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straw application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5초

녹비보리의 환원시기가 후작물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ley Green Manure on Rice Growth and Yield According to Tillage Date in Spring)

  • 김민태;구자환;전원태;성기영;박창영;유진희;조현숙;오인석;이용환;이종기;박만;강위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19-123
    • /
    • 2011
  • 보리를 녹비로 이용하기 위하여 녹비보리 토양 환원시기가 후작물 벼 생육 및 수량에 마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의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밀과 보리의 질소함량은 생육 초기에 1.4~2.4%, 생육후기에 0.6~1.0%를 나타냈다. 2. 보리 바이오매스량은 출수기에 421 kg/l0a, 출수 후 10일에 449 kg/10a, 출수 후 20일에 473 kg/ l0a이었고, C/N율은 출수기에 26.3, 출수 후 10 일에 38.0, 출수 후 20 일에 42.5로 출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띠라 C/N율이 높아졌다. 3. 보리의 지상부 질소함량은 출수기에 0.9~1.5%로 가장 높았고 출수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낮아졌으며, 질소 총함유량은 출수기에 4.3, 출수후 20일에 6.3 kg/10a이였다. 4. 녹비보리 지상부에 함유된 질소, 인산, 칼리 총량은 출수 후 1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후작물 벼의 생육은 녹비보리 투입구가 표준시비구에 비하여 간장이 7.2~7.7 cm 길었으며, 수장은 녹비보리 투입구와 표준시비구가 비슷한 경향이었다. 6. 후작물 벼 정조의 질소총량은 출수기 녹비보리 토양투입구 > 출수 후 10 일 녹비보리 토양투입구 > 출수 후 20일 녹비보리 토양 투입구 순으로 많았고, 볏짚의 질소 총량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쌀 수량은 출수기 녹비보리 토양투입구는 457 kg/l0a, 출수 후 10 일 녹비보리 토양투입구는 465 kg/10a, 출수 후 20일 녹비보리 토양투입구는 438 kg/10a로 관행시비구 515 kg/10a 에 비하여 10~15% 낮았다.

농산폐자원의 미생물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제11보) Trichoderma sp KI 7-2가 생산하는 섬유소분해효소의 성질 및 발효사요에의 응용 (Studies on the Microbial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s (Part 11) Properties of Cellulolytic Enzyme Produced by a Cellulolytic Fungus Trichodrma sp. KI 7-2 and its Application to the Fermented Feed Production)

  • 배무;이계준;탁선미;김병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8
    • /
    • 1978
  • 섬유소분해효소 생산균인 Trichoderma sp. KI 7-2의 cellulase생성을 위한 탄소원으로는 순수한 섬유소보다 볏짚 보리짚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았으며 1% 첨가에서 심부배양한 액을 유안농도 20~60%로 떨어뜨린 침전에서만 cellulase의 활성이 나타났다. 이 조효소의 작용최적온도는 5$0^{\circ}C$, 최적 pH는 4.2였으며, 열에 대한 안정성은 5$0^{\circ}C$에서 2시간까지 100% 활성을 유지하였고 pH에 대한 안정성은 pH4~6에서 안정하였지만 pH 4이하 및 pH 6.0 이상에서는 불안정하였다. 이러한 성질의 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로서 볏짚 발효시키는 몇 가지 방법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 PDF

하해혼성(河海混成) 식양질(埴壤質) 답(沓)에서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 개선(改善)이 수도수량(水稻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Soil Physical Improvement on Rice Yields at Fine Textured Fluvio-Marine Paddy Field)

