimization of injection well position and amount to reduce the influence of groundwater level decrase due to riverside filtration)

  • 장치웅;박남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8-388
    • /
    • 2017
  • 낙동강 하류 일대에는 수질과 수량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강변여과수를 새로운 수자원 확보 대안으로 활용하고 있다. 일부 지역의 경우 과도한 취수량으로 인한 지하수 고갈을 우려하여 개발을 반대하거나 이로 인한 피해보상 범위가 명확치 않아 간접편입부지의 주민들이 피해를 우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서의 취수량은 인근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이루어 져야한다. 하지만 타 지역으로 원수를 공급하게 되어 필요이상의 지하수를 개발하게 되거나 목표취수량에 부합하지 않아 추가 양수정을 시공하는 경우와 같이 수요량과 적정 취수량사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배후 지하수위 감소영향과 추가취수량 확보를 위해 주입정을 활용한 인공함양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변여과 취수 시 배후 지역의 지하수가 유입되어 인근 지역의 지하수위 강하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 주입 위치 및 주입량을 산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고려된 최적화 결정변수는 주입정 개수와 위치, 그리고 주입량이며 제약 조건으로는 기 설치된 양수정 위치, 초기 자연 평형상태의 배후 지하수위에 근사하는 주입정 위치에 따른 최소 주입량 그리고 추가 생산 가능량 이다.

  • PDF

Space Syntax를 이용한 한강이남 자전거도로망의 접근성 분석 (A Study on the Accessability of the Bikeway Networks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Using Space Syntax)

  • 오충원;임동욱;김현진;박준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97-110
    • /
    • 2012
  • 서울시 간선축자전거도로의 경우 한강변을 중심으로 축이 형성되어 있어 이용자가 많은 한강변 주변에 거주자들의 이용이 높은 반면, 도심지역 거주자들의 한강변자전거도로의 이용도는 낮다. 이는 한강변자전거도로를 연결하는 자전거도로와 도심지역의 자전거도로와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한강이남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보다는 시설위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한강변자전거도로의 이용만이 아닌 서울시 자전거도로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합리적인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이남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강이남지역의 공간구조를 Space Syntax Model을 이용하여 현재 및 자전거간선축설치계획 후와 일반도로설치 후를 비교하여 강서 강동지역간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분석방법은 Space Syntax Model을 이용한 한강이남자전거도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강서 강동지역간 자전거도로 연결 시 한강이 남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은 향상하였으나, 공간구조명료도($R^2$)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에 비해 지역 전체에 예측률이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한강이남자전거도로와 간선축 설치계획안 일반도로설치안 비교 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공간구조명료도를 나타내어 자전거도로가 지역 간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인 도로형태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산 개똥쑥의 작물학적 특성 (Studi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emisia annua L.)

  • 이정훈;박충범;박춘근;손영득;문성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6-50
    • /
    • 2010
  • In order to development medicinal Artemisia herbs of high quality, Korean A. annua L. were investigated with its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asic statistical data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This species, which is annual herb, is mainly distributed to marginal land, riverside, roadside, grassland. Ecological niche is low species in competition of the others. Its pollination is basically anemogamous, but is frequency pollinated by insect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as tap root, 1~3 pinnate compound leaf of ovate or narrowly ovate, stem is green, erect and solitary. Inflorescence is paniculate, receptacle is not hair. Capitulum, consist of ray floret and disk floret, is subglobose shape. Additionally, this species could be easily discriminated from related Artemisia herbs by the capitulum size. Ray floret is female, disk floret is bisexual. Flowering season is from August to October. Seed is achene unattached hair. Stem length ranged from 179 cm to 225 cm, and stem diameter and number of branch were $17.14\;{\pm}\;1.68\;mm$, $2.43\;{\pm}\;0.51\;mm$, respectively.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14.5\;{\pm}\;0.5\;cm$, $15.0\;{\pm}\;1.0\;cm$, and leaf number of main stem were $48.06\;{\pm}\;10.57\;cm$, respectively. Fresh weight of aerial parts and root were $364.7\;{\pm}\;14.1\;g$, $32.6\;{\pm}\;5.1\;g$, and its dry weight were $136.6\;{\pm}\;10.0\;g$, $14.9\;{\pm}\;2.34\;g$, respectively.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전호아재비(산형과)와 봄나도냉이(십자화과)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South Korea, Chaerophyllum tainturieri Hook. (Umbelliferae) and Barbarea verna (Mill.) Asch. (Cruciferae))

