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assessment indicator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6초

Is FDG -PET-CT A Valuable Tool in Prediction of Persistent Disease in Head and Neck Cancer

  • Uzel, Esengul Kocak;Ekmekcioglu, Ozgul;Elicin, Olgun;Halac, Metin;Uzel, Omer Ero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847-4851
    • /
    • 2013
  • Objectives: To evaluate accuracy of FDG-PET CT in prediction of persistent disease in head and neck cancer cases and to determine prognostic value of metabolic tumor respons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9 and 2011, 46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head and neck receiving PET-CT were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There were 29 nasopharyngeal, 11 hypopharyngeal, 3 oropharyngeal and 3 laryngeal cancer patients, with a median age of 50.5 years (range 16-84), 32 males and 14 females. All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PET-CT median 3-5 months (2.4-9.4) after completion of radiotherapy. Results: After a median 20 months of follow up, complete metabolic response was observed in 63% of patients. Suspicious residual uptake was present in 10.9% and residual metabolic uptake in 26.0% of patients. The overall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FDG-PET-CT for detection of residual disease was 91% and 81%, 64% and 96% respectively. Two year LRC was 95% in complete responders while it was 34% in non-complete responders. Conclusions: FDG PET CT is a valuable tool for assessment of treatment response, especially in patients at high risk of local recurrence, and also as an indicator of prognosis. Definitely more precise criteria are required for assessment of response, there being no clear cut uptake value indicating residual disease. Futhermore, repair processes of normal tissue may consume glucose which appear as increased uptake in control FDG PET CT.

EU FP6 Welfare Quality® Poultry Assessment Systems

  • Butterworth, A.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9-246
    • /
    • 2009
  • 동물복지는 유럽의 소비자들과 시민들에게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이 최근의 여론조사에서 확인되었다. 동물복지는 개별동물의 특성이라는 것 때문에 연구자들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동물에 근거한 평가기준 (동물에서 측정된 척도, 예를 들면, 동물의 건강과 행동)이 동물복지의 타당한 표식이 될 수 있다고 오래 동안 제안해왔다. 그러므로 복지의 평가기준은 필수적으로 동물을 사용한 평가 척도에 바탕을 둘 수 있으며, 반면에 자원을 근거로 한 평가 기준은 위해요소들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이 계획의 첫 번째 목표는 복지를 감시하는 체계를 개발하여 복지의 척도를 접근 가능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의 표준화된 변환을 통하여 복지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얻어진 정보는 동물시설 관리자들에게 제공되어 동물복지의 상태에 대하여 알게 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소비자와 소매상에게 동물 관련 제품의 복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두 번째 목표는, 유해한 행동적 및 생리적인 사태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인간과 동물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며, 그리고 동물에게 안전하고 흥미로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동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포함되어야 할 복지에 대한 다른 측정 가능한 양상들은 복지의 표준들로 변환된다. 이들은, 동물복지과학으로 이해되는 것처럼, 동물에게 의미 있는 것을 반영한다. 일단 동물시설에 대한 모든 평가척도들이 측정되면, 그 시설물의 동물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상향식 접근이 있게 된다. 먼저 수집된 자료 (즉, 그 동물 시설에 대한 다른 척도로 얻어진 수치) 는 합쳐져서 표준 점수가 계산된다. 그리고 나서 표준점수는 합쳐져서 원칙 점수가 계산되며, 마지막으로, 얻어진 원칙 점수에 따라서 그 동물 시설에 대한 복지의 범주가 정해진다.

보조지표를 활용한 중·저준위 처분시설 성능평가: 방사성 핵종 플럭스 사례연구 (Performance Assessment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n Korea by Using Complementary Indicator: Case Study with Radionuclide Flux)

  • 정강일;정미선;박진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3-86
    • /
    • 2015
  •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은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시스템의 이해도 제고 및 신뢰성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보조지표를 선정하여 평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처분시설에 적용되는 국외 처분시설의 보조지표들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월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서 근계지역의 공학적 방벽과 원계지역의 자연방벽 성능평가를 위해 연속적인 방벽에서의 방사성 핵종 이동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벽 간의 방사성 핵종 플럭스를 보조안전지표로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처분시설의 정상시나리오를 콘크리트 사일로의 건전조건과 열화조건으로 나누어 방벽별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방사성 핵종에서 방벽별 지연성능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콘크리트가 건전한 경우에서 공학적 방벽의 방벽별 상세성능을 파악하였으며, 열화콘크리트의 경우, 공학적 방벽의 성능저하도 및 자연암반과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향후본 연구 결과는 2단계 표층처분시설 설계 최적화 및 방벽성능의 검증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에는 처분시설의 Safety Case 구축과 안전성의 이해 제고 및 신뢰성 증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보조지표를 추가 선정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식품안전보건지표의 개발 및 운용과정 정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a Standardized Process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Food Safety Health Indicators in Korea)