  • 조인상;임정남;소재돈;이선용;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2-97
    • /
    • 1983
  • 하해혼함식양질답(河海混咸埴壤質畓)에서 수도수량(水稻收量)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는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 개량방법(改良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심토파쇄 및 혼층처리후(混層處理後) 수도생육(水稻生育)과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을 조사(調査)한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심토파쇄와 혼층처리(混層處理)에 의(依)하여 가비중(假比重), 경도(硬度), 공극률(孔隙率) 및 투수성등(透水性等)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이 현저(顯著)히 개선(改善)되었다. 2.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과 수도(水稻)의 근(根) 발달 및 수량간(收量間)에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가 성립(成立)되었다. 3. 토양물리성개선(土壤物理性改善)에 의(依)한 수도(水稻)의 증수효과는 약(約) 10%로써 배수효과 5%보다 훨씬 높았다. 4. 토양물리성개선효과는 4년차(年次)까지 지속(持續)되었으며 혼층(混層)이 심토파쇄(深土破碎)보다는 효과가 좋았으나 심토파쇄가 중기계(重機械)를 이용(利用)하여 편리(便利)한 작업(作業)이 가능(可能)하므로 가장 효율적인 개선방법(改善方法)이라고 판단된다. 5. 혼층처리시에 생고시용(生藁施用)은 무시용(無施用)에 비(比)하여 수도수량(水稻收量)이 2~3% 증수되었다.

  • PDF

Determination and Effects of N and Si Fertilization Levels on Grain, Quality and Pests of Rice after Winter Green-house Water-melon Cropping

  • Cho Young-Son;Jeon Weon-Tae;Bae Soon-Do;Park Chang-Young;Park Ki-Do;Kang Ui-Gum;Muthukumarasamy Ramachandr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74-281
    • /
    • 2006
  • In Korea, rice cultivars have been changing to 'quality' rice rather than high yielding cultivars. However, more than 10% of paddy field has been changed to greenhouse in winter season for cropping of water-melon, oriental-melon, straw berry and et cetra. This experiment 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critical N and Si fertilization(SF) level to obtain high grain quality rice with reduced insect pest damage by N and SF combination. Before the experiment, watermelon-rice cropping system was maintained for three seasons by farmer from 1998 to 2001. The experiment of N and Si (silicate) fertilization levels was evaluated with Hwayoung-byeo (Oryza sativa L., medium-maturing variety) in 2002 and 2003 in Uiryeong, Korea. Nitrogen fertilization (NF) levels were three and five in 2002 and 2003, respectively, and three SF levels were compared for getting the valuable N/SF level in both years. TOYO-value was positively affected by Si application in N100% plot but i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NF level. Normal grain percentag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OYO-value and it was highest in 0N plot and Si plots in N100%. Other appearance qualities like powdered, damaged, and cracked grain,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N fertilization level. SF improved appearance quality in N100% plots but no effects in other treatments. Leaf sheath related diseas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SF but i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NF. In conclusion, SF could be improve grain quality at the same yield levels of conventional fertilization and it also could be reduce the diseases damages of rice plant in all N treatments. NF treatment reduced grain quality and improved grain yield at N50% level, however NF above N50% could not get any kind of benefits. So, compared with conventional fertilizer, reduced NF level is recommended for high grain quality with reduced insect pest damage.

동일비료 장기시용이 벼 수량과 토양의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Rice Yield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the Mid-Plain of Korea)

  • 손지영;김준환;강신구;신성휴;심강보;양운호;허성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5-32
    • /
    • 2016
  • 1978년부터 2008년까지 31년간 국립식량과학원 수원소재 답작시험포장에서 동일 비료 장기연용의 의한 벼의 수량과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비료 연용처리에 따른 쌀 수량은 무비<무질소(PK)<무인산<(NK)<무칼리(NP) $\leq$ 3요소(NPK) $\leq$ 석회(NPKL)<생고(NPKS)$\leq$퇴비(NPKC) 순으로 높았다. 2. 3요소(NPK)대비 수량지수는 무비구가 0.52로 가장 낮았으며, NPKS와 NPKC가 각각 1.11, 1.18로 NPK보다 높았다. PK, NK, NP는 각각 0.61, 0.86, 0.98로 3요소 중 질소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칼리의 영향이 가장 낮았다. NPKL은 NPK와 수량지수의 차이가 없었다. 3. NPKC는 기간이 경과할수록 수량과 수량지수가 모두 증가하였으며, NK와 F0의 수량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그 외 PK, NK, NP, NPK, NPKS, NPKL의 수량지수는 모두 기간에 따른 변동이 없었다. 4.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NPKC는 적정유기물함량 수준인 2.5%까지 증가하였으나, NPKS는 1.8%에서 이들을 제외한 다른 처리는 1.3~1.4%로 초기와 차이가 없었다. 5.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모든 인산 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무질소구와 퇴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6. 석회처리구를 장기연용할 경우 토양 pH가 7.9까지 증가하여 논토양의 적정 산도보다 높아졌다.

