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cookie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2초

"주방(酒方)"의 조리가공에 관한 분석적 고찰 (A Study on the cooking in 'The Joobang')

  • 김성미;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15-423
    • /
    • 1990
  • 'The Joobang' is a cooking book written purely in Korean which came from a Mr. Lee. It is unknown when and by whom this book was written, but it is inferred from red pepper mentioned in this book and from Korean-writting type that the book was written around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contents of 'the Joobang' consist of thirty seven items in all : sixteen items of rice alcoholics, five side dishes, eleven Tucks(rice cakes) and Guaja(cookies) and five processed materials. Cereals for making rice alcoholics were regular rice and sticky rice. In the first brew, rice alcoholics is made all from regular rice, and in the second brew, fifty six percent of regular rice and forty four percent of sticky rice was made use of. For five items of alcoholics forming 31.3% of alcoholics, flour was added, in which case the proportion of leaven to cereals was lower. There were four types of processing cereals in brewing rice alcoholics Jee-ae-bop(steamed rice, 60.9%), thick gruel with cereals ground and completely cooked(8.7%), thick gruel with cereals ground and half cooked (26.1%) and GooMung Tuck(doughnut-shaped rice cake, 4.3%). The comparison of the materials for brewing rice alcoholics and of the types of processing cereals presented in the seven cooking books purely in Korean(Umsik Deemeebang, JoobangMoon, Umsikbo, Sool-mandununbop, Kyuhap chongseo. The Kims' Joobangmoon and The Lee's Umsikbup) showed us the following facts ; Yihwajoo (rice alcoholics brewed around the blooming time of pear trees) and Kwahajoo(rice alcoholics which passed the summed time) were most often introduced and commonest, and the materials for brewing and the types of processing little changed over times. The materials for side dishes were all animal food, and vegetable food was little used for side dishes. Red pepper was used for seasoning. It is a problem of Korean traditional cooking that there were no units of measuring for side dishes. The main materials for Tuck(rice cakes) and Guaja(cookies) were sticky rice, regular rice and honey. There was a variety of terms for the process, from which we can see that the procedures of making Tuck(rice cakes) and Guaja(cookies) were very complicate. Processed materials were chiefly made of sticky rice and the material of firewood(oak trees) and the strength of fire(fire burning vigorously and fire turning to ashes) were described.

  • PDF

압출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및 밀가루 대체 쿠키 특성 (Physico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s and a Wheat Flour Substitute for Cookie Application)

  • 위경진;이인애;강태영;민주홍;강위수;고상훈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04-412
    • /
    • 2011
  • 쌀가루를 온도와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압출 한 쌀가루의 특성과 밀가루와 7:3의 비율로 혼합된 쿠키의 품질을 경도,색도,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쿠키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압출 쌀가루는 호화가 이루어져 $\alpha$ 화 되었으며 압출온도가 100$^{\circ}C$에서 130$^{\circ}C$로 증가할수록 점도가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수분함량이 25%에서 27%로 증가할수록 점도 가 다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압출쌀가루의 수분흡수력, 수분용해도, 팽윤력은 대체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30$^{\circ}C$와 80$^{\circ}C$에서 수분용해도와 팽윤력은 생쌀가루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나 80$^{\circ}C$에서는 130$^{\circ}C$ 압출쌀가루는 생쌀가루와 비슷하였다. 압출 공정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용해도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밀가루와 각 압출쌀가루가 혼합된 쿠키는 밀가루 쿠키와 비교하여 경도가 높았으며 퍼짐성지수는 낮았다. 100$^{\circ}C$ 압출쌀가루가 첨가된 쿠키는 색이 짙었으며 130$^{\circ}C$ 압출쌀가루가 첨가된 쿠키는 밀가루와 비슷하였다. 압출쌀가루가 첨가된 쿠키는 관능 평가에서는 향기, 맛,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부드러운 정도는 비슷한 평가를 받았다. 압출쌀가루를 사용하여 밀가루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압출쌀가루는 밀가루 함량을 줄여 사용할 때 가공적성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분야로 압출쌀가루 연구를 통해 쌀의 활용을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응 표면 분석을 이용한 견과류 첨가 쌀 쿠키의 품질 특성 및 최적화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Rice Cookies with Nu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진소연;이은지;김명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8-21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optimization of mixing ratio of rice flour, potato starch and soybean flour baking domestic rice cookies with nuts.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a central composite design comprising 5 levels and 3 variables, was used to identify the optimal combination of rice flour ($X_1$), potato starch ($X_2$) and soybean flour ($X_3$). The physical properties of 16 samples were analyzed, including color L (p<0.001), color a, color b (p<0.05), spreadability (p<0.05) and hardness (p<0.05). In sensory evaluations, color (p<0.05), flavor, taste (p<0.05), crunch (p<0.05) and overall quality (p<0.05) were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samples. The optimal compositional ratios were 78.90 g rice flour, 18.96 g potato starch, and 15.90 g the soybean flour in 420 g total weight.