  • 변가람;최지혜;이종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7-226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식품안전보건지표의 개발과정을 정립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식품안전보건지표의 개발과정을 제안하고, 제안된 과정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함으로서 타당성 검사를 실시하고, 개발된 지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식품안전보건지표 개발과정은 국내 환경보건지표 개발과정을 주로 참고하여 설계되었으며, DPSEEA 모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식품안전보건지표를 개발과정은 크게 개발단계와 운용단계로 나뉜다. 개발단계는 초기지표 제안, 후보지표 선정, 자료 현황 조사, 실행가능성 평가, 파일럿 스터디, 최종 지표 선정의 6단계로 구성되며, 운용단계는 주기적인 지표의 산출과 공표로 구성된다. 개발의 6개 단계는 전반적인 식품안전보건지표 개발을 총괄하는 Task Force팀과 각 개발 단계에서 제안된 지표를 검토 및 평가하는 자문위원회(최소 학계 4명, 연구계 2명, 식약처 관련부서 전문가 4명)의 단계적 역할분배를 통해 운영되도록 하였다. 제안된 과정의 타당성검토를 위해 시뮬레이션을 시행한 결과 제안된 45개의 초기지표 중 최종적으로 4개의 지표(세부지표 17개)가 선정되었다: '국산 과일 채소류 내 잔류농약/제초제 잔류랑 적합판정비율', '식품매개질환사고(outbreak) 발생 수', '식품매개(food-borne) 법정전염병의 발생률', '살모넬라 식중독(Salmonellosis) 발생률'. 선정된 지표는 지수화를 통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2010~2012년의 지표를 토대로 비율차를 적용한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를 산출한 결과 2010년 대비 2011년, 2011년 대비 2012년의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로 10.37과 9.87이 산출되었다. 이는 식품안전보건상태가 2010년에 비하여 2011년에 10.37%, 2011년에 비해 2012년에 9.87% 호전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개별지표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변화율에 기여도가 큰 지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를 도식화함으로서 대중과 정책입안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식품안전보건지표는 다방면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큰 관심과 함께 법안의 제정과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랭 두드러기에 대한 한약 치료: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Cold Urticar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혜나;오정화;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2-144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cold urticaria. Methods : We search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reporting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for cold urticaria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from their inception to September 2023.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 tables. We assessed the risk of bias in included RCTs through Cochrane risk of bias tool and the data synthesis was conducted through RevMan version 5.4. Results : A total of 12 RCT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nd all trials compared herbal medicine alone treatment(treatment group) with western medicine alone treatment(control group). The total effective rate(TER) of treatment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RR: 1.49, 95% CI: 1.38 to 1.62, p<0.00001, I2=65%).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except for 1 trial with different evaluation period, the TER of treatment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heterogeneity was very low(RR: 1.36, 95% CI: 1.26 to 1.47, p<0.00001, I2=0%). And when comparing 8 trials using the total symptom score(TSS) change index as an indicator of TER, the TER of treatment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heterogeneity was very low(RR: 1.38, 95% CI: 1.26 to 1.51, p<0.00001, I2=0%). The treatment group show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SS(MD: -2.51, 95% CI: -2.63 to -2.40, p<0.00001, I2=99%). The relapse rate of treatment group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RR: 0.19, 95% CI: 0.10 to 0.40, p<0.00001, I2=0%). Mild adverse events such as sleepiness, dizziness were reported in control group and gastric discomfort was reported in treatment group. In the risk of bias assessment, many cases were evaluated as 'Unclear risk'. Conclusions : This review found that herbal medicine alone treatment could more effective and safe than western medicine alone treatment for cold urticaria. But further well-designed researches are needed because of heterogeneity between trials and the quality of the included trials.

