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Variety

검색결과 1,035건 처리시간 0.029초

광주.전남지역의 주요 특산식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jor Local Foods in Gwangju.Jeonam Area)

  • 김정옥;최차란;신말식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27-339
    • /
    • 2006
  •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음식문화 주요 식품 재료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군의 특산물을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기타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특산물 중 농산물 51종, 수산물 50종, 축산물 6종, 기타 특산물 17종으로 총 124종 선정되어 있었다. 이 지역의 특산물 중에서 쌀, 오이, 배, 멸치, 굴, 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등은 여러 지역에서 특산물로 선정되어 있었다. 무등산수박, 무화과, 연어, 숭어, 메기 등의 특산물은 이들의 생산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가진 지역에서만 생산되고 있었다. 농산물 중 밤호박, 파프리카, 키위, 벨론 등은 최근에 이 지역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수산물, 버섯류, 산채류는 자연산은 감소하는 반면 양식이나 인공재배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농산물과 축산물의 브랜드화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 지역의 음식문화와 관련된 식재료의 수급과 선택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특산물의 종류와 생산량이 환경오염과 국토개발 등 자연환경의 변화, 소비자의 기호변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재배기술의 발달, 수산양식의 발달, 새로운 품종의 도입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었다. 즉, 이 지역에서 식재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농수산물이 생산되고 있으며, 음식문화가 계속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벼 담수표면직파재배 질소시비 기준에 따른 줄기 특성과 도복과의 관계 (Culm Characteristics of Rice Plant Related to Lodging Resistance under Different Nitrogen Levels in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 송동석;김진호;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08-317
    • /
    • 1996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도복 발생에 관여하는 줄기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포장도복 정도가 다른 5 품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모률은 66.7~71.2%의 분포를 보였으며, 입모수는 m$^2$ 당 103~110개로 적정한 분포를 보였다. 2. 포장도복 정도는 질소시비수준 5kg/10a구에서 평균 2.2, 10kg/10a구에서 평균 3.0, 15kg /10a구에서 평균 5.5를 보여, 질소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포장도복정도가 심하였다.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여 청명과 동진벼가 1.5~5.5를 보였으며, 대청, 팔공 및 화성벼는 2.0~7.2를 보였다. 3. 간장은 질소시비량 15kg /10a에서 6~9cm 정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도복발생 벼가 무도복 벼에 비해 5~8cm 정도 길었으며, 도복발생 벼와 무도복 벼의 경우 제 3절간은 각각 19.2, 11.4cm, 제 4절간은 각각9.3, 7.5cm, 제 5절간은 3.9, 3.2cm의 차이를 보였다. 4. 지상부 모멘트가 작을수록, 줄기의 좌절시 모멘트가 클수록 도복발생이 억제되었다. 5. 근중과 간기중과는 r =0.732 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단면계수 값과 점 모멘트간에는 f=-0.989 로 고도의 부의 유의성을 보였다.

  • PDF

수도권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식생활 태도 조사 (Dietary Attitude of Single Households in Metropolitan Areas)

  • 허윤경;심기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35-745
    • /
    • 2016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203 single households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40s who were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from October 6 to November 4, 2012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etary attitude of the single households. The ratio of single households who had three meals a day regularly was 2.85 points, which wa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and it turned out that those in their 20s and 30s had meals more regularly than those in their 40s did (p<0.001). As for the irregular meal time, most were breakfast (85.9%), and it turned out that they often skipped meals mostly because they did not have time to eat and (41.7%) or because that bothered them (26.0%). 62.6% of the single households did overeating and most of them (39.4%) did overeating because of their irregular meals. Of the single households, women or persons who had lived alone for less than 3 years or more than 7 years cooked at home, more often (p<0.05), and most of them (42%) cooked noodles, easy to cook, but women cooked Korean food-based homemade food such as rice (31.7%) or soup and stew (21.2%), often (p<0.05). It turned out that 36.9% of the single households often ate out about two to three times a day, and as for their favorite eating-out menus, 39.4% were Korean food, followed by Western food (23.8%), flour-based food (13.5%), fast food (9.8%), Chinese food (7.3%) and Japanese food (6.2%). Lastly, as for inconveniences when they ate out, most were the 'price' (22.8%), followed by 'too much amount of food for one person' (20.2%) and 'limitations in menu selection' (19.2%).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appeared that the single households had an irregular dietary life, often did overeating and often ate out, so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nutritionally-balanced HMR food and eating-out menus in a reasonable price range for their healthy dietary life.

