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odie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6초

분리된 동충하초 균주를 이용한 자실체 생산 (Production of Fruiting Body Using Cultures of Entomopathogenic Fungal Species)

  • 성재모;최영상;이현경;김상희;김용욱;성기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15-19
    • /
    • 1999
  • 배양실내에서 인공적으로 자실체의 형성을 유도한 결과 PDA와 번데기분말을 혼합한 배지상에서는 자실체의 형성을 유도할 수 없었다. 쌀을 이용한 곡물 배지에 수분함량을 달리하고 번데기를 첨가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 알락미에서는 곡물:수분함량이 1:3.5의 비율로 한배양기에서 가장 왕성한 자실체 생산을 보여 주었으며 현미의 경우는 곡물: 수분함량이 1:2.5로 조성된 배양기와 번데기를 첨가한 배양기에서 우수한 자실체 형성을 보여주었다. 자실체 형성적정 온도로는 $20^{\circ}C$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현미와 번데기를 첨가하며 조제한 배양기내에서 자실체형성을 유도한 결과 자실체 형성 우수균주로서 최종 C. militaris 25균주, C. scarabaeicola 2균주 등 27개 균주를 선발할 수 있었다. 현미와 누에번데기를 넣어 만든 배양기내에서의 자실체 형성은 약 50일내지 65일 사이에 완전한 형태의 자실체 형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쌀 배유세포 전분복합체와 단백질체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Compound Starch Granules and Protein Bodies of Starchy Endosperm Cell in Rice)

  • 장병수;이수정;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79-383
    • /
    • 1996
  • 조생종 쌀인 오대벼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의 배유세포에 있는 전분복합체와 단백질체의 외부형태 및 미세 구조의 특징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배유세포는 긴 막대모양으로 세로 단면이 장방형 또는 마름모형을 하고 있고, 세포벽은 $0.5\;{\mu}m$의 두께로 균질한 막상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세포내에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전분복합체가 치밀하게 채워져 있으며, 직경이 $18{\sim}25\;{\mu}m$로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였다. 전분복합체는 12면체 또는 14면체의 중앙 전분과립을 중심으로 약 $5\;{\mu}m$ 크기의 전분과립들이 동심원상으로 2 내지 3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유세포에서 단백질체는 호분층에서 보다 아주 드물게 관찰되었지만, 전분복합체의 주변에 인립하여 산재하고 있다. 단백질체는 직경이 약 $3\;{\mu}m$로 구형 또는 난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미세구조적으로 중심부는 전자밀도가 높게, 한계막의 주변부는 비교적 전자밀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 PDF

벼의 원형질체 융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sion of Rice Protoplasts)

  • 한창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5권4호
    • /
    • pp.13-17
    • /
    • 1972
  • Rice callus was treated with 0.56M sucrose solution mixed with 5% pectinase and 10% cellulase, and the protoplasts isolated were transferred to 0.25 M sodium nitrate to induce protoplasmic fusion. Callus tissues were macerated well and degradation of cell walls also proceeded satisfactorily. When the protoplasts were transferred to sodium nitrate solution, many giant roundish protoplasts and some multilobed complex protoplasmic bodies were observed. Most of the fusions took place immediately after the protoplasts were transferred to sodium nitrate. Some multilobed protoplasts which failed to fuse in the initial stage took longer time, about two hours, to get completely fused and rounded-off. Multilobed protoplasmic bodies were invariably multinucleate, while giant round protoplasts had either several nuclei or had one nucleus of large size. Nuclear fusion, also, seemed to occur immediately after the protoplasts were transferred to sodium nitrate.

  • PDF

팽이버섯의 배지조성에 따른 균사 배양 및 자실체 수량 비교 (Comparison of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ies yield according to substrate in Flammulina velutipes)

  • 정종천;이찬중;문지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7-121
    • /
    • 2014
  • 본 시험은 팽이버섯 병재배용 배지의 혼합수준에 따른 전탄소(T-C), 전질소(T-N) 함량과 균배양기간, 버섯발생기간, 자실체 수량 등 재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재료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팽이버섯의 경우 [콘코브75+미강20+건비지5] 배지에서 자실체 수량이 190.5 g/850 ml로 가장 높았으나(20.4% 증가), 균 배양기간이 28일로 대조구보다 8일 지연되었다(대조구 [미송톱밥75+미강25]: 수량 158.2g, 배양기간 20일). [미송톱밥75+미강20+건비지5] 배지는 팽이버섯의 자실체 수량이 172.7 g(9.1% 증가), 균 배양기간이 21일로 대조구보다 1일 지연되었다.

느타리버섯 자실체 생육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Effects of Different Substrate on the Growth and Microstructure of Fruit Body in the Basidiomycetes, Pleurotus ostreatus.)

  • 주영철;윤선미;강희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72-1277
    • /
    • 2007
  •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형성과정에서 생육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배지기재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배지의 종류에 따른 초발이소요일수는 폐면이 5일로 가장 빨랐고 볏짚은 대조와 같이 6일이었다. 볏짚과 폐면에서 생육한 느타리의 경도는 대조의 5715.4 $g/cm^2$에 비해 1/2정도로 낮게 나타났으나 톱밥 단독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의 경도는 17067.3 $g/cm^2$으로 3배이상의 높은 경도를 나타내어 톱방이 느타리버섯의 경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배지별 느타리자실체의 갓부위를 관찰한 결과, 톱밥배지의 경우 다른 자실체의 주름으로부터 비산된 담자포자들이 대량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볏짚배지의 경우 갓낭상체의 발달이 관찰되었으며 폐면에서 생육한 자실체의 갓의 균사와 노화가 다른 처리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톱밥 및 폐면에서 생육한 자실체의 갓의 균사의 노화가 다른 처리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톱밥 및 폐면에서 생육시킨 느타리자실체의 담자기의 자가분해 및 담자포자 비산이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톱밥배지에서 생육시킨 느타리자실체의 대부의 균사의 생육상태는 두꺼운 균사다발이 대부위 전체를 피복한 듯한 형태가 관찰되어 이러한 균사다발층이 대의 경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대조군에서는 풍부한 세포질 물질을 갖는 균사들이 관찰된데 반해, 톱밥에서 생육시킨 느타리자실체의 균사는 다른 처리에 비해 착색이 많이 되어 있는 균사와 액포화된 균사의 발달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Multiple Rice Body Formation in Subacromial and Subdeltoid Bursal Spaces

