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cultivars

검색결과 988건 처리시간 0.034초

수도작(水稻作)을 위(爲)한 비옥도관리(肥沃度管理) - 다수성(多收性) 수도(水稻)의 생산능력(生産能力) 최대발현(最大發現)을 위한 시비량(施肥量) 결정법(決定法) 시안(試案) - (Fertility Management of Flooded Rice Soil:A Proposal to Minimize The Biological Production Potential-Performance Gap of High Yielding Varieties)

  • 박천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3-167
    • /
    • 1979
  • 수도(水稻)의 생산능력(生産能力)을 최대(最大)한 발현(發顯)시키는데 필요(必要)한 시비량(施肥量) 결정방법(決定方法)을 시도(試圖)했다. 이 시도(試圖)에서는 양분(養分)의 균형적(均衡的) 공급(供給)을 토양특성(土壤特性)과 품종(品種)의 특성(特性)에 바탕을 두어 공식화(公式化)하고저 했으며, 과거(過去)에 실시(實施)된 시험성적(試驗成績)들을 이용(利用)하여 그 타당성(妥當性)을 검토(檢討)했다. 그 요지(要旨)는 다음과 같다. 1. 다수확(多收穫)을 도모(圖謀)할 경우(境遇), 양분(養分)의 균형적(均衡的) 공급(供給)이 매우 중요(重要)하다. 2. 규산(珪酸)은 시용(施用)된 질소(窒素)를 고수량(高收量)으로 연결(連結)시키는데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한다. 3. 수량(收量)에 가장 결정적(決定的)인 몫을 하는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은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및 유효규산(有效珪酸)의 비(比) 즉(卽) $SiO_2$/O.M. 비(比)를 참작(參酌)함이 타당하다. 4. $SiO_2$/OM. 비(比)를 근거(根據)로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결정(決定)코저 할 경우(境遇), 수도(水稻)의 품종적(品種的) 특성(特性)이 고려(考慮)돼야한다. 그 까닭은 품종별(品種別)로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에 영향(影響)받는 정도(程度)가 상이(相異)하기 때문이다. 5. 토양(土壤)에 규산질(珪酸質) 비료(肥料) 혹(或)은 유기물(有機物)의 시용(施用)으로 $SiO_2$/O.M. 비(比)를 변화(變化)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질소량(窒素量)도 변동(變動)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수도품종(水稻品種)의 특성(特性)이 고려(考慮)돼야 한다. 6.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이와 같이 결정(決定)한 다음 가리(加里)의 시용량(施用量)은 질소량(窒素量)과 토양중(土壤中) K/Ca+Mg 비(比)를 토대(土台)로 산출(算出)할 수 있다.

  • PDF

벼 종자 출아시 온도차이가 Amylase와 Peroxid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Amylase and Peroxidase Activity of Emerging Rice Seeds to Different Temperatures)

