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cell suspension cultur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형질전환 벼 현탁세포를 이용한 hCTLA4Ig 생산에서 proline과 gelatin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line and Gelatin on hCTLA4Ig Production in Transgenic Rice Suspension Cells)

  • 송미나;전수환;권준영;최성훈;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46-25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형질전환된 벼 세포를 이용하여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제인 human cytotoxic T-lymphocyte antigen 4-immunoglobulin (hCTLA4Ig)을 생산하였고, RAmy3D promoter와 RAmy1A signal pertide를 사용하여 당 고갈시에 목적 단백질의 발현과 배지로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이 시스템의 문제점은 당 고갈에 의해 목적 단백질의 생산이 유도되기 때문에 에너지원이 없어 세포의 사멸, 이로 인한 배지내로의 protease 분비를 유발하게 된다. 이것은 목적 단백질의 안정성 저해와 궁극적으로는 생산성의 손실을 일으킨다. 따라서 세포를 보호하여 사멸을 막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proline을 첨가하여 생산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4 mM의 proline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세포의 사멸 및 pretense의 분비를 줄일 수 있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hCTLA4Ig의 생산성 증진으로 이어졌다. 또한 단백질 안정제를 통하여 배지내로 분비된 hCTLA4Ig의 안정화를 이루어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0.01 g/L의 gelatin을 적용하여 생산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hCTLA4Ig의 안정화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Pretense의 분비를 줄이기 위한 세포 보호와 pretense의 공격을 막기 위한 hCTLA4Ig 보호를 통하여 형질전환된 벼 세포를 이용한 hCTLA4Ig의 안정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구마 배양세포에서 Peroxiredoxin cDNA의 분리 및 발현 특성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Peroxiredoxin cDNA from Cell Cultures of Sweetpotato)

  • 박수영;류선화;권석윤;김종국;곽상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35-141
    • /
    • 2003
  • Peroxiredoxin(Pix) are large family of peroxidases that reduce alkyl hydroperoxides and hydrogen peroxide. A cDNA clone (referred to as swPrxl) encoding Pix was from a sweetpotato cDNA library constructed from suspension-sultured cells, and its expression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stress. The swPrxl contained an open reading frame (ORF) encoding mature protein of 193 amino acids with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20.8kDa.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of swPrxl has two conserved cysteines that are essential resicues for the reduction of peroxides. It showed high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ot PixIIF of Arabidopsis (77%) and putative Prx of rice(72%). RNA gel-blot analysis showed that swPrxl gene was expressed dominantly in leave among intact tissues, and also highly detect in suspension-cultured cells. Interestingly, the level of swPrxl transcripts was almost the same regardless of the growth stage in suspension culture. Furthermore, the transcription level of swPrxl gen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response to various stress treatments such as wounding, extreme temperature and stress-related chemicals RT-PCR analyses.

Intravenous Single and Two Week Repeated Dose Toxicity Studies of Rice Cells-derived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on Rats

  • Ji, Jung-Eun;Lee, Jung-Min;Choi, Jong-Min;Choi, Young-Hwa;Kim, Seok-Kyun;Ahn, Kyong-Hoon;Lee, Dong-Hoon;Kim, Ha-Hyung;Han, Kyu-Boem;Kim, Dae-Kyo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383-389
    • /
    • 2007
  •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hGM-CSF) regulate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and modulates function of the mature hematopoietic cells. In the previous study, we reported that hGM-CSF could be produced in transgenic rice cell suspension culture, termed rhGM-CSF.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single and repeated dose toxicity of rice cells-derived hGM-CSF in SD rats. During single dose toxicity study for 7 days, there were no any toxic effects at any dose of from 10 to $1000{\mu}g/kg$. The lethal dose ($LD_{50}$) was not found in this range. Moreover, repeated dose toxicity study of 14-days period and at the doses of 50 and $200{\mu}g/kg$ (i. v.) of rhGM-CSF did not show any changes in food and water intake.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changes in both body and organ weight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est groups. The hematological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statistically not different in all th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hGM-CSF has no toxicity in SD rats.

들잔디 체세포 배발생 세포로의 DNA 전입을 위한 Electroporation 조건 구명 (Electroporation Conditions for DNA Transfer into Somatic Embryogenic Cells of Zoysia japonica)

  • 박건환;안병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19
    • /
    • 1998
  • Electroporation을 이용한 형질전환 연구에서 원형질체 대신 체세포 배발생 세포를 이용하여도 DNA가 도입될 수 있음을 이미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배발생 세포 내로 DNA를 도입하기 위한 electroporation의 최적 조건, 즉 전압과 capacitance 수준, promoter 종류, DNA 농도, 저온처리효과 등을 구명하며, 처리에 따른 DNA의 전입 현상을 이해하고 전기충격후의 생장과 분화 정도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들잔디 미숙배를 2,4-D가 2 mg/L 함유된 MS배지에서 배양하여 배발생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동일 조성의 액체배지에 진탕배양하여 조직 electroporation에 적합한 현탁배양 세포괴를 증식할 수 있었다. 100-400 V의 전압과 10-1980 $\mu\textrm{F}$의 capacitance 수준에서 세포괴를 35S-gusA 조성을 갖는 운반체 DNA와 함께 electroporation 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DNA가 도입되었음을 표지유전자 gusA의 transient 발현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200-300 V 전압과 330-800 $\mu\textrm{F}$ capacitance 수준이 보다 효과적인 경향을 보였다. 처리시 온도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6 $\mu\textrm{g}$/mL 이상의 DNA 농도에서는 GUS 발현이 양호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세포주들은 모두 DNA가 도입 되었으나 비 배발생 캘러스 세포주는 11개중 하나에서만 도입이 확인되었다. Electroporation시 전기충격후 20, 40시간 후에 DNA를 첨가하여도 gusA가 발현됨에 따라 전기충격이 세포막의 침투성을 장시간 변화시킴으로써 DNA가 전이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usA의 promoter로 CaMV 35S외에 Actl과 Ubil의 활성을 비교한 바, 35S에 비해 각각 7배, 5배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Electroporation 처리후 세포괴의 배양실험에서 100-400 V의 전압과 10-l980 $\mu\textrm{F}$ capacitance의 전 처리 범위에서 캘러스의 지속적인 생장과 함께 식물체 재분화가 일어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