1900년대 이전 문헌에 기록된 전 조리법의 문헌적 고찰 (A Bibliographical Study of Korean Fan Fried Side dishes(Jeon)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900s)

  • 최영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9-639
    • /
    • 2012
  • Jeon refers to a type of Korean cuisine used as a side dish, made with various ingredients such as meat, vegetables, or fish, mixed with flour batter and coated with egg batter and then pan-fried on both sides with oil so that heat spreads through them wel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rnerstone of further research on Korean dietary life, by reviewing types, recipes and names of Jeon recorded in ancient cookbooks (Korean literatures) and by analyzing changes in recipes to make Jeon, which our ancestors used wisely as one type of side dish. Considering developments and changes recorded in old documents, the Jeon recipe appeared relatively later than the recipes for grilling, steaming et al, which had been developed much earlier, and it had not been recorded until the 1600s. Changes of Jeon recipes by time period are as follows. In the 1600s, there were three recipes: frying only with grain batter after preparation of ingredients, frying right after preparation of ingredients, and putting ingredients on already fried watery batter. These three recipes were still used in the 1700s, in addition to a new recipe, in which ingredients were oil-fried to be skewered. Today's recipe in which prepared ingredients are fried after getting coated with flour and egg only appeared in 1800s. This has been the main recipe for Jeon ever since. In that time period, there was more variety of recipes and ingredients than before. For instance, Jeon was used for soup or steamed dishes instead of being served as a dish itself. Buchimgae with mixed ingredients was also considered Jeon. In the 1900s, there appeared more names for Jeon as more sorts of ingredients got used, even though there were no new recipes for Jeon. The above-mentioned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traditional recipes for Jeon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dishes, using diverse ingredients, and it might be a smart solution to today's problematic dietary habits involving excessive intake of nutrients, in that it provides a healthy way to add fat. In the same sense, the recipe for Jeon can play an active role in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foods, in which healthiness is a main feature.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the recipes for Jeon were used even for meals that were not side dishes, such as Jun-Gwa (Jung-Gwa), Jun-Yak and fried rice-cake. Also, there were dishes using the same recipes even without carrying the name of Jeon, like Buchim or Jijim. This might be worthy of further examination in culinary science.

DSSAT 작물모형을 위한 수미품종의 품종모수의 결정과 기후변화에서의 활용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the genetic coefficient of cv. Superior for the DSSAT-CSM)

  • 백계령;이계준;이은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6-174
    • /
    • 2018
  • 감자는 전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쌀, 벼, 옥수수 다음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 식량 작물이며 생육 중에 수분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수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기후변화에 의한 감자수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식량안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후변화 등에 의한 환경에 따른 작물생산량 예측을 위해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작물모형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다양한 작물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미국에서 개발된 DSSAT 프로그램도 그 중 하나로 다양한 작물에 대한 여러 모델들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한 일종의 패키지이며 27종의 작물에 대해 연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조건에서 2050년대와 2090년대의 국내 5개 지역의 감자 생산량을 모의하였다. 국내에서 가장 흔하게 재배되고 있는 감자품종인 수미에 대한 품종모수가 DSSAT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016-2017년 실제 생육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로 하부모듈인 GenClac 프로그램에서 수미품종의 품종모수를 추측하였으며, 총 5개 지역 39개의 지역적응시험 성적자료를 이용하여 추측된 품종모수를 검증하였다. 검증된 품종모수로 RCP 8.5기후 시나리오조건에서 수미품종의 생산량예측을 수행한 결과 2010년대와 비교하여 2050년대에는 5개 지역 총 생산량이 26% 증가한 반면 2090년대에는 17%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감자 생산을 위해서는 고온에서의 재배와 관수와 관련된 연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스파라거스이 품종간 생육특성 비교와 비가림, 멀칭에 의한 생산성 향상 효과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by Varieties and Effects of Rain Shelter and Mulching on the Production of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 Ki Cheol Seong;Jung Su Lee;Sang Gyu Lee;Byong Chun Yo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7-196
    • /
    • 2001
  • 아스파라거스의 도입품종에 대한 품종간 생육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Excel 등 6품종을 공시하였으며, 노지재배시 경고병 억제와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비가림 및 멀칭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품종간 5개년 평균 상품수량을 보면 노지에서는 UC309와 Excel 품종에서 각각 520kg.10a$^{-1}$, 451kg.10a$^{-1}$으로 양호하였으며, 비가림의 경우에서도 역시 UC309와 Excel 품종에서 각각 1,008kg.10a$^{-1}$, 930kg.$10^{-1}$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비가림재배에서 노지보다 78%의 수량증수 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UC309와 Excel의 경우 노지의 약 2배 정도의 수량을 나타내어 UC309와 Excel은 노지와 비가림재배시 모두 수량성이 양호한 품종으로 생각되었으며 경고병에도 다소 강한 특징을 보였다. 비가림과 멀칭효과에 있어서 출아일과 첫 수확일의 경우 노지에 비해 비가림처리에서 2~3일 빨랐으나 멀칭처리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당 경수, 순의 수 등도 비가림 처리에서 많았는데 멀칭처리간에는 볏짚과 흑색멀칭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수량에 있어서도 멀칭 및 비가림 효과가 크게 나타났는데, 수확개시 후 5년 동안의 평균 상품수량을 보면 흑색PE 멀칭에서 888kg.10a$^{-1}$으로 가장 많아 노지 무멀칭에 비해 253%의 증수효과를 보였으며, 노지의 경우 무멀칭 보다 오히려 흑백멀칭 처리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경고병은 노지의 경우 멀칭처리에 관계없이 25% 이상으로 높게 발생하였으나 비가림재배에서는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 PDF