  • 소창호;노영덕;윤진일;김영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25-532
    • /
    • 1995
  • 벼 품종 서해벼, 화성벼, Shoa-Nan-Tsan, Lenkwang, 백양벼 및 Newbonnet을 공시하여, 벼 종자를 토심 2.5cm 깊이로 파종하여 출아할 때까지 발아와 출아의 2과정으로 나누어 발아와 출아까지 소요일수을 조사하였고 발아시는 amylase 활성을, 출아시는 초엽과 1엽의 길이와 세포의 크기 및 peroxidase활성을 항온조건의 27와 17$^{\circ}C$, 변온조건의 24/1$0^{\circ}C$의 조건에서 조사, 측정하여 온도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였다. 1. 발아소요일수와 출아소요일수는 공시 품종 모두 27$^{\circ}C$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7$^{\circ}C$와 24/1$0^{\circ}C$에서는 27$^{\circ}C$에 비하여 소요일수가 길어졌고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17$^{\circ}C$와 24/1$0^{\circ}C$의 조건에서 발아소요일수보다 출아소요일수가 더 길어졌는데 24/1$0^{\circ}C$보다 17$^{\circ}C$에서 일수가 많이 소요되었다. 2. 초엽의 길이는 복토심과 비슷하였으나, 17$^{\circ}C$와 24/1$0^{\circ}C$에서는 초엽의 길이가 감소되고 대신 1엽이 신장하여 출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서해벼, 화성벼 및 New-bonnet은 온도에 따른 초엽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백양벼는 온도에 대한 반응이 뚜렷하였다. 초엽과 1엽의 표피세포의 크기는 온도에 따라 길이와 폭의 반응이 상이하였다. 27$^{\circ}C$에 비하여 17$^{\circ}C$와 24/1$0^{\circ}C$에서는 세포길이는 감소한 반면 폭은 증가하였다. 3. 경엽부의 peroxidase 활성은 17$^{\circ}C$와 24/1$0^{\circ}C$의 조건에서 증가하였는데, Shoa-Nan-Tsan과 Newbonnet은 증가폭이 적었다. Peroxidase 활성과 1엽의 세포 폭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을 뿐, 다른 것과는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발아시 amylase 활성은 온도가 낮을수록 감소하였고, 품종별로는 27$^{\circ}C$에서는 Shoa-Nan-Tsan과 Lenkwang이, 17$^{\circ}C$에서는 Lenkwang이, 그리 고 24/1$0^{\circ}C$에서는 Shoa-Nan-Tsan과 Lenkwang이 가장 높았으며 백앙벼는 3 온도 조건 모두에서 활성이 낮았다. 발아소요일수와 amylase 활성과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질소시용량에 따른 수도의 수잉기 내랭성과 약의 호흡활성 변화 (Cool Tolerance at Booting Stage and Respiration of Anther as Affected by Nitrogen in Rice Plant)

  • 최장수;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27
    • /
    • 1990
  • 질소시용량의 차이가 수도의 수잉기 내랭성과 출수기에 있어서 약의 호흡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여명벼, 운봉벼, 밀양 2003를 공시하여 소포자초기의 엽신 및 엽소+경의 질소함량, 출수기의 약의 호흡활성 및 내랭성 지표인 임실지수를 조사하여 이들의 상호간계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포자초기 엽신질소함량과 임실지수, 약의 호흡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2. 약의 호흡활성은 100ppm 질소처리보다 10ppm 질소처리에서 높았다. 3. 출수기 약의 호흡활성에 대한 Arhenius plot 분석에서 여명벼, 운봉벼는 100ppm 질소처리에서는 각각 18$^{\circ}C$, 18.5$^{\circ}C$에서 변환점을 나타내었으나, 10ppm 질소처리에서는 온도차이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 밀양 2003는 10ppm, 100ppm 질소처리에서 각각 20.5$^{\circ}C$, 21$^{\circ}C$에서 변환점을 나타내었다. 4. 15-3$0^{\circ}C$ 온도범위중 2$0^{\circ}C$에서의 약의 호흡량과 임실비율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컸었다.

