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pufferfish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Genetic Differences in Natural and Cultured River Pufferfish Populations by PCR Analysis

  • Yoon, Jong-M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4권4호
    • /
    • pp.327-335
    • /
    • 2020
  • Genomic DNA (gDNA) extracted from two populations of natural and cultured river pufferfish (Takifugu obscurus)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complexity of the fragments derived from the two locations varied dramatically. The genetic distances (GDs) between individuals numbered 15 and 12 in the cultured population was 0.053, which was the lowest acknowledged. The oligonucleotide primer OPC-11 identified 88 unique loci shared within each population reflecting the natural population. The OPC-05 primer identified 44 loci shared by the two populations. The average band-sharing (BS) values of individuals in the natural population (0.683±0.014) were lower than in those derived from the cultured population (0.759±0.009) (p<0.05). The shortest GD demonstrating a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ultured individuals # 15 and # 12 (GD=0.053). Individual # 02 of the natural population was most distantly related to cultured individual # 22 (GD=0.827). A cluster tree was built using the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mean (UPGMA) Euclidean GD analysis based on a total of 578 various fragments derived from five primers in the two populations. Obvious markers identified in this study represent the genetic structure, species security, and proliferation of river pufferfish in the rivers of the Korean peninsula.

한국산 복어의 독성 -1. 황복의 부위별 독성- (Toxicity of Pufferfish in Korea -1. Anatomical Distribution of Toxicity of pufferfish Takifugu obscurus(Hwang-bok)-)

  • 전중균;유재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7-140
    • /
    • 1995
  • 황복의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2년과 1993년에 임진강으로 산란하러 소상한 46 개체를 채집하여 조직별로 나누어 독성을 살펴보았다. 조직중에서는 난소와 간장은 맹독이었으며, 정소, 내장, 담낭과 비장은 강독이었고, 근육과 껍질은 약독이었으나 혈액은 무독이었다. 본 결과는 Tani (1945)의 보고와 정소, 근육, 껍질의 독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이제까지 무독 또는 약독으로 여겨 식용으로 하여 왔던 근육과 정소의 독성이 본 연구에서는 약독 또는 강독으로 독성을 보이고 있어, 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 PDF

황복의 마취에 미치는 수온 및 연령과 MS-222 농도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Fish Age, and MS-222 Concentration on the Anesthetization of River Pufferfish, Takifugu obscurus)

  • 이승연;;송호경;허성표;김진형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7-74
    • /
    • 2023
  • 황복(Takifugu obscurus)은 양식 어종 중 하나이며, 유전체 연구에서도 의미 있는 종이다. 양식 어종의 경우 어류 마취제를 사용하면 양식 과정에 있어서 어류를 좀 더 쉽게 다룰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황복의 효과적인 마취와 회복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조건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가장 일반적인 어류 마취제인 MS222를 이용하여 황복을 마취하는 데 필요한 연령, 수온 및 마취 농도 등 최적의 조건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에서는 세 가지 다른 수온(20℃, 24℃, 28℃) 및 마취 농도(125 mg/L, 150 mg/L, 175 mg/L)와 두 가지 다른 어류 연령(1년생과 2년생)을 테스트하였다. 실험 결과 황복의 적절한 마취 조건은 24℃와 28℃에서 MS-222 150 mg/L에서 175 mg/L까지의 범위였다. 2년생 어류의 경우도 28℃에서 MS-222 150 mg/L에서 175 mg/L의 범위를 보였다. 부작용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마취 농도는 1년생 어류의 경우 24℃에서 MS-222 150 mg/L, 2년생 어류의 경우 28℃에서 MS-222 175 mg/L가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