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oB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27초

Rotife 배양조에 혼재된 Artemia가 Rotifer 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existing Artemia sp. on the Rotifer Brachionus rotundigformis Population Growth)

  • 정민민;노섬;김필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9-103
    • /
    • 1998
  • rotifer의 배양조에 혼재된 Artemia가 rotifer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는 Koshiki주의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Great Salt lake주의 Artemia sp.를 사용했다. 그리고 모든 실험은 염분을 22ppt, 배양 온도는 $25^{\circ}C.$, 먹이로서 N. oculata을 2일 간격으로 ml 당 $7{\times}10^5$ 세포씩 공급하면서, 50 ml의 비이커에 N. oculata 현탁액을 40ml씩 넣고, rotifer 20마리 그리고 Artemia는 3마리씩 각 수조에 수용하여 각 생물들을 단일종 배양한 경우와 혼합 배양한 경우의 증식을 비교하였다. rotifer와 Artemia 유생을 혼합 배양한 경우, 두 생물은 한정된 먹이 N. oculata 조건하에서 먹이 경쟁(food competition)을 하였다. 또한, rotifer의 대량 배양조에 Artemia 성체의 급속한 섭식 활동에 의해서 심각한 먹이 부족 현상을 일으켰다. 결국, Artemia 성체는 rotifer의 안정적인 생산을 크게 방해하는 rotifer 증식 억제 요인으로서 작용했다. 즉, rotifer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종묘 생산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Artemia의 혼재가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

복분자를 첨가한 초콜릿의 최적 배합비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Optimization Recipes of Chocolate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유옥경;김민아;노정옥;손희숙;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93-1197
    • /
    • 2007
  • 복분자 진액, 분말, 향(농축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최적의 복분자초콜릿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분자초콜릿의 당도는 복분자 진액 함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을 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경도는 복분자 진액 30 g, 분말 10 g, 향 0.3 g을 첨가한 시료 C가 가장 높았고 복분자 진액 60 g, 향 0.3 g 첨가한 시료 A가 가장 낮은 경도를 보여 복분자 진액 첨가함량이 낮을수록, 복분자 분말 첨가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색도는 복분자 진액 첨가량이 증가하고 복분자 분말 양이 감소할수록 명도가 증가하는 반면, 복분자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진한 보랏빛으로 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복분자 진액 30 g, 복분자 분말 5 g, 복분자 향 0.3 g을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 D가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3.87{\pm}0.99)$, 향 관능평가에서는 복분자 농축액(향) 함유비율이 높은 시료 D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색도의 경우 시료 D가 복분자 고유의 색이 잘 나타나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적색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 연보라색의 시료 A(복분자 진액 60 g, 분말 무첨가)가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경도에서는 수분함량이 높고, 낮은 경도를 보이는 시료 A의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과 같이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크초콜릿 530 g, 화이트초콜릿 300 g, 휘핑크림 130 g, 카카오버터 40 g, 복분자 진액 30 g, 복분자 분말 5 g, 복분자 향 0.3 g을 첨가한 시료 D가 복분자 고유의 향미와 색, 부드러운 질감을 느낄 수 있어 복분자초콜릿의 최적 레시피로써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reveals genetic loci and candidate genes for average daily gain in Duroc pigs

  • Quan, Jianping;Ding, Rongrong;Wang, Xingwang;Yang, Ming;Yang, Yang;Zheng, Enqin;Gu, Ting;Cai, Gengyuan;Wu, Zhenfang;Liu, Dewu;Yang, Ji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480-488
    • /
    • 2018
  • Objective: Average daily gain (ADG) is an important target trait of pig breeding programs. We aimed to identif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genomic regions that are associated with ADG in the Duroc pig population. Methods: We perform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nvolving 390 Duroc boars and by using the PorcineSNP60K Beadchip and two linear models. Results: After quality control, we detected 3,5971 SNPs, which included seven SNPs that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DG of pigs. We identified six quantitative trait loci (QTL) regions for ADG. These QTLs included four previously reported QTLs on Sus scrofa chromosome (SSC) 1, SSC5, SSC9, and SSC13, as well as two novel QTLs on SSC6 and SSC16. In addition, we selected six candidate genes (general transcription factor 3C polypeptide 5, high mobility group AT-hook 2,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oligodendrocyte transcription factor 1, pleckstrin homology and RhoGEF domain containing G4B, and ENSSSCG00000031548) associated with ADG on the basis of their physiological roles and positional information. These candidate genes are involved in skeletal muscle cell differentiation, diet-induced obesity, and nervous system development.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casual mutation that underlies QTLs associated with ADG and to future pig breeding programs based on marker-assisted sele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identified candidate genes in the physiological processes involved in ADG regulation.