전엽처리(剪葉處理)가 수도(水稻)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efoliation on the Yield Components of Rice)

  • 박종성;이인섭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21-25
    • /
    • 1977
  • 본시험(本試驗)은 유신(維新)과 밀양(密陽)15호(號) 2품종(品種)서 출수후(出穗後) 전엽(剪葉)의 정도(程度)와 정리부위(庭理部位)를 달리했을 때 전엽(剪葉)이 천립중(千粒重), 등숙율(登熟率) 및 수중(穗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용양시험(用陽試驗)을 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전엽처리(剪葉處理)에 따른 천립중(千粒重), 등숙율(登熟率) 및 수중(穗重)은 모두 현저(顯著)히 저하(低下)되었으며 처리간(處理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밀양(密陽)15호(號)의 천립중(千粒重)은 예외(例外))를 보였다. 엽위별(葉位別) 존치엽수(存置葉數)와 그 조합(組合)에 따른 천립중(千粒重), 등숙율(登熟率) 및 수중(穗重)은 엽신(葉身) 1매(枚)를 존치(存置)하였을 때에는 $L_1>L_2>L_3>L_4$순(順)으로 그 영향(影響)의 크기를 보였고, 엽신(葉身) 2매(枚)를 존치(存置)하였을 때에는 상위엽(上位葉)이 조합(組合)된 것이 높았다. 유신(維新)은 처리(處理)가 상대적(相對的)으로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천립중(千粒重)을 제외(除外)하고는 등숙율(登熟率)과 수중(穗重)에서 모두 전엽처(剪葉處)리에 대(對)한 반응(反應)이 밀양(密陽)15호(號)보다 민감(敏感)한 것으로 보아 생육말기(生育末期)에까지 천립중(千粒重), 등숙율(登熟率) 및 수중(穗重)의 증가(增加)에 미치는 엽(葉)의 영향(影響)이 지대(至大)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마황 복용이 정산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임상연구 (Effect of Mahuang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Adults :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 손동혁;형례창;김락형;정승일;서의석;장인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8권1호통권69호
    • /
    • pp.105-116
    • /
    • 2007
  • Objectives : Mahuang (Ephedra sinica), well known as an herbal medicine in the East and West, contains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ephedrine known as sympathomimetic alkaloi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huang on sympathetic nervous system with heart rate variety (HRV).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HRV is a noninvasive techniqu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utonomic modulation of the sinus node. Methods : We investigated 57 healthy volunteers consisting of 37 subjects in the Mahuang group and 20 subjects in the placebo group. Study form wa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The 37 subjects in the Mahuang group took 3 Mahuang capsules (1 capsule equivalent to 2g herb Mahuang) twice a day at 10 a.m. and 2 p.,., while the 20 subjects in the placebo group took 3 placebo-capsules filled with glutinous rice powder at the same times. Mahuang medicine and placebo medicine were made into opaque capsules. We measured HRV at 3 p.m. 1 or 2 days before medication and at 3 p.m. after medication. Results : Mean-RR and SDNN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placebo group, but the heart rate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lacebo. HRV-Index, RMSSD and SDSD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placebo group, but PNN50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placebo. Ln(TP), Ln(VLF), Ln(LF) and Ln(HF) of the Mahuang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placebo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rmalized LF, normalized HF and LF/HF ratio between the Mahuang and placeb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Mahuang in healthy adults tends to reduc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ithin the normal range.