  • PDF

Improving the drought tolerance in rice (Oryza sativa L.) by exogenous application of vanill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 Nguyen, Thanh Quan;Do, Tan Khang;Nguyen, Van Quan;Truong, Ngoc Minh;Tran, Dang Xu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8-38
    • /
    • 2017
  • Water stress obstructs rice growth mainly by oxidative damage in biological cells to cause a reduction of leaf photosynthesis and evapotranspir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exogenous application of vanillic acid (VA) and p-hydroxybenzoic acid (PHBA) to improve drought tolerance of two Oryza sativa cultivars, Q2 and Q8 was tested. The drought evaluation based on leaf phenotypes to show that both Q2 and Q8 resulted in remarkable water-stress tolerance induced by leaf spraying pretreatment of mixed solution of $50{\mu}M\;VA+50{\mu}M\;PHBA$. The mixtures of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treated on Q2 and Q8 in water deficit condition also indicated that total phenols, total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eir controls. In general, the accumulation of individual phenolic acids was increased in exogenous phenolic treatments, as compared with controls. Particularly, Q2 obtained a considerable amount of endogenous PHBA after application of $50{\mu}M\;VA$,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0.18 mg/g DW, 0.71 mg/g DW, and 1.41 mg/g DW, respectively); and a negligible content of VA (0.003 mg/g DW) appeared uniquely in the treatment of $50{\mu}M\;VA$. Similarly, Q8 also absorbed a significant quantity of PHBA in $50{\mu}M\;PHBA$,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treatments (0.15 mg/g DW, 0.15 mg/g DW, and 0.22 mg/g DW,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raying $50{\mu}M\;PHBA$ and $25{\mu}M\;VA+25{\mu}M\;PHBA$ on Q8 leaves induced similar amount of drought tolerance of Q2 and Q8 were improved, paralleled with the increased amounts of endogenous phenolics revealed that VA and PHBA played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drought tolerance in rice.

  • PDF

Improving the drought tolerance in rice (Oryza sativa L.) by exogenous application of vanill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 Nguyen, Thanh Quan;Do, Tan Khang;Nguyen, Van Quan;Truong, Ngoc Minh;Tran, Dang Xu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33
    • /
    • 2017
  • Water stress obstructs rice growth mainly by oxidative damage in biological cells to cause a reduction of leaf photosynthesis and evapotranspir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exogenous application of vanillic acid (VA) and p-hydroxybenzoic acid (PHBA) to improve drought tolerance of two Oryza sativa cultivars, Q2 and Q8 was tested. The drought evaluation based on leaf phenotypes to show that both Q2 and Q8 resulted in remarkable water-stress tolerance induced by leaf spraying pretreatment of mixed solution of $50{\mu}M\;VA+50{\mu}M\;PHBA$. The mixtures of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treated on Q2 and Q8 in water deficit condition also indicated that total phenols, total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eir controls. In general, the accumulation of individual phenolic acids was increased in exogenous phenolic treatments, as compared with controls. Particularly, Q2 obtained a considerable amount of endogenous PHBA after application of $50{\mu}M\;VA$,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0.18 mg/g DW, 0.71 mg/g DW, and 1.41 mg/g DW, respectively); and a negligible content of VA (0.003 mg/g DW) appeared uniquely in the treatment of $50{\mu}M\;VA$. Similarly, Q8 also absorbed a significant quantity of PHBA in $50{\mu}M\;PHBA$, $25{\mu}M\;VA+25{\mu}M\;PHBA$, and $50{\mu}M\;VA+50{\mu}M\;PHBA$ treatments (0.15 mg/g DW, 0.15 mg/g DW, and 0.22 mg/g DW,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raying $50{\mu}M\;PHBA$ and $25{\mu}M\;VA+25{\mu}M\;PHBA$ on Q8 leaves induced similar amount of VA (0.04 mg/g DW). Meanwhile, there were no trace of VA and PHBA found in controls. The levels of drought tolerance of Q2 and Q8 were improved, paralleled with the increased amounts of endogenous phenolics revealed that VA and PHBA played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drought tolerance in rice.

  • PDF

Identification of the quantitative trait loci for breaking and bending types lodging resistance in rice, using recombinant inbred lines derived from Koshihikari and a strong culm variety, leaf star