식물성 유지 종류와 첨가비율에 따른 비건 렌틸콩 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egan lentil (Lens culinaris) cookies with different types and content of vegetable oil)

  • 민의진;하유림;김종훈;장혜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20-326
    • /
    • 2022
  • 본 연구에서 제조된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버터, 미강유, 카놀라유, 코코넛오일과 기타 식물성 재료들을 이용하여 렌틸콩 비건 쿠키를 제조하였다. 이를 이용해 반죽의 pH, 밀도, 쿠키의 퍼짐성, 굽기 손실률, 색도, 수분함량, 경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퍼짐성은 모든 종류의 유지에서 유지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굽기 손실률 측정 결과 네 종류 유지 모두 유지첨가량이 늘수록 굽기 손실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함량은 네 가지 유지에서 모두 유지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p<0.05) 미강유 30 g 첨가군의 수분함량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경도는 쿠키의 수분함량과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죽과 쿠키의 품질특성을 측정한 결과로 보았을 때 카놀라유, 코코넛오일, 미강유 모두 버터를 대체하기에 적합한 유지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미강유를 첨가한 쿠키에서 유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따라서, 비건 렌틸콩 쿠키 제조 시 버터를 대체할 식물성 유지로 미강유의 활용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앞으로 미강유를 활용한 비건 렌틸콩 쿠키의 품질 및 항산화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분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Gluten-free 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Effect of Various Gluten-free Flour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 정기영;송가영;오현빈;장양양;신소연;김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7-13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fferent gluten-free flours on the properties of cookies. Methods: Each gluten-free cookie was made from wheat, brown rice, buckwheat, corn, sorghum, teff, or black rice. Results: Baking loss was highest on sorghum (18.85%) and the lowest on teff (12.73%). The spread factor was highest on brown rice (8.20) and lowest on corn (7.60). The density was similar in all samples (1 g/mL). pH was the highest on buckwheat (6.45) and lowest on wheat (5.96). While L-value, a-value and b-value were lowest on black rice, the ${\Delta}E-value$ was the highest on black rice (35.57). The hardness was highest on wheat (30.28 N) and lowest on teff (14.87 N).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on buckwheat ($25.97{\mu}g\;GAE/mg$) and the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on black rice ($24.33{\mu}g\;QE/mg$). The DPPH IC50 value was highest on wheat ($352.41{\mu}g/mL$) and lowest on black rice ($33.59{\mu}g/mL$). The ABTS $IC_{50}$ value was highest on wheat ($349.30{\mu}g/mL$) and lowest on black rice ($57.72{\mu}g/mL$). The results of the sensory properties revealed color to be highest on corn (7.33). The top grain was similar in all the samples (5.43-6.57). Flavor was highest on black rice and teff (6.43-6.48). The softness was the highest on wheat, sorghum, teff, and black rice (6.48-7.05). Sweetness was highest on sorghum, teff, and black rice (6.19-6.71). The overall preference also was highest on sorghum, teff, and black rice (6.14-6.48). Conclusion: Gluten-free flours can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dded Kalopanax pictus Leaf Powder)

  • 이은지;진소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2-680
    • /
    • 2015
  •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음나무 잎을 쌀쿠키에 첨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간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음나무 잎의 총 페놀 함량은 50.74 mg GAE/g, DPPH radical 소거활성 $IC_{50}$$41.09{\mu}g/mL$, 환원력은 1 mg/mL의 농도에서 흡광도 1.55로 음나무 잎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쌀쿠키의 경우, 음나무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 퍼짐성, 팽창률, 색도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물질인 총 페놀 함량을 정량한 결과, 음나무 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페놀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쌀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측정 결과, 음나무 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음나무 잎 분말을 3% 첨가한 쌀쿠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5% 이상 첨가 시는 전반적인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는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관능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기능성과 기호도 측면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쌀쿠키에 3% 음나무 잎 분말 첨가는 기능성과 기호성을 갖춘 식품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조선조(朝鮮朝) 궁중(宮中) 탄일상(誕日床) 발기의 분석적(分析的) 연구(硏究) (An Analytical Study on the Royal Family Birthday Party Menu of Chosun Dynasty)