  • PDF

평면식 건조기의 적정작업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ptimization of Operating Conditions of batch-type Grain Dryer)

  • 박경규;정창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00-3610
    • /
    • 1974
  • Experimental work of batch-type dryer was conducted to develop its optimurm operating conditions by analyzing the major factors which affect the drying performance. A laboratory batch-type dryer was constructed and tested for various levels of heated-air rates, and depths of grain deposit. Tong-il rice variety having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approximaely 23 per cent in wet basis was used for the experiment. The criteria selected for establishing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were the drying performance rate, the thermal efficiency, and the operational cost of the dry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formance rate of dryer for a specific operating condition was defined as total amount of material dried per hour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grains in the upperlayer reaches to 16 per cent in wet basis.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as viewed in the rate of drying performance could be justified by functional real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grain deposit and air flow rate. In other words, there was a definite depth of grain deposit for a given air-rate which make the dryer performance maximum. The optimum grain depth for the batch-type dryer with 3.3㎡ loading area and with the attached axial fan was about 35cm. 2. The thermal efficiency for the dryer was evaluated by the ratio of the latent heat required to evaporate the grain moisture to the heat input required to raise the ambient air-temperature to 40 degree centigrade.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as viewed in term of thermal efficiency analyzed was that grater depth and lower air flow-rate may be desirable. This condition is contracted with the optimum condition as viewed by the dryer performance rate. 3. The annual operating cost of batch-type dryer was analyzed for different annual hour of use and for different operation condition. The optimum condition as viewed in terms of operating cost was almost identical to one as viewed in terms of dryer performance rate. Therefore, the most economical use of batch-type dryer for the same annual operating hours can be obtained when the dryer operated in the condition of maximum dryer performance rate. Increasing the annual operating hour may be desirable to cut down the dryer operation cost, since the annual hour of dryer use is much sensitive to the operating cost than any peractical conditions of dryer operation. 4. The most desirable operational condition as justified by combining all the criteria, dryer performance rate, thermal efficiency and annual operating cost, could be concluded to operate the dryer in the condition of maximum performance rate. The condition in general is identical to the lowest operation cost for a given annual operating hour.

  • PDF

한국에서의 새로운 도열병균의 레이스 (New Races of Pyricularia oryzae in Korea)

  • 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3
    • /
    • 1974
  • 전적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 통일(IR667-98)이 우리나라의 현존 도열병균 Race이 대하여 고도로 저항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통일과 그 자매계통은 1972년 서울대학교 도열병검정밭못자리에서 통일에서 분리한 RaceIA-65에 대해 중도감수성이었다. 1973년에는 IA-65를 접종한 격리밭못자러에서 통일을 비롯한 IR계통은 이 Race를 접종하지 않은 농장못자리보다 현저히 병원성이 높았다. 또한 IA-65에 대한 196 IR 계통의 유묘점정반응은 통일을 포함한 약 $30\%$가 중도감수성이었다. 1973년에 다시 통일을 비롯한인도형 계통에서 주로 분리한 30균주중 12개는 통일이 고도감수성이었던 필리핀 국제미작연구소의 우점 Race 군으로 알려진 IA군으로 판별되었다. Race IA군도 유묘검정에서 통일에 병원성이 있었다. 이와같이 통일 및 IR 계통에 병원성인 Race IA 65 및 IA군은 한국을 비롯한 일본형 벼재배지대에서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몇 가지 Race가 통일에 병원성을 보이고 있고 더 나아가서 이들 Race가 일반 농도포장에서 만연될지도 모르므로 통일에 대한 도열병의 반응이 계속 추구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