  • Shin, John Junghun;Lee, Jun-Pyo;Kim, Doo-Sup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9권2호
    • /
    • pp.96-100
    • /
    • 2016
  • We encountered a rare condition of rice body in subacromial and subdeltoid spaces in a patient with unremarkable medical history. Although it is uncommon, there have been continued reports on its formation in certain type of infective and inflammatory arthritis. However, except for a traumatic event, evaluation yielded no known and conceivable cause for his chronic inflammatory bursitis. Relatively typical findings for rice body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have been described, and in our case the imaging prompted us to schedule early removal, which is generally accepted as the management of choice to prevent further progression of symptoms. The symptoms of the shoulde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nd a close follow-up schedule has been recommended for observation of recurrence and development of any foreseeable underlying cause.

Coordination of Basic and Development Researches on Vitamins

  • Mitsuda, Hisateru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93-210
    • /
    • 1971
  • Reviewed biosynthetic pathways in green leaves of thiamine, riboflavin and folate as disclosed by the authors, and the regulatory systems operating on their biosynthesis and biodegradation as revealed since a potent inhibitory activity of ATP was found for the phosphatase reactions in 1965. Physiological roles of ascorbic acid in plant were evidenced by its higher content in green and flower leaves; the content in persimmon leaves for example was found ten or more times of that in citrus fruits. A close relationship existing between basic and development researches was illustrated by examples chosen from the author's researches. Examples cited were as follows; basic researches on vitamins were extended to the creation of thiamine enriched rice, to the growth promotion of rice plant by foliar application of thiamine, and to the use of ascorbic acid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beer cloudness;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protein bodies in rice endosperm turned out amino acid enriched rice; techniques acquired in the studies on catalase were successfully employed for the utilization of single cell protein (MIPRON) for human food; conception of hybernation was led up to under-water or under-ground storage of cereal grains.

  • PDF

곡물배지를 이용한 번데기동충하초 재배기술 (Establishment of artificial cultivation technique of Cordyceps militaris using a grain media)

  • 유영진;서경원;이공준;최동칠;최정식;박정식;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5
    • /
    • 2007
  • 본 연구는 번데기동충하초를 곡물배지를 이용하여 자실체를 형성하는 실험으로 액체종균제조에 적합한 조건은 맥아추출배지를 농도 0.7%, pH 5~5.5,으로 조정하였을 때 균사의 건중량은 $3.9{\sim}4.1mg/m{\ell}$로 양호 하였다. 자실체 발생 최적 환경조건은 습도 95%, 온도 $17^{\circ}C$, 조도 600 lx, 이산화탄소농도 500ppm하였을 때, 곡물배지 일반현미와 흑미에서 24.3g/병, 20.5g/병의 자실체가 형성되었다.

  • PDF

번데기동충하초의 자실체 형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Artificial Fruiting of Cordyceps militaris)

  • 성재모;최영상;부샨 쓰레스타;박영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0
    • /
    • 2002
  • 배양병의 선발시험에서는 1100 cc pp병에서 자실체 형성이 우수하였다. 경제성을 고려하여 1000 cc병을 이용한 자실체형성에서 현미의 입병량은 $60{\sim}80\;g$이 적당하였다. 자실체 형성을 위한 배양온도는 $24^{\circ}C$에서 균사 배양한 후 $20^{\circ}C$에서 발아를 유도하였을 때 자실체 형성이 우수하였다. 현미배지의 sucrose첨가량은 10%를 첨가하고 번데기첨가량은 병당 10 g을 첨가하였을 때 자실체 형성이 양호하였으며 peptone과 hemoglobin, 건조누에 등은 자실체의 수확량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현미배지의 공극률에서는 $0.59{\sim}0.63%$의 공극률에서 자실체 형성이 양호하였다. 광조사의 시간은 500 lx, 12시간 정도가 적당하였다.

Translocation of Seed Storage Proteins into Microsomes Isoalted from Rice Endosperm Cells

  • Kim, Woo Tae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293-299
    • /
    • 1994
  • Developing rice endosperm cells display two morphologically distinct rough endoplasmic reticulum (ER) membranes, the cisternae ER (C-ER) and theprotein body ER (PB-ER), the latter delimiting the prolamine protein bodies. We (Li et al., 1993) have recently shown that the storage protein mRNAs are not randomly distributed on these ER types; the C-ER is enriched for glutelin mRNAs, whereas the PB-ER harbors predominantly prolamine transcripts. To address whether these ER types have differnet capacities to translate these mRNAs and translocate their proteins into the lumen, a microsomal fraction enriched in C-ER vesicles was prepared from devleoping rice seeds. When present in an in vitro translatin system, the microsomes were able to proteolytically remove the signal peptide and internalize both preproglutelin and preprolamine within the microsomal vesicles. Of the two species, preprolamine was more effectively translocated and proces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R has the capacity to recognize and bind both storage protein mRNAs during protein synthesis. Moreover, efficient translocation and processing of glutelin requires additional factors that are deficient or absent in the in vitro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