낙동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Nakdong river estuary)

  • 강정훈;김민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11
    • /
    • 2020
  • 2015년 평수기인 5월과 태풍 "두쥐안"이 통과한 직후인 10월 초에 낙동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10월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우점종은 따개비 유생, 유공충류와 야광충이었고, 환경특성은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에 의한 담수유입, 난류수 유입과 태풍통과에 의한 수괴혼합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반면 평수기인 5월에는 모든 정점에서 저염분 해수가 강하게 분포하여 담수 기인 지각류(Evadne nordmanni, Podon polyphemoides)가 우점하여 분포하였다. 모든 시기에 울타리 섬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표층염분이 가장 낮았고, 외측으로 가면서 증가하였다. 10월의 표층과 저층 평균수온이 동일하여, 수괴혼합이 활발함을 지시했고, 부유물질 평균농도는 5월보다 10월에 높았다. 5월의 영양염 농도가 엽록소-a 농도와 함께 10월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동물플랑크톤 총 평균 개체수는 엽록소-a 농도와 관련된 시기적 차이가 없었으며, 집괴분석결과 동물플랑크톤 분포특성은 모든 시기에 염분분포와 관련되어 세 그룹(울타리 섬 내측, 중간측, 외측)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사시기동안 낙동강 하구역에서 관찰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기적 분포특성이 상향적 조절(영양염-엽록소-a 농도-동물플랑크톤)보다 수문개방에 의한 담수유입, 난류수 유입정도 그리고 태풍통과 기인 수괴혼합과 관련있음을 지시하였다.

WHO 내용일일섭취량을 고려한 우리나라 영유아 어린이의 식품을 통한 멜라민 노출 및 위해 평가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Melamine in Representative Korean Foods for Infants and Children)

  • 오창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1-12
    • /
    • 2009
  • In 2008, baby formula containing melamine was found to be responsible for a large outbreak of renal failure in infants in China. A total of 294,000 infants were hospitalized, and at least 6 babies died due to ingestion of the tainted formula. Melamine contains high levels of nitrogen (>60%), which is used as an indicator of protein content. Therefore, high levels of melamine in infant formula were thought to be the result of deliberate contamination m an attempt to increase its apparent protein content. Following inspections by China's national inspection agency, assorted products from at least 22 dairy manufacturers across China were found to have varied levels of melamine (range: 0.096196.61 mg/kg). Melamine co-exposure with cyanuric acid can induce acute melamine-cyanurate crystal nephropathy, which can lead to renal failure at much lower doses than if either compound were ingested alone. However, currently, there are very few data on melamine analogues other than cyanuric acid. At an expert meeting of the WHO and FAO held to review toxicological aspects of melamine and cyanuric acid on December 14, 2008, a new tolerable daily intake (TDI) of melamine was established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population, including infants. Therefore, a risk assessment of the various theoretical melamine contamination levels in infant formula and selected representative foods (other than infant formula and sole-source nutrition products) is urgently needed for Korean babies and children up to 7 years of age. Although the undetectable level regulation for infant formula may be low enough to guarantee the safety of babies under the age of 1 year (including premature babies), the melamine standard of 2.5 ppm for foods other than baby formula could be insufficient to protect the 95th percentile population aged 1~2 years because of this demographic's high consumption of milk, yogurt, and soy milk (hazard index = 1.79). Because TDIs are chronic values intended to protect an individual over his/her lifetime, occasional modest ingestion in excess of the TDI is not likely to be a health concern. However, children aged 1~2 years may have renal systems that are comparatively more sensitive to the crystallization of melamine and its analogues. Therefore, governmental jurisdictions may need to practice more prudent management of food items that could raise the melamine exposure for this population.

  • PDF

정유 및 석유화학플랜트 중대사고 전조신호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 at Refinery and Pertrochemical Plants)