  • Samadi, Ahmad Fahim;Yamamoto, Toshio;Ueda, Tadamasa;Adachi, Shunsuke;Hirasawa, Tadashi;Ookawa, Taiichir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93-93
    • /
    • 2017
  • To develop rice cultivars with increased biomass and grain yield, superior lodging resistance is an essential trait. The new breeding approach can be adopted for the improvement of stem lodging resistance by enhancing culm strength. The resistance to breaking type lodging is attributed to bending moment of basal culm (M), which is composed of the section modulus (SM) and bending stress (BS). The resistance to the bending type lodging is attributed to flexural rigidity (FR) of stem, which is composed of the secondary moment of inertia (SMI) and Young's modulus (YM). Starch and cell wall components such as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physical strength of culm, and thus affect lodging. Leaf Star has a superior lodging resistance due to its thick and stiff culm because of its high M and FR compared with Koshihikari. Furthermore, Leaf Star contains high densities of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ow lignin density in culm compared with Koshihikari. In this study, we performed QTL analysis for these traits associated with culm strength, using 94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F_8$),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Leaf Star and Koshihikari. The SM in the RILs showed a continuous distribution. QTLs for SM were detected on chrs.2, 3 and 10. Leaf Star alleles increased SM on chrs. 2 and 3, but Koshihikari allele increased on chr.10. These QTLs overlapped with those QTLs identified using backcrossed inbred line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Chugoku 117 and Koshihikari, the parents of Leaf Star. The FR in Leaf Star was higher than that in Koshihikari due to the larger SMI and YM. 3 QTLs for SMI were detected on chrs.2, 3 and 10. Leaf Star alleles increased SMI on chrs.2 and 3, and Koshihikari alleles increased on chr.10. One QTL on chr.3 and two QTLs on chr.5 for hollocelulose content were detected with Leaf Star alleles contribution. Moreover, two QTLs were detected for hemicellulose density on chrs.3 and 5. Leaf Star allele increased hemicellulose density on chr.5, and Koshihikari allele increased on chr.3. Furthermore, two QTLs for cellulose density were detected on chr.5, and one QTL on chr.2. For starch content, one QTL on chr.3 and two QTLs on chr.5 with Leaf Star alleles contribution were detected. TULK-6 carrying a chromosome segment of Leaf Star on chr.5 in the Koshihikari genetic background showed higher densities of starch and hemicellulose than those in Koshihikar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tected QTLs for culm strength could be utilized for the improvement of lodging resistance in rice by marker-assisted selection.

  • PDF

Crossbreeding and parental lineage influences the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rice seed endophytes

  • Walitang, Denver I.;Halim, MD Abdul;Kang, Yeongyeong;Kim, Yongheon;Sa, Tong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61-161
    • /
    • 2017
  • Seed endophytes are very remarkable groups of bacteria for their unique abilities of being vertically transmitted and conserved. As plants attain hybrid vigor and heterosis in the process of crossbreeding, this might also lead to the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of plant endophytes in the hybrid plants ultimately affecting the endophytes of the seeds. It would be interesting to characterize how seed endophyte composition change over ti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ain insights into the influence of natural crossbreeding and parental lineage in the seed bacterial endophytic communities of two pure inbred lines exploring contributions of the two most important sources of plant endophytes - colonization from external sources and vertical transmission via seeds. Total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rice seeds and bacterial DNA was selectively amplified by PCR. The diversity of endophytic bacteria was studied through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Diversity between the original parents and the pure inbred line ma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richness, evenness and diversity indices. Heat maps reveal astonishing contributions of both or either parents (IR29 ${\times}$ Pokkali and AT401 ${\times}$ IR31868) in the shaping of the bacterial seed endophytes of the hybrid, FL478 and IC32, respectively. Most of the T-RFs of the subsequent pure inbred line could be traced to any or both of the parents. Comparison of common and genotype-specific T-RFs of parents and their offspring reveals that majority of the T-RFs are shared suggesting higher transmission of bacterial communities common to both parents. The parents influence the bacterial community of their offspring. Unique T-RFs of the offspring also suggest external sources of colonization particularly as the seeds are cultivated in different ecogeographical loc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host parental lines contributed greatly in the shaping of bacterial seed endophytes of their offspring. It also revealed transmission and potential conservation of core seed bacterial endophytes that generally become the dominant microbiota in the succeeding generations of plant hosts.

