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pus Oryzae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2초

누룩(Rhizopus oryzae KSD-815)으로부터 분리한 지질화합물의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 (Cytotox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ipids from the Nuruk (Rhizopus oryzae KSD-815))

  • 곽호영;이상진;이대영;배낙현;정낙훈;홍성렬;김계원;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2호
    • /
    • pp.142-147
    • /
    • 2008
  • Rhizopus oryzae KSD-815를 밀에 접종하여 만든 누룩(Rhizopus oryzae KSD-815)에서 4종의 지질 화합물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종하였다. 건조된 누룩을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분획은 다시 80% MeOH 과 n-hexane 으로 분획하였다. n-Hexane 분획에 대해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지질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IR, GC/MS 등을 통하여 화합물 1(linolen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2(palmit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3(linoleic acid), 화합물 4(palmitic acid)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지방산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 유래 유방암(MDA-MB-231)과 간암(SK-HEP-1)세포주에 대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두 암 세포주에서 화합물 1(linolenic acid methyl ester)과 화합물 3(linoleic acid)은 농도의존적인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또 염증반응 매개체의 일종인 nitric oxice(NO)의 생성 억제 활성을 Griess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화합물 3(linoleic acid)은 LPS와 IFN-${\gamma}$에 의해 유도 된 NO 생성도 저해하는 것을 RAW264.7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Rhizopus oryzae의 생리.생화학적 카드뮴 해독기작 (Physio-biochemical Detoxification Mechanism against Cadmium in Rhizopus oryzae)

  • 이기성;김영호;박영식;박용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71-79
    • /
    • 1995
  • Rhizopus oryzae의 카드뮴 적응 및 해독기작과 이에 관련된 세포내 생리 생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R. oryzae는 카드뮴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거의 비례적으로 잠복기가 길어졌다. 카드뮴의 해독에 관련하는 system은 카드뮴 첨가 배양시에만 적응기 중에 특이하게 유도, 생성되어져 카드뮴 결합단백질의 성격을 지닐 것으로 추정되는 2종류의 단백질과 동일한 시기, 조건하에서 유의하게 증가되는 무기인산중합체 pool에 의하여 1차적으로 운용되어질 것으로 사료되며, 2차적, 보완적 system은 ACPase의 derepression 그리고 phosphatidyl serine의 합성증가 등의 방법을 통하여 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총지질화합물의 조성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 생화학적 물질대사 경로의 변화를 일으켰다. 이러한 변화의 총화로 크게는 형태적 변화까지 일어나 카드뮴 적응 및 해독에 필요한 성장형태로서 여러 가지 산물 생성에 유리한 dispersed filamentous type을 취하였다.

  • PDF

Rhizopus oryzae에 의한 복숭아 무름병 (Soft Rot on Peach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권진혁;강동완;하정석;김진우;곽연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5-68
    • /
    • 2012
  • 2011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판매중인 복숭아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상자 안에 있는 상처 난 복숭아 표면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병징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을 감자한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연한 갈색의 균총과 검은색의 포자낭을 형성하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으나 $37^{\circ}C$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였다. 포자낭경은 흰색에서 갈색이며 크기는 6~20 ${\mu}m$이었다. 포자낭은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35~200 ${\mu}m$이었다. 주축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85~120 ${\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 단포이며 구형으로 크기는 5~10 ${\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분자적 동정 결과를 바탕으로 본 병해를 Rhizopus oryzae Went & Prinsen Geerligs에 의한 복숭아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Rhizopus oryzae CJ-2114가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특성 및 작용양상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olygalacturonase from Rhizopus oryzae CJ-2114)