수도에 대한가리분시에 관한 연구 -가리의 분시시기에 관하여- (Studies on the Effect of Potassium Split Application on Paddy -On the Time of Potassium Split Application-)

  • 오왕근;이상범;박찬호;김성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143-148
    • /
    • 1974
  • 수도'진흥'에 대한 가리의 분시시험을 습도 및 동답의 작토를 담은 폿드에서 실시하여 얻은 수량과 수량구성요소를 분석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리의 분시회수와 분시하는 시기에 따라 벼의 수수와 임실립수(1000립중이 27.8g인 것으로 환산한 수)는 달라지는데 석회나 생고를 시용하지 않은 원토에서는 가리를 유수형성기와 출수기에 결시했을 때의 임실립수가 크게 적어져서 상조수량이 낮아지고, 원토에 석회를 시용했을 때는 분시회수가 늘어서 기비에 들어가는 가리량이 적을수록 수수가 적어져서 수량이 낮아졌다. 원토에 생고를 시용했을 때는 석회를 시용했을 때와 비슷한 경향이었다(폿드시험). 2. 유효분고기에 가리를 추비하는 것은 수수를 증가하는 대신, 임실립수를 감소시켜 오히려 수량을 감소하는 것 같았다(폿드시험). 3. 정보와 생고를 생산량으로 본 자연습답(포장시험)에서의 가리 분시효과는 그 크기가 현저하지 않으나, 석회생고를 시용하지 않고 원토 그대로를 가지고 시험했을 때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1과2항참조). 4. 수수와 임실립수간에는 서로 역상관이 있는데 원토에서는 예각의 직선관계를 석회나 생고를 시용했을 때는 원만한 곡선관계를 후자가 벼의 다수확에 위험성이 적었음을 암시하였다. 5. 생고의 시용이 석회의 시용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 것은 폿드시험이란 조건외에 생고가 가리를 공급했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 PDF

수도 재배환경 중 제초제 Cyclosulfamuron의 잔류특성 (Dissipation of Cyclosulfamuron in Rice Paddies)

  • 이영득;송성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9-276
    • /
    • 2001
  • Sulfamoylurea계 제초재의 일종인 cyclosulfamuron의 수도재배환경중 잔류특성을 평가하고자 2개 지역의 포장 및 실험실조건에서 토양 중 잔류성, 토양/토양수 및 수직적 잔류량 분포, 그리고 수확물인 현미 및 볏짚 중 잔류수준을 조사하였다. 경산 및 영천토양 중 잔류특성은 1차 분해반응의 양상을 보였으며 그 반감기는 포장과 실험실조건에서 각각 $17{\sim}30$일 및 $14{\sim}16$일로 나타났다. 입제살포 후 유효성분의 토양/토양수간 분포비율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토양으로의 분포비율이 높아졌으며 토양 및 토양수에서의 반감기는 각각 19일과 10일이었다. 감수심 5 cm/일 조건으로 10일간 수행한 용탈 실험에서 cyclosulfamuron은 토심 $0{\sim}4\;cm$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중 수직이동성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포장조건에서 입제 및 액상수화제를 수확전 $120{\sim}150$일 전에 $1{\sim}2$회 처리하고 수확한 현미 중 잔류량은 제형, 살포시기 및 회수에 관계없이 모두 0.01 mg/kg 미만이었으며 볏짚중 잔류량은 $<0.02{\sim}0.05$ mg/kg 범위였다. Cyclosulfamuron의 토양 및 토양수 중 비교적 빠른 소실속도와 낮은 이동성을 고려할 때 약제살포에 따른 잔류분이 다른 환경계로의 전이되거나 후작물에 대한 2차 약해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수확물 중 낮은 잔류수준과 독성학적 특성을 감안할 때 수확물 중 잔류분으로 인한 만성독성학적 부작용은 무시하여도 좋다고 판단된다.

