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morph produc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Armillaria mellea의 균사배양 및 균사속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ycelial Cultivation and the Rhizomorph Production of Armillaria mellea)

  • 홍재식;김명곤;소규호;김영회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9-157
    • /
    • 1990
  • 전북지역의 산야에서 분리한 5균주의 Armillaria mellea의 균사배양과 균사속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균사배양에 적당한 톱밥이 종류는 회화나무, 벽오동, 포플러, 사시나무, 참나무 톱밥 등이었고, 균사생육 최적 조건은 pH $4.5{\sim}5.0$, 온도 $22{\sim}25^{\circ}C$, 수분함량 $65{\sim}70%(w/w)$이었다. 균사배양에 적당한 부원료로는 미강 10% 첨가가 효과적이었고, 무기염은 $CaCO_3$ 3%(w/w)에서 좋았다. 균사속생산에 적당한 수종으로는 회화나무, 벽오동, 도토리나무, 굴참나무 등이었고, 균사속생산에 적당한 토양의 pH는 $4.5{\sim}4.9$, 토양의 수분함량은 $45{\sim}55%(w/w)$, 생육온도는 $20{\sim}24^{\circ}C$이었다. 토양심도에 따른 균사속의 수직분포는 $7.5{\sim}12.5\;cm$ 사이의 깊이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지표면에서 25 cm 이상의 깊이에서는 균사속이 잘 형성되지 않았다.

  • PDF

알코올 및 휘발성 유기산류가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산에 미치는 영향 (Alcohols and Volatile Organic Acids as Stimulants of Rhizomorph Production by Armillaria mellea)

  • 홍재식;김명곤;이재홍;김형무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8-163
    • /
    • 1990
  • 천마와 뽕나무버섯의 공생관계를 검토해 보고자 천마 중에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는 저분자의 휘발성 성분들로 알코올류와 휘발성 유기산들이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또한 천마 중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산의 존재를 GC로 확인하였다. 각종 알코올류와 휘발성 유기산류 중 acetic acid와 methanol을 제외한 성분들은 뽕나무버섯의 균사속 생육을 촉진하였는데 이 중, 가장 큰 효과를 보인 것은 valeric acid와 ethanol이었으며 valeric acid는 0.1%(v/v)에서 ethanol은 1%(v/v) 수준의 농도에서 효과가 있었다. 이들 화합물들은 3일 간격으로 보충할 경우는 이 농도보다 훨씬 낮은 0.01%(v/v)에서 양호한 촉진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천마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산류를 GC로 분석한 결과 propionic, iso-butyric, butyric, iso-valeric, valeric, iso-caproic, caproic 및 heptano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는 것은 valeric acid 이었다.

  • PDF

천마생산을 위한 천마버섯균의 수집과 우량종균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llection and spawn manufacture of Armillaria spp. for production of Gastrodia tuber)

  • 성재모;정범식;문희우;김수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27-134
    • /
    • 1996
  • 본 연구는 천마를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Armillaria속균을 수집하였으며 천마재배지를 조사하여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재 천마 재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균주는 KNU-A110, KNU-A234, KNU-A1022, KNU-A1030 등 4균주로 조사되었다. 재배지의 토양에 깊이는 $10cm{\sim}19cm$가 천마의 생산이나 Rhizomorph의 형성에 가장 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에서 5종 16균주, 미국에서 11종 22균주, 프랑스에서 6종 26균주, 아프리카에서 1종 4균주를 분양 받았으며 1994년도에 우리 나라에서 21균주를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레몬을 첨가한 배지에서 왕성하게 Mycelial fan을 형성하였으며 A. mellea인 KNU-A997 균주에서 병원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A. gallica인 KNU-A110 균주에서는 병원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종균 제조배지의 첨가물로는 Ethanol $0.25%{\sim}0.5%$가 우수하였으며 농가 부산물의 첨가로는 밀기울과 옥수수속의 첨가에서 효과가 있었다. 액체 접종원은 배양속도를 빠르게 할 뿐 아니라 오염률을 현격히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Effects of dietary yeast beta-1,3-1,6-glucan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orphology and chosen immunity parameters changes in Haidong chicks