  • 정영건;조영제;천성숙;최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5-200
    • /
    • 1992
  • Rhizopus oryzae CJ-2114가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최대활성을 위한 pH는 4.0, 최적온도는 4$0^{\circ}C$ 였으며, 효소활성화 에너지는 2.049㎉/㏖이었다. 정제효소의 Km값과 $V_{max}$ 값은 54.05mM, 13.9m mole/min이었고, pectin보다 polygalacturonic acid를 특이적으로 분해하였다. 이 효소는 약산성의 pH에서 안정성을 보였으며, 온도에 의한 안정성은 4$0^{\circ}C$였으며, 5$0^{\circ}C$이상에서는 급격한 효소단백질의 불활성화가 진행되었다. 금속이온중 $Na^{+}$ 이온에 의해 활성이 유지되며 C $u^{2+}$, P $b^{2+}$, $Mn^{2+}$, $Zn^{2+}$이온 등은 효소활성을 저해하였다. 효소저해제 중 maleic anhydride와 iodine등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어 효소분자중의 histidine의 imidazole기 와 cystein의 SH기가 효소활성에 관여함이 입증되었다. 이 효소의 기질분해양상을 여지 크로마토그라피로 확인한 결과 반응초기에는 monomer, dimer, oligomer 등이 생성되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oligomer는 사라지고 monomer, dimer만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endo 형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효소의 과즙청징도 측정에서는 약 18.2$\times$$10^3$unit에서 거의 청징화 되었다.

  • PDF

Optimization of the Process for Biodiesel Production Using a Mixture of Immobilized Rhizopus oryzae and Candida rugosa Lipases

  • Lee, Jong-Ho;Lee, Dong-Hwan;Lim, Jung-Soo;Um, Byung-Hwan;Park, Chul-Hwan;Kang, Seong-Woo;Kim, Seung-W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2호
    • /
    • pp.1927-1931
    • /
    • 2008
  • In this study, the enzymatic process for biodiesel production was optimized using a mixture of immobilized Rhizopus oryzae and Candida rugosa lipases. The optimal temperature and agitation speed for biodiesel production were $45^{\circ}C$ and 300 rpm, respectively. The optimal ratio of R. oryzae and C. rugosa lipases in the mixture was 3:1 (w:w). When 3 mmol of methanol was the initial reaction medium and 3 mmol of methanol was added every 1.5 h during biodiesel production, biodiesel conversion was over 98% at 4 h. In addition, when the immobilized lipase mixture was reused, biodiesel conversion exceeded 80% after 5 reuses.

Rhizopus oryzae를 이용한 푸마르산 생산에 있어서 탄소원과 질소원의 영향

  • 김진남;위영중;류화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02-405
    • /
    • 2001
  • The production of fumaric acid in shaken flask cultures by Rhizopus oryzae KCTC 6946 was studied. The effects of variou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fumaric acid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The strain fermented starch (or glucose) and corn steep liquor (or polypepton) better than other carbon and nitrogen sources to fumaric acid. When C/N ratio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 was 41.7, the concentration of fumaric acid produced with 2N NaGH as a neutralizing agent was more than 10 g/L after 3 days.

  • PDF

전통누룩 진균류를 이용한 입국의 제조 및 입국곰팡이의 동정 (Manufacture of Koji Using fungi Isolation from Nuruk and Identification of Koji Molds)

  • 김재호;권영희;이애란;김혜련;안병학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7-190
    • /
    • 2012
  • 다양한 향미를 가진 막걸리의 개발을 위해 전통누룩으로부터 분리한 곰팡이로 입국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분석하여 입국의 규격에 적합하며 이취가 없고 관능이 우수한 9균주를 입국 제조용 우수균주로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Aspergillus oryzae(C1-5-2-2, C20-7-3, CN1.3.1-4, CN16.19.1-1, N152-1, N220-1), Mycocladus corymbiferus(N162-2), Rhizopus oryzae(N20), Lichtheimia corymbifera(N21)로 동정되었으며, 제조한 입국의 산도는 5.0~6.8, 당화력은 128~241sp이었다.