  • 윤용진;박달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5호
    • /
    • pp.637-651
    • /
    • 2019
  • 정유 또는 석유화학플랜트에서 폭발 등과 중대사고가 발생할 때 심각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시켜 보험시장에 큰 영향을 끼쳐왔다. 일반적으로 정유, 석유화학공장 등 장치산업에서 이러한 사고 발생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사고원인 조사자, 손해보험사 손해사정사 등이 조사하여 손해 및 사고와 가장 인접한 근인 위주로 사고원인을 도출하고 있다. 반면 실제 중대사고로 이어지기까지 문제 및 결함으로 작용한 여러 중대사고 전조신호에 대한 근본원인분석을 실시하여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나 그 동안이에 대한 것이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에서 발생된 중대사고 사례에 대하여 근본원인분석 방법과 스위스치즈모델 원리를 활용한 기여요소분석법 등을 통하여 도출하였던 미국 화학공정안전센터의 중대사고 전조신호 자체평가 도구의 전조신호 판단기준 항목을 우선적으로 고찰하였다. 여기에 실제 정유 및 석유화학플랜트 내 중대사고 전조신호가 해외재보험사 Loss control engineer 등 Auditor 들에게 어떠한 식으로 권고되어 왔는지 확인하고자 지난 17년간 Loss Control Engineer가 Risk Survey 이후 도출하였던 안전권고사항 약 614개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를 중대사고 전조신호 평가지표로 개발이 용이하도록 정유 및 석유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 전조신호 판단기준을 유형별로 그룹화한 후 상위 및 하위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정유 및 석유화학공장 관련 전문가(40명)에게 설문 실시 및 AHP기법을 적용하여 각 항목별 가중치(중요도)를 도출하여 최종 전조신호 판단기준과 항목별 가중치가 적용된 '정유 및 석유화학플랜트에서의 중대사고 전조신호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지표를 8개의 정유 및 석유화학플랜트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지표는 정유 및 석유화학공장 등 장치산업에서의 중대사고 예방을 위하여 추적관리 되어야 할 전조신호 항목 및 요소가 무엇인지 인식하고 취약수준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관련 사업장 자체 관계자뿐만 아니라 외부 auditor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되리라 판단된다.

통합노출을 고려한 유해물질 관리의 우선순위 선정 (Prioritizing Management Ranking for Hazardous Chemicals Reflecting Aggregate Exposure)

  • 정지윤;정유경;황명실;정기경;윤혜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9-355
    • /
    • 2012
  • 통합노출을 고려한 식품, 건강기능식품, 생약/한약제제, 화장품에서의 유해물질 관리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해 기존 CRS에서 활용한 위해크기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식도를 조사한 후 전문가 평가를 통해 합의된 결과를 점수화하는 우선순위 선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 납, 수은 및 비소 등 25종의 유해물질을 선별하고 선정된 25개 물질에 대해 기존의 우선순위 선정 시스템을 토대로 대상물질별 1) 위해의 크기 (노출 또는 위해수준), 2) 노출원을 고려한 가중치, 3) 관심도의 3가지면에 대해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25개 물질 중 최종점수는 카드뮴이 178.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비스페놀 A가 56.8점으로 가장 낮았다. 최종점수가 100점 이상인 물질은 카드뮴, 납, 수은, 비소, 타르, 아크릴아마이드, 벤조피렌, 알루미늄, 벤젠 및 PAHs의 10종이었으며, 아플라톡신, 망간, 프탈레이트, 크롬, 아질산염, 에틸카바메이트, 포름알데히드 및 구리의 8종 물질은 70점 이상이었다. 그 외 이산화황, 오크라톡신 등 7종의 물질이 50점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평가된 최종점수의 타당성 평가를 위해 변수 간의 관련성과 지표간의 상관성분석을 분석한 결과, 노출원에 가중치를 고려한 위해크기가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은 위해크기에 비해 최종점수와 관심도 모두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통합노출을 고려한 유해물질 관리의 우선순위 연구는 위해평가 및 위해관리 측면에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UN 국제적 화학물질관리에 대한 전략적 접근(SAICM)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UN SAICM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 이권섭;이혜진;이종한;양정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2-294
    • /
    • 2010
  • The purpose of SAICM (Strategic Approach to International Chemicals Management) is to minimize the health and environmental hazards from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of chemicals by improving the chemicals management capability of developing countries and implementing a system of the risk assessment and the management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until 2020. To achieve this purpose, the UN has prescribed the principles, objectives and establishment of an action plan for the chemicals management strategy which must be carried out at international, local, and national levels, and reques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Plan of Action (GPA) comprising of 273 recommendations in 36 work areas. SAICM is currently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but is expected to become the basic framework of international order in relation to chemicals manage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actice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rea relating to implement 273 recommendations of the GPA, and propose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system in order to provide political advices for establishing future plans to manage industrial chemicals. Twenty three areas of total 36 work areas and 161 items of 273 recommendations have relevance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reas. We have found that, as a national implementation level, 157 of 161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items are being implemented at a satisfactory level in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GPA, while 4 items, including the ratification of the ILO Conventions 170, 174, 184, and support for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s) implement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require additional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system and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