  • PDF

기상지수에 의한 벼도열병 예찰의 한 모델 (A Model to Forecast Rice Blast Disease Based on Weather Indexing)

  • 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0-216
    • /
    • 1987
  • 미기상 상태에 의하여 벼 도열병을 예찰하기 위한 전산화 예찰모델을 개발하여 그 정확도를 전산모델을 수록한 현지위치형 소형 전산기로서 1984년과 1985년에 걸쳐 포장에서 시험하였다. 건전지 작동형 소형 전산기는 벼 군락내 온도, 습도, 잎이 젖어있는 시간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그 상태를 도열병 발생가능성과 관련하여 평가해서 매일의 병발생가능성 수치(BUS)로 표현한다. 매일의 BUS의 누적치(CBUS)와 두 이병성 품종, M-201과 Brazos에서의 도열병 진전정도와는 밀접한 상관이 있었다. 발병엽율의 logit 치를 CBUS로 회귀하였을 때 평균 결정계수$(R^2)$는 품종과 실험한 해에 따라 $71\%\~91\%$였으며 이것은 시간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을 때의 결정계수$61\%\~79\%$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결정계수는 M-201에 비하여 생육후기에 포장저항성을 보인 Brazos에서 더 낮았다. 이상의 결과, 현예찰 모델은 실제로 사용가능성이 있지만 앞으로 기주의 저항성이나 병원균 집단의 병원성과 관련한 변수들을 기상환경의 변수와 함께 통합함에 의하여 보다 정확한 예찰모델로 개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

국내에 발생하는 조 바이러스의 종류 및 발생 실태 (Occurrence of Viruses Infect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in South Korea)

  • 박충열;민현근;이홍규;염윤아;오종희;김봉섭;배대현;윤영남;이수헌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69-74
    • /
    • 2017
  • 2015년, 조 바이러스 발생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국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재배단지 7개 지역에서 이상 증상과 바이러스 병징을 보이는 식물체 100점을 수집하여, RT-PCR 진단과 RNA 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 4종의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수집한 시료에서는 Barley virus G (BVG)가 10점, Rice stripe virus (RSV)는 4점, Northern cereal mosaic virus (NCMV), Sugarcane yellow leaf virus (ScYLV)가 각각 1점씩 검출되었다. 이들중에서 BVG와 NCMV는 국내 조에서 첫 발생보고이며, ScYLV는 Polerovirus속의 신종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는 조 식물체의 무병종자와 저항성 품종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온에서 볍씨 발아에 미치는 삼투처리 효과 (Effect of Osmopriming on Rice Seed Germination in Low Temperature)

  • 경은선;김진기;현동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65-472
    • /
    • 1994
  • 저온에서 볍씨종자의 발아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파종 전 종자를 PEG용액에 삼투처리 하였다.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가장 적절한 PEG-6000의 농도는 20%였으며, 침지하는 동안 온도는 20${\pm}1^{\circ}C$ 를 유지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종자는 신운봉벼(조생종), 간척벼(중생종), 동진벼(중만생종)종자였는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EG 용액에 60시간 침지한 후 종자의 수분함량은 증류수에 24시간 침지한 후의 수분함량과 거의 같았다. 2. PEG용액에 침지한 종자의 발아능은 증류수에 침지한 종자의 발아능에 비해 특히 저온에서 현저히 높았다. 3. PEG 용액에 침지했던 종자 침출물의 전기전도도는 증류수에 침지했던 종자나 대조구보다 그 값이 낮았고, 총 탈수소효소 활성은 증류수에 침지했던 종자나 대조구보다 그 값이 높았다. 4. 배의 단백질 함량을 보기 위해 전기영동한 결과, PEG 용액에 침지한 종자는 68KD부근 band에서 증류수에 침지한 종자나 대조구보다 약간 진한색을 보였다. 5. 전기영동에 의한 배의 동위효소 조성을 본 결과 peroxidase는 신운봉벼와 간척벼에서 공통적으로 Rf 0.94에서 PEG용액에 침지한 종자가 증류수에 침지한 종자나 대조구보다 진한색을 보였고, esterase는 세 품종 공통적으로 Rf 0.87에서 peroxidase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