  • Ding, Baoan;Zheng, Juanshan;Wang, Xiezhong;Zhang, Licheng;Sun, De;Xing, Quanhu;Pirone, Andrea;Fronte, Baldassar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58-1564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1,3-1,6 beta-glucan added to the diet of Haidong chicks reared under hypoxic conditions, to ascertain the growth performances, immun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changes. Methods: A total of 750 chick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fed diets containing 0.5 g/kg, 1.0 g/kg, and 2.0 g/kg 1,3-1,6 beta-glucan from yeast (G1, G2, G3, respectively), 0.2 g/kg Taylor rhizomorph and a control feed. Results: The body weight and body weight gain were higher in chicks fed 1,3-1,6 beta-glucan and Taylor rhizomorph than in control group. Feed conversion ratio significantly differed for G2 and G3 groups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The relative weight of bursa was higher in G1, G2, and G3 groups. The white blood cells and lymph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s fed 1,3-1,6 beta-glucan. The immunoglobulin G of serum peak appeared in the G3 group. The villous height of the duodenum was higher in 1,3-1,6 beta-glucan feed groups. In the jejunum, the villous height was higher in G2 and G3 groups and crypt depth for all the groups fed ${\beta}$-glucan. At ileum level the villous height and crypt depth was higher for groups G1, G2, and G3. Conclusion: The growth performance of Haidong chicks is improved when 10 and 20 g/kg 1,3-1,6 beta-glucan is included in the diet; hence, it is suggested that 1,3-1,6 beta-glucan be included in poultry diet to reduce and replace the use of antibiotics.

Armillaria 속균을 이용한 천마의 생산 (Production of Gastrodia elata Tuber using Armillaria spp.)

  • 성재모;정범식;양근주;이현경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61-70
    • /
    • 1995
  • Armillaria 속균은 천마를 생산하는데 아주 중요한 균이다. 한국에서는 천마재배지의 골목과 이병수목 그리고 그 곳에서 발생한 자실체로부터 72균주가 분리 되었다. 이들 분리균에 대한 정확한 biological species를 분류하기 위하여 tester를 이용하여 교배시험을 한 결과 A. mellea가 2균주로 이들 균주는 천마재배포장에서 분리 된 균주이며 이제까지 채집한 자실체에서 분리된 균주에서는 A. mellea가 없었다. A. tabescens는 7균주로 치악산에서는 신나무, 속초에서는 해송의 그루터기와 강원대 연습림의 참나무에서 형성된 자실체에서 분리되었으며 A. ostoyae는 24균주로 주로 본 병원균에 침입을 받아 죽은 10년생 전후의 잣나무의 지표면 부위에 형성된 자실체에서 분리되었다. A. gallica는 39균주로 주로 참나무 등 14 종류의 기주식물 그루터기에 형성된 자실체에서 분리되었다. Armillaria 속균들은 배양적 특성에 따라서 4가지 Group 들로 분리되었으며 Group II인 KNU-A110(A. gallica)은 다른 Group들에 비해 균사의 생장과 균사속 형성이 대단히 왕성하였고 천마의 생산에도 우수한 것으로 판별되었다. 이 균들은 식물조직에 있는 mycelial fan과 천마 사이를 균사속에 의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재배 방법에 있어서는 종균접착법이 가장 좋았다. 천마는 강원도 내의 13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천마는 줄기의 색에 의하여 3가지 종류로 구별되었으며 줄기색이 brownish orange와 greyish yellow는 G. elata로 판별되었고 줄기색이 greyish green 인 것은 G. gracilis로 판별되었다. 천마는 주로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 사이에 낙엽이 덮여진 부식토층의 남향 경사지에서 채집되었다. 자마는 성숙한 천마가 싹이나고 썩으며 생산되든지 다른 자마로부터 출아로 생산되었다. 자마는 균사속으로부터 영양분을 얻어서 자라게 되며 자마가 성숙한 천마가 되기까지는 약 3년이 소요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