  • PDF

헬기를 이용한 항공살포 농약의 비산 및 분포 특성 (Drift and Distribution Properties of Pesticide Spray Solution Applied Aerially by manned-Helicopter)

  • 진용덕;이희동;박연기;김진배;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1-356
    • /
    • 2008
  • 헬기에 의해 항공살포된 고농도 소량 살포농약의 비산 및 분포 특성과 이에 따른 벼와 주변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항공살포시 농약의 벼 부착량은 채취지점 및 약제에 따라 $3.1{\sim}4.7$배의 차이를 보여 살포 균일성은 낮았다. 헬리콥터에 의한 항공방제시 대상지역 이외의 포장으로 분무입자가 비산하는 정도는 바람부는 방향으로는 30 m, 바람부는 반대방향으로는 20 m 이내로 비교적 비산 정도가 낮았다. 살포된 농약은 대부분 벼에 부착되었고 논물 또는 토양 중에 낙하된 비율은 낮은 편이었으며, 재배환경 중 분해 속도는 벼> 물>토양 순이었다. 항공방제 포장의 벼 수확 후 토양 중살포농약의 잔류량은 불검출 ${\sim}0.201\;mg/kg$이었으며, 현미와 볏짚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항공살포에 의한 벼와 주변작물에 대한 약해반응은 무시할 수준이었다.

유기물(有機物) 종류(種類)에 따른 더덕 근(根)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정유성분(精油成分) 변화(變化) (Effects of Organic Matter Applications on General Components and Essential Oils in Codonopsis lanceolata $T_{RAUTV}$)

  • 이승필;김상국;최부술;이상철;여수갑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1-27
    • /
    • 1998
  • 본(本) 실험(實驗)은 자생지(自生地)의 야생(野生)더덕이 가지는 고방향성(高芳香性)의 특성(特性)을 노지재배시(露地栽培時) 재배(栽培)더덕에서도 고방향성(高芳香性)을 갖는 재배기술(栽培技術)을 확립(確立)하기 위하여 몇가지 유기물(有機物)을 시용(施用)하여 더덕의 주요성분(主要成分), 유리(遊離)아미노산(酸) 및 식물정유(植物精油), 향기성분(香氣成分)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위장(萎長)은 자생지토양(自生地土壤)보다 볏짚퇴비(堆肥)와 활엽수퇴비(闊葉樹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길었고 엽장(葉長), 엽폭(葉幅) 등(等)은 침엽수(針葉樹)/이끼 堆肥(퇴비) 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컸다. 2.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含量)은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보다 침엽수(針葉樹) 이끼퇴비(堆肥)와 계분(鷄糞)톱밥 퇴비(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는 낮은 반면에 산야초(山野草) 퇴비(堆肥), 활엽수(闊葉樹) 퇴비(堆肥) 및 볏집 퇴비(堆肥)에서는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고 무기성분(無機成分)인 K와 Mg은 전반적으 볏짚 퇴비(堆肥)와 침엽수(針葉樹) 이끼퇴비(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으나, Fe, Mn, Zn, Cu 등(等) 미량원소(微量元素)는 유기물(有機物) 종류간(種類間)에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3. 유리(遊離) 아미노산(酸) 함량(含量)에서 arginine은 다른 유리(遊離) 아미노산(酸)보다 매우 높았고 활엽수(開葉樹) 퇴비(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 18.99mg으로 가장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4. 유기물(有機物) 종류(種類)에 따른 식물정유(植物精油) 함량(含量)은 침엽수(針葉樹)/이끼 퇴비(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 는 0.008%로 가장 높은 수율(收率)을 나타내어 자생지(自生地) 유기물(有機物) 자원(資源)과 가장 유사(類似)한 것으로 판단(判斷) 되었다. 5. 더덕 뿌리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을 GC/MS에 의해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총 48종이 확인(確認)되었고 1-hexanol, cis-3-hexenol, trans-2-hexanol 등(等)이 높은 함양(含量)을 보였다. 유기물(有機物) 종류간(種類間)에는 침엽수(針葉樹)/이끼 퇴비(堆肥)에서 주요(主要) 향기성분(香氣成分)인 1-hexanol이 78.62, cis-3-hexenol이 36.65. trans-2-hexanol이 120.41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향기(香氣)가 높은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의 1-hexanol이 74.47, cis-3-hexenol이 44.21, trans-2-hexanol이 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