난황 중의 항-Salmonella gallinarum 특이 항체 생성 및 가공 특성 (Formation and Processing Properties of Anti-Salmonella gallinarum Specific lgY from Yolk)

  • 노정해;김미현;김영붕;성기승;이남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37-646
    • /
    • 2005
  • 가금티푸스 유발균인 Salmonella gallinarum 대항하는 항체의 함량이 높은 계란을 생산하기 위해 면역처리 후 산란계의 난황에서 항체를 분리하여 총 IgY와 특수 IgY의 함량의 변화와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난황으로부터 항체의 수율과 경제적인 측면을 비교하기 위하여 난황 분리된 난황 25 g을 λ-카라기난(Sigma C-3889) 0.1%, 냉수 가용성(MSC #10387) 1%, 2%, 90℃ 가용성 (MSC #10386) 1%, 2% 및 냉수 가용성(0.1%) : 90℃ 가용성(0.1%) = 1 : 1 1%, 2%로 사용하여 분리하는 하였을 때 λ-카라기난 0.1%, 냉수 가용성 1% 비교적 높은 회수율과 total IgY, specific IgY 함량을 나타내었지만 λ-카라기난 0.1%가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Specific IgY는 마지막 백신 접종 후 44주간까지 꾸준히 검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도 변화에 의한 total IgY의 잔존 함량을 보면 pH 5-9 범위에서 70% 이상 잔존하며, specific IgY도 pH 4-10에서 74% 이상 존재하여 산에 대하여 대체로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후 조항체 용액을 total IgY, specific IgY 역가 높게 유지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로써 난황으로부터의 면역 항체 생산의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IgY는 추출과 가공처리 등에 의해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IgY를 이용한 가금티푸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의 대량 생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갈대의 생산력에 관한 연구 II. 시비가 생육시기별 갈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roductivoty of the Native Reed ( Phragmites communis Trinius ) II.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productivity of the native reed during the period of vegetation)

  • 전우복;윤창;노순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4-30
    • /
    • 1986
  • 간석지(干拓地)에 자생(自生)하는 갈대 식생군락(植生群落)에 무비구(無肥區)와 시비구(施肥區)를 설치하여 5월(月)부터 10월(月)까지 월별(月別)로 초장(草長), 엽경비(葉莖比) 및 생산량(生産量)을 측정하고, 시료(試料)를 채취한 후 사료성분(飼料成分) 및 in 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을 추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비(施肥)에 의하여 갈대의 초장(草長) 및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는 한편 식물체(植物體)의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는데 반(反)해 ADF 함량(含量)이 감소하였다. 2. 상관계수(相關係數)의 유의성(有意性) 검정(檢定)결과 생육시기(生育時期) 초장(草長), 수량(收量), crude fiber 및 ADF함량(含量)과 in vitro 건물소화율간(乾物消化率間)에는 부(負)(-)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고, 엽경비율(葉莖比率) crude protein 및 crude fat 함량(含量)과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다(P<0.05).

  • PDF

TGase를 사용하여 재구성돈육 제조시 결착시간과 압력조건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me and Pressure on Quality of Restructured Pork using TGase)

  • 김영붕;노정해;박은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43-150
    • /
    • 2003
  • 본 연구는 효소제인 TGase를 사용하여 돈육을 재구성시킬 때 결착시간(2시간, 4시간, 6시간 및 16시간) 및 압력조건(1kg, 3kg, 5kg 및 10kg)이 재구성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결착시간별에 따른 육색은 L, a, b값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압력별에서는 5kg 처리구 a값이 12.81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시간별에서 인장강도는 생육에서는 6시간 처리구가 202.1$\pm$32.3g, 가열육에서는 386.0$\pm$72.9g 으로 높은 값을 보였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압력별에서는 생육에서 5kg 처리구가 114.6$\pm$48.9g, 가열육에서는 303.7$\pm$64.7g으로 타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결착시간별 조직감에서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및 chewiness 모두 생육 및 가열육에서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시간별 생육에서는 4시간 처리구가 항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가열육에서는 4시간과 6시간 처리구가 우수하게 평가되었다(p<0.05). 또한 압력별에는 생육 및 가열육에서 5kg 처리구가 각 항목 모두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TGase를 사용하여 재구성돈육 제조시 결착시간은 4-6시간, 압력은 5kg으로 결착시키는 육색, 인장강도 및 관능적 특징에서 가장 좋다고 할 수 있겠다.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acute Necrotizing Lymphadenitis)

  • 박찬흠;김희동;박준영;조형주;전진형;박윤규;노영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7-221
    • /
    • 1999
  • Background and Objectives: Subacute necrotizing lymphadenitis or Kikuchi's disease has now become recogniz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s a well-defined clinicopathologic entity. It typically affects cervical lymph nodes of young women, and subsides spontaneously within a few months without recur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opathologic finding, radiologic finding and many laboratory tests to elaborate the criteria that are useful in distinguishing this entity from inflammatory disease, granulomatous disease, lymphoma, malignant disease. Material and Methods: Authors evaluated 2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ubacute necrotizing lymphadenitis on excisional biopsy or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with retrospective chart review. Results: The patient population consisted of 21 women and 1 men. The mean age was 25 years old(range 17 to 42 years). All patient had palpable neck mass and associated fever, headache, weight loss, otalgia, diarrhea, night sweating. and associated disorder is dermatitis, hepatitis B, SLE, Hashimoto's thyroiditis, albinism et al. The multiple bilateral involvement of cervical lymph node was 20 cases(91%) and multiple unilateral 18 cases(82%), multiple bilateral 2 cases(9%). Solitary involvement was 2 cases(9%), mean size of involved lymph node was 2.0cm. In laboratory tests, leukopenia 17 cases(72%), elevated ESR 12 cases(54%), elevated GOT, GPT 3 cases(13%). In CT finding, lymph nodes enhanced in homogeneous fashion,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central necrosis. Conclusion: Subacute necrotizing lymphadenitis, Kikuchi's disease may be easily confused clinically, pathologically, radiologically with malignant lymphoma, inflammatory disease, granulomatous disease. We should consider open biopsy of lymph node in the patient which had unilateral multiple cervical lymph node and in laboratory tests, were leukopenia, elevated ESR, especially in young women. otherwise, result of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is nonspecific, excisional biopsy is recommended in order to differentiate other disease.