  • 홍정기;박수현;이유미;오승환;정수영;이봉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1-177
    • /
    • 2012
  • 한반도 미기록식물인 Chaerophyllum tainturieri Hook. (산형과)와 Barbarea verna (Mill.) Asch. (십자화과) 2종을 서울과 부산에서 각각 발견하였다. 전호아재비로 이름붙인 C. tainturieri는 서울 상암동의 월드컵공원에서 확인되었다. Chaerophyllum속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미기록속이다. 형태적 유사종인 무산상자속(Sphallerocarpus Besser ex DC.) 식물과 비교하여 열매가 통모양이고, 분과의 갈라지는 틈에 1개의 유관이 있다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봄나도냉이로 이름붙인 Barbarea verna는 부산 금사동의 수영강 둔치에서 확인되었으며, 동속 식물인 나도냉이(B. orthoceras)와는 근생엽의 길이가 4-8 cm이고, 근생엽이 4-11쌍으로 갈라지며, 종자의 길이는 1-2 mm라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고의에 의한 승용차폭발 사례의 분석 (A Case Analysis of Intentional Car Explosion)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119-127
    • /
    • 2017
  • 이 논문에서는 운전자(남)와 동승자(여)가 탑승하여 하천 둔치의 공원에 정차 중 차실 내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한 승용차에 대해 폭발사고 원인을 분석하였다. 폭발사고가 발생한 직후 운전자와 동승자가 화상을 입고 119구급대에 의해 병원에 이송될 때는 119구급대원에게 시너를 뿌려놓은 상태에서 운전자와 동승자가 다투는 중에 폭발사고가 발생하였다고 진술하였는데, 며칠 경과한 후부터 운전자와 동승자는 플라스틱 병 속에 들어 있던 휘발유가 엎질러져 시거 잭으로 흘러들어가서 시거 잭을 빼려다가 시거 잭을 실수로 눌러서 폭발사고가 발생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실수로 인해 폭발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자동차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고 고의에 의해 폭발사고가 발생하였다면 보험금 지급이 안되므로 폭발사고의 원인이 고의에 의한 것인가 실수에 의한 것인지가 쟁점이 되었다. 폭발한 승용차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 분석과 운전자 및 동승자의 진술에 대한 화재과학적 분석을 통해 이 자동차 폭발사고는 운전자의 고의에 의해 발생한 것임을 입증하였다.

한강살리기사업에의한 한강 여주 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 고찰 (Investigation of Changes in Fluvial Landforms in the Yeoju Reach of the Han River by the Han River Restoration Project)

  • 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46
    • /
    • 2020
  •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fluvial landforms of the Yeoju section of the Han River, which was made up of the Han River Restoration Project, were examined through existing previous research data, governmen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satellite images, and field observations.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Dori Island, the most upstream part of the study section, the location of the confluence of the Han River and Cheongmi Stream was changed, and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and sedimentary layer disappeared. In the Bawuinupgubi area, the wetland, which is the first class in the ecological nature, was greatly modified, and the elevation of the ground rose as Gangcheon island and it wa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iver by dredging The confluence of Geumdangcheon and the point bar of Yeonyang-ri in the south were also dredged, turned into an artificial waterfront park, and a chute channel remained in the form of a wetland was also developed as a recreational park. The deposional forms around Baekseok-ri islands also disappeared as dredging was carried out. Among the areas adjacent to the confluence of Bokcheon and Yangchon-ri Island, some sedimentay forms remains, but the abandonned channel between Yangchon-ri and the northern river bank has been changed into a riverside reservoir through dredging and embankment construction, and the waterway of the tributary river(Yazoo) has been greatly changed.