  • 한복진;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37
    • /
    • 1989
  • This paper studied what kind of foods were served how often in the table of the Royal family birthday parties by analyzing 18 sets of the Royal family birthday party menu with respect to the rank of Royal family for each season respectively among all the kinds of food menu of Chosun Dynasty. From this sudy a good representation of primary Royal King's birthday menu could be drown. The menu of the King was most in variety. And the King was served in the range of 46 to 74 kinds of food and its number of dishes varied 28 to 40, and the other royal family were served in the range of 19 to 44 kinds of foods and its number of dishes varied 15 to 26. The menu included variable dishes such as Yoomilkwa (fried cookies 油蜜果) 7, Gangjung 17 (fried rice cookies 姜?) 17, Dasik (mold cookies 茶食) 8, Suksilkwa (cooked fruits 熟實果) 1, Jungkwa (compoted fruit 正果) 1, Byung (rice cakes 餠) 25, Umchung (punch 飮淸) 4, Sengka (fresh fruits 生果) 21, Jusik (main meal 主食) 4, Chanpum (side dishes 饌品) 27, Jomipum (sauce, honey, mustard 調味品 ) 3.

  • PDF

탁주 주박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Takju pomace powder)

  • 임채윤;김미향;강우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탁주 부산물로 얻어지는 주박을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고 5-15% 수준으로 첨가하고 이에 따른 쿠키의 pH, 수분함량, 색도와 조직감, 관능평가를 통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주박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 반죽의 pH는 3.04-6.52 수준으로 주박 분말 5% 첨가구에서는 무첨가보다 낮아지고 10% 이상에서는 주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수분함량은 주박 5% 첨가 수준은 무첨가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10% 이상의 첨가에서는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는 주박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L 값과 b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주박 분말 10% 첨가구에서 외관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고, 향과 질감 기호도에서는 5%가 가장 높았다(p<0.05). 종합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한 주박 첨가량은 10%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미성숙 전곡립 미숫가루와 이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sutkaru and Their Cookies Made with Immature Whole Green Rice and Barely)

  • 이아영;김예슬;이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05-1812
    • /
    • 2013
  • 미성숙 전곡립인 녹색쌀과 녹색보리로 미숫가루를 제조하여 품질 및 조리 가공 적성을 조사하고, 미숫가루 30% 첨가된 쿠키를 제조한 후 품질 및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녹색쌀과 녹색보리로 제조된 미숫가루는 대조군인 완숙 곡립의 현미와 찰쌀보리 미숫가루보다 각각 높은 WAI와 점도를 나타내었다. 녹색쌀과 녹색보리 미숫가루의 환원당은 ${\alpha}$-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 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어 완숙곡립 미숫가루보다 소화율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녹색쌀과 녹색보리 미숫가루 30%를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는 밀가루 100%의 대조군 쿠키보다 단단하고 퍼짐성지수가 감소되고, 어두운 갈색을 띠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숫가루 첨가군들 중에서 녹색쌀을 함유한 쿠키는 녹색보리를 함유한 쿠키보다 유의적으로 밝고, 감소된 황색과 적색을 나타내었다. 미숫가루에 우유와 꿀을 혼합한 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미성숙 곡립인 녹색쌀과 녹색보리는 대조군보다 고소한 맛이 적고 풋내가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는 낮게 평가받았지만, 녹색보리 미숫가루 쿠키의 경우 대조군인 밀가루 쿠키와 비교하여 색상을 제외한 모든 관능평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어, 미성숙 전곡립인 녹색보리로 제조된 미숫가루를 쿠키를 비롯한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에 첨가할 경우 고소한 맛과 향이 부여된 건강 기능성 가공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급식에서 제공하는 후식 메뉴의 인식, 기호도 및 만족도 조사 (Study on Recognition, Acceptance, and Satisfaction of Dessert Menus on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Seoul Province)

  • 김소연;최일숙;이영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25-53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erception, acceptance and satisfaction of dessert menu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ive hundred students (246 male, 254 female) were recruited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dessert menus of elementary school lunches are needed to satisfy diverse acceptance and preference levels of children. For dessert items chocolate milk among beverage items, peaches among fruits, chocolate cookies among cookies, piece cake among breads and honey rice cake among rice cakes presented high acceptance scores. Furthermore, fruits, ice creams, juices and cookies were the most liked food items. Taste and health of desserts were important factors in perception of dessert. Rice cake (48.6%), a Korean traditional food, was the most preferred food item, followed by tea punch (31.2%), Korean cracker (10.0%) and Shanja (4.0%). Taste (51.4%)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mprovement of dessert, and increasing variety of dessert items (43.4%)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demand of dessert. It is suggested that continuous update of school dessert menus is needed to meet consumers' demands and health aspects. Furthermore, Korean traditional desserts might be the key for improving satisfaction in desserts in elementary school lun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