  • PDF

건조 방법을 달리한 생강가루를 첨가한 배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ar Jam with Added Ginger Powder)

  • 노정옥;박희진;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9-1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생생강과 건조 방법을 달리하여 판매되는 생강가루를 첨가하여 가정에서 만들 수 있는 배잼 레시피를 개발하고 품질평가를 통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분석에서 수분의 함량은 생생강군(G1)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조회분은 동결건조군(G3)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조단백 함량은 생생강군(G1)에서 가장 높아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지방은 시료 간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동결건조군(G3)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pH는 건생강군(G2)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퍼짐성은 건생강군(G2)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생생강군(G1)에서 가장 높았고, a값은 열풍건조(G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성 측정 결과, 모든 평가항목에서 건생강군(G2)이 가장 높은 값으로 다른 시료들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생생강 첨가 배잼보다는 생강가루를 첨가한 잼의 외관, 향미, 단맛,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특히 건생강군(G2)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생강가루를 첨가한 배잼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잼의 고유의 특성을 살리면서 배와 생강의 건강지향적인 면을 고려하여 배잼을 제조할 때는 건생강가루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다.

홍삼유출액으로부터 분리한 조사포닌이 TCDD (2,3,7,8-Tetrachlorodibenzo-ρ-dioxin)로 급성독성을 유도한 흰쥐의 혈액 생화학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ude saponin from Red-ginseng efflux on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 Rats Acutely Exposed to 2,3,7,8-tetrachlorodibenzo-ρ-dioxin (TCDD))

  • 곽이성;경종수;송용범;위재준;박종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8-14
    • /
    • 2006
  • 본 연구는 랫드에서 2,3,7,8-tetrachlorodibenzo--dioxin (TCDD)로 유도된 급성독성에 대한 홍삼유출액으로부터 분리한 조사포닌의 방어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40마리의 웅성 랫드를 4군으로 나누어 정상군에 대해서는 TCDD의 운반체를, TCDD 단독투여군 (TT)에게는 TCDD($5{\mu}g/ml$)와 생리식염수를 1회 복강주사하였다. 한편, 조사포닌 투여군 (RGE-CS20, RGE-CS40)은 조사포닌을 각각 20 및 40 mg/kg,b.w/day의 용량으로 TCDD 투여 1주 전부터 총 4 주간 복강주사하였다. TCDD 단독투여군의 체중은 TCDD투여 1주째부터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조사포닌 투여군은 TCDD 단독투여군에 비해 완만하기는 하지만 유의하게 증가하여 체중감소가 억제되었다. 조사포닌 투여군은 TCDD독성에 의해 증가한 TG, TC, LDL, AST ALT, $Fe^{2+}$ 함량은 감소시켰고, TCDD 독성에 의해 감소된 glucose, amylase, LDH, CK 활성을 증가시켜 혈액 임상화학지수를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홍삼유출액으로부터 분리한 조사포닌은 TCDD에 의해 주도된 체중감소와 장기 기능저하에 대해서 현저한 방어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산처리 홍삼과 추출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cid Pre-treated Red Ginseng and Its Decoction)

  • 김미현;이영철;최상윤;조장원;노정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43-34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전처리를 통한 홍삼을 제조하여 홍삼의 향취미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로써 맛과 향이 개선 된 홍삼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Acid(ascorbic acid, citric acid) 감압침투 방법으로 산처리 홍삼을 제조하였으며, 반 건조 산처리 홍삼과 반건조 홍삼의 색, 유리당, ginsenoside 함량,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홍삼분말 색은 산을 처리하면 밝기 (L)와 황색도 (b)도는 감소하며, 적색도 (a)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uctose, glucose는 산을 처리하지 않은 홍삼이 가장 높았으나 sucrose, maltose는 citric acid 처리한 홍삼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insenoside 함량은 산을 처리한 홍삼에서 $Rg_2+Rh_1$, $Rg_3$의 함량이 증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을 처리한 반건조 홍삼과 일반 반건조 홍삼 관능검사에서는 색과 단맛에서만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건조 홍삼 추출물을 관능 검사한 결과 쓴맛과 떫은맛, 신맛, 향취, 색의 강도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산 처리한 홍삼 추출물은 쓴맛과 떫은맛이 감소되어 산으로 전 처리한 홍삼은 인삼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제품으로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