  • PDF

수도에 대한 규산질(珪酸質) 비료(肥料)의 시용시기(施用時期) 및 입도별(粒度別) 효과 (Effects of Application Season and Particle-size Distribution of Silicate Fertilizer on Rice Yields)

  • 유순호;박리달;이윤환;강규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5
    • /
    • 1979
  •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이앙(移秧) 전년(前年) 추시(秋施)했을 때와 이앙(移秧) 직전(直前) 춘시(春施)했을 때의 시용시기(施用時期) 및 입도(粒度)의 차이(差異)가 밀양 23호와 진흥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할 목적(目的)으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施用)(250kg/10a)에 의(依)하여 정조수량(正租收量) 및 고중(藁重)의 증가는 현저하였으나 시용시기(施用時期)에 대한 유의성(有意性)은 없었다. 입시(秋施)에 의(依)한 규산시용(珪酸施用)의 효과는 춘시(春施)한 것에 비(比)하여 다소 떨어지는 경향(傾向)을 나타낼 뿐이었다.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입도(粒度)가 클수록 수도(水稻)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규산시용(珪酸施用)의 효과는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8-25(60%)와 현행규산질비료(現行珪酸質肥料)는 대등한 것으로 평가(評價)되었다.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施用)에 의하여 대체로 주당수수와 수당입수가 증가된 반면(反面) 등숙률(登熟率)과 천립중(千粒重)은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추시구의 진흥에서는 입도(粒度)에 따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변화경향이 일정(一定)치 않았다. 경엽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진흥에서 높고 정조(正租)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밀양23호에서 높았으며 품종간(品種間) 규산함량(珪酸含量)의 차(差)는 수확기(收穫期)보다는 이앙(移秧)50일후(日後) 식물체(植物體)에서 현저하였다. 규산함량(珪酸含量)에 미치는 시용시기(施用時期) 및 입도(粒度)의 영향은 이앙(移秧)50일후(日後) 식물체의 규산함량(珪酸含量)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수확기(收穫期)의 규산함량(珪酸含量)에서는 진흥의 고중(藁中) 규산함량(珪酸含量)에 대한 입도(粒度)의 영향만이 인정(認定)되었다. 토양(土壤)의 유효규산함량은 시험전 36.7ppm에서 규산시용(珪酸施用)에 의하여 수확후(收穫後)에 춘시구에서는 159.5~273.8ppm, 추시구에서는 80.3~134.4ppm으로 증가되었다. 춘시구에서는 8-25(60%)를 시용(施用)한 경우에 가장 높았으며 추시구에서는 현행규산질비료(現行珪酸質肥料)와 8-25(60%)를 시용(施用)한 경우의 차(差)가 적었다. 결론적(結論的)으로 8-25(60%)는 현행규산질비료(現行珪酸質肥料)와 대등한 것으로 평가(評價)되며 추시(秋施)에 의(依)해서도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효과를 충분(充分)히 얻을 수 있으나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잔효에 대하여는 새로운 연구검토가 요구(要求)됨을 지적(指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