Rhizopus oryzae로 부터 정제(精製)한 두가지형의 Glucoamylase의 각종기질(各種基質)의 가수분해(加水分解) (Hydrolysis of Various Substrates by Two Forms of the Purified Glucoamylase from Rhizopus oryzae)

  • 허원영;정만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8-402
    • /
    • 1984
  • Rhizopus oryzae 가 생산(生産)하는 glucoamylase 의 각종기질(各種基質)에 대(對)한 분해반응(分解反應)을 검토(檢討)하였다. Glucoamylase I 과 II 는 amylose, amylopectin, glycogen, 가용성 전분, pullulan, maltose, maltotriose, maltotetriose, maltopentaose, maltohexaose, maltoheptaose, maltooctaose를 가수분해(加水分解)하였으나, ${\alpha}-cyclodextrin$, ${\beta}-cyclodextrin$, sucrose, raffinose, 젖당은 가수분해(加水分解)하지 못하였다. $37^{\circ}C$, 32시간(時間)의 반응(反應)에서 glucoamylase I 은 amylopectin, 가용성 전분, amylose를 거의 100% 분해하였고 glycogen 만을 88%정도 분해 하였으나, glucoamylase II 는 공시기질(供試基質) 4 종(種)을 거의 100% 분해하였다. Glucoamylase I 과 II 의 반응생성물질(反應生成物質)은 glucose 만이었고 ${\alpha}-glucosyltransferase$ activity는 없었다. Glucoamylase I 과 II 는 생찹쌀 전분을 가장 잘 분해(分解)시키나 생감자 전분, 생미숙 바나나 전분, 생칡 전분, 생참마 전분, raw high amylose corn starch의 분해능(分解能)은 glucoamyase I 에 비(比)하여 생전분(生澱粉)의 분해력(分解力)이 강(强)하였다.

  • PDF

Rhizopus oryzae에 의한 산딸기 무름병 (Occurrence of Soft Rot on Raspberry (Rubus crataegifolius)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권진혁;강동완;안재욱;최옥희;곽연식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6-398
    • /
    • 2011
  • 2010년 6월 중순 경남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산딸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표면에 상처 또는 물러진 과실부분이 수침 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회색으로 되고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으며 $37^{\circ}C$에서도 성장하였다. 포자낭은 검은색으로 구형이며 크기는 40-210 ${\mu}m$이었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을 나타내며 폭은 8-20 ${\mu}m$이었다. 주축은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5-120 ${\mu}m$이었다. 포자낭 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장방형이고 불규칙한 것도 있으며 크기는 5-10 ${\mu}m$ 이었다. 따라서 산딸기 과실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분석, 그리고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을 Rhizopus oryzae Went & Prinsen Geerlings 에 의한 산딸기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누룩 종류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발효과정중 술덧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 한은혜;이택수;노봉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55-562
    • /
    • 1997
  • 재래누룩 및 Mucor racemosus, Rhizopus japonicus,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kawachii균을 접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탁주를 담금한 후 발효과정 중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탄올함량은 담금직후 $2.0{\sim}3.0%$였으나 발효 16일에 $8.2%{\sim}12.6%$로 최대치를 나타냈다. Rhizopus japonicus, 재래누룩, Aspergillus kawachii, Aspergillus oryzae와 Mucor racemosus 누룩구의 술덧 순으로 높았다. pH는 담금 직후 pH $4.85{\sim}5.50$이였으나 발효 16일에는 pH $3.40{\sim}4.20$로 저하되었고 시험구 중 Rhizopus japonicus 누룩구의 술덧에서 pH가 높았다. 총산은 담금 직후 $0.15{\sim}0.20%$였으나 16일에 $0.86{\sim}1.57%$로 증가되었으며, 발효 16일에 Mucor racemosus 누룩구에서 1.57%로 시험구중 가장 높았다. 담금직후 총당의 함량은 $16.64{\sim}17.62%$, 환원당의 함량은 $4.62{\sim}5.63%$였으나, 발효 16일에 총당 $2.38{\sim}5.27%$, 환원당 $0.45{\sim}0.74%$로 감소하였고 Rhizopus japonicus구가 총당과 환원당 함량 모두 가장 낮았다. Ethanol을 제외한 알콜류 중 iso-amyl alcohol과 iso-butyl alcohol이 탁주술덧의 주성분이고, Rhizopus japonicus 누룩구에서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n-propyl alcohol의 함량이, Mucor racemosus 누룩구에서는 methanol의 함량이, 재래누룩구에서는 phenylethyl alcohol의 함량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발효 중 생성된 퓨젤유는 $0.002{\sim}0.411\;mg/mL$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