Prevalence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mong Residents along 5 Major Rivers in the Republic of Korea

  • Jeong, Young-Il;Shin, Hee-Eun;Lee, Sang-Eun;Cheun, Hyeng-Il;Ju, Jung-Won;Kim, Jung-Yeon;Park, Mi Yeoun;Cho, Shin-Hye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2호
    • /
    • pp.215-219
    • /
    • 2016
  • Clonorchis sinensis is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parasite affecting public health problems in the Republic of Korea.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C. sinensis infection among residents living along 5 major rivers in Korea. A total of 42,562 individual stoo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7 localities and examined using the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Helminth eggs were detected in 4,052 (9.5%) residents and 3,586 (8.4%) were infected with C. sinensis. The egg positive rate of C. sinensis in Nakdong, Seomjin, Geum, Yeongsan, and Han River was 11.7%, 9.9%, 6.5%, 3.1%, and 1.0%, respectively. The overall prevalence of clonorchiasis by sex was 11.2% in males and 6.2% in females. The age-prevalence was the highest in the 50-59 years band. It has been reconfirmed that the endemicity of clonorchiasis is higher in southern areas of Korea, especially along Nakdong and Seomjin Rivers. A combination of continuous control programs with health education initiatives is urgently required in these highly endemic areas of clonorchiasis in Korea.

Reference information for realizing ecological restoration of river: A case study in the Bongseonsa stream

  • Park, Sung Ae;Kim, Gyung-Soon;Pee, Jung-Hun;Oh, Woo-Seok;Kim, Hye-Soo;Lee, Chang 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35-243
    • /
    • 2013
  • In Korea, where the plain land is greatly deficient as a mountainous nation, most of riparian zones were transformed into agricultural fields and urban areas. Excessive use of the land, which is close to river, makes the rivers enduring severe pollution stresses. Disappearance of riparian buffer, which plays a function of filter in the riverside, appears as a main factor aggravating water pollution of rivers. In this respect, it is imperative to restore the lost riparian vegetation. This study found out restoration models of riparian vegetation from the Bongseonsa stream, which has remnant riparian vegetation patches as a conservation reserve. Feasible reference information applicable for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was shown in the species level in the order of herb, shrub, and tree and sub-tree zones as far away from the waterway. Those information could contribute to restoring integrate and healthy rivers and streams beyond simple landscaping differently from the other restoration projects when they will be applied to the restoration project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spatial range of river and stream, background that riparian zone disappeared in Korea, and application plan of the obtained reference information were discussed.

남서해안(南西海岸) 간척지(干拓地)에 있어서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 F. Schmidt) 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Scirpus planiculmis F. Schmidt on the Ploder Land of Southwest Seashore)

  • 이강수;유숙종;박석홍;최선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5
    • /
    • 1991
  • 본(本) 연구(硏究)는 간척지(干拓地) 논에 발생(發生)하는 새섬매자기의 방제(防除)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삼고자 남서해안지역(南西海岸地域)의 간척지(干拓地)에서 새섬매자기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였다. 1. 남서해안(南西海岸) 간척지(干拓地)는 전지역(全地域)에서 새섬매자기 (S. planiculmis F. Schmidt)가 우점잡초(優占雜草)로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매자기(Scirpus fluviatilis A. Gray)는 강변(江邊), 수로(水路) 및 연못에 새섬매자기와 함께, 혹은 단독(單獨)으로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2. 간척지(干拓地) 논의 토양염분농도(土壤鹽分濃度)는 개답년수(開畓年數)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감소(減少)되는 석향(碩向)이었으며 새섬매자기의 발생(發生)은 개답후(開畓後) 4-5년(年)까지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여 개 답후 4-5년에 최고(最高)에 말하고 그후에는 감소(減少)되었다. 3. 새섬매자가는 토양(土壤)의 염분농도(鹽分濃度)가 높은 지역(地域)에서 발생(發生)이 많고 염분농도(鹽分濃道)가 낮은 지역(地域)에서는 발생(發生)이 적었다. 4. 새섬매자기의 방제(防除)는 화학적(化學的) 방제(防除)와 함께 손제초(除草)로 이루어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