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amnell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까마귀베개뿌리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Rhamnella frangulioides)

  • 유승조;송경식;곽종환;한병훈;류재하
    • 생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7-148
    • /
    • 1989
  • From the root of Rhamnella frangulioides(=Microrhamnus frangulioides), three compounds (Comp. I ; $mp\;140{\sim}142^{\circ},\;Comp.\;II\;;\;mp\;196^{\circ},\;Comp.\;III\;;\;mp\;136{\sim}138^{\circ})$ were isolat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which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chrysophanol, 1-methyl-2-carboxymethyl-3-methoxy-4,8-dihydroxy andthraquinone, respectively by spectral analysis.

  • PDF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내변산 구간의 식생구조분석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from Naesosa to Naebyeonsan District of the Byeonsan Peninsula National $Park^{1a}$)

  • 최송현;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60
    • /
    • 2009
  •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내소사-내변산지구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30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하고, ordination기법중 DCA분석을 실시하여 보완한 결과, 군락의 종조성이 불연속적으로 나타났다. 최종 군락 분리결과 군락 I 은 소나무군락, 군락 II는 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군락 III은 느티나무-까마귀베개군락, 그리고 군락 IV는 푸조나무-까마귀베개군락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변산반도국립공원 남사면지역은 해안쪽은 소나무식생이 계속 유지될 것이나 내륙으로 갈수록 점차 졸참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의 임령은 연륜분석결과 40년을 상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산(韓國産) 서이목(鼠李目)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本草學的) 연구(硏究) (A Herbo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Rhamnaceae in Korea.)

  • 문대원;정종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33
    • /
    • 2006
  • Objectives : The plans can be used for medicinal purposes among Rhamnales in korea and examined their effects and distributions. Methods : The examined herbalogical books and research papers which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Results : 1. There are up to 10 genera and 35 species in the Rhamnales in Korea, and among them medicinal plants are 9 genera, 17 species, some 45% in total. 2. Rhamnella genus is the main kind that has 9 species among 35 species in the Rhamnales, of which medicinal plants are 4 species. 3. The cortex in the Rhamnales is the main part which is used medicinally. And the number of the species in the Rhamnales which are used medicinally is 16. 4. According to the nature and flavor of medicinal plants in the Rhamnales, they were classified into balance 33 species, and warm 13; sweet taste 28 and bitter taste 24 in the order. 5. According to meridian propism of medicinal plants in the Rhamnales, they were classified into heart meridian 8 species, stomach meridian 7, and liver meridian 6 in the order. 6.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principal curative action, they were classified into drugs for detoxicant 30 species. drugs for antifebrile 23, and drugs for drain damp 13 in the order. 7. The number of toxic species in the Rhamnales was examined to be 6 species. Conclusion : There were totaled to 10 genera and 35 species in Rhamnales in Korea and among them medicinal plants are 9 genera, 17species, some 45% in total.

  • PDF

국내 자생 갈매나무과 식물의 항산화 및 면역반응조절 효과 탐색 (Antioxidant and immunoregulatory effects of Korean Rhamnaceae)

  • 어현지;김다솜;강연경;김기윤;박영기;박광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54-2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고 있는 갈매나무과 식물 13종(망개나무, 먹넌출, 헛개나무, 갯대추나무, 까마귀베개, 산황나무, 갈매나무, 털갈매나무, 돌갈매나무, 참갈매나무, 짝자래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에 대한 결실기 부위별(잎, 가지, 열매) 39점 70% 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전자 공여능 이용한 항산화 활성 및 NO 생성 억제력을 통한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여 기능성 검토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망개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망개나무, 갯대추나무, 까마귀베개,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망개나무, 상동나무 추출물에서 약 80% 이상의 DPPH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또한, 망개나무, 먹넌출, 갯대추나무, 상동나무, 묏대추나무 등에서 50% 이상의 NO 생성 억제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갈매나무과 식물의 이용 부위별 다양한 기능성을 검토하였고, 천연 항산화제 및 NO생성 억제를 통한 과도한 면역반응 완화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갈매나무과 13종에 대한 부위별 물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 (Immune-enhancing Activity of Water Extracts for Each Part of 13 Species (Rhamnaceae) in Korea)

  • 정대희;최민영;박광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고 있는 갈매나무과 식물 13종에 대한 부위별(잎, 가지, 열매) 물 추출물의 NO 생성능을 통하여 면역증진 활성을 측정하여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망개나무, 헛개나무, 까마귀베개, 산황나무, 갈매나무, 참갈매나무, 상동나무 등에서 50% 이상 NO 생성능을 보여줌으로써 대식세포 활성화를 검증하였다. 또한 PCR 전기영동을 통하여 면역증진과 관련된 cytokine인 iNOS, COX-2, IL-1β, IL-6, TNF-α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갈매나무과 분류군들의 부위별 NO 생성능, mRNA 발현 등과 같은 면역 활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고, 이는 면역증진 관련 소재 발굴 및 제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라북도 임실군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odotypos scandens Habitat in Imsil-gun, Jeollabuk-do, Korea)

  • 박경욱;변무섭;오현경;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4호
    • /
    • pp.352-366
    • /
    • 2015
  • 본 연구는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식물상, 식생구조 및 토양과 같은 생태적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여 자생지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물상은 57과 99속 107종 1아종 17변종 6품종 등 총 131분류군이며, 생활형은 교목(MM) 21분류군, 아교목(M) 24분류군, 관목(N) 30분류군, 지표식물(Ch) 6분류군, 반지중식물(H) 20분류군, 지중식물(G) 17분류군, 일년생식물(Th) 12분류군, 수생식물(HH) 1분류군이었다. 군락유형은 느티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참느릅나무군락, 까마귀베개군락, 밤나무군락, 자귀나무군락, 팽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등 8개이다. 층위별 우점종의 경우 교목층은 느티나무, 갈참나무, 참느릅나무, 밤나무, 자귀나무, 팽나무, 아까시나무, 아교목층은 까마귀베개, 갈참나무, 느티나무, 자귀나무, 참느릅나무, 닥나무, 관목층은 병아리꽃나무로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종다양성지수는 1.691~2.610, 최대종다양성지수는 2.197~3.466, 균재도는 0.646~0.903, 우점도는 0.097~0.354로 나타났다. 토양 분석 결과, 평균 산도는 5.6, 평균 전기전도도 0.5ds/m, 평균 유효인산 59.1mg/kg, 평균 유기물함량 49.7%, 평균 치환성칼륨 $0.4cmol^+/kg$, 평균 치환성칼슘 $13.5cmol^+/kg$, 평균 치환성마그네슘 $3.3cmol^+/kg$으로 분석되었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물학적 연구 (A Study on the Botany of New Natural Habita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오현경;소민석;노재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2호
    • /
    • pp.4-25
    • /
    • 2011
  • 본 연구대상지인 미선나무 자생지는 2010년도에 새롭게 확인된 곳으로, 일반인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이 자생지는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청림 소재 미선나무 군락지(천연기념물 제370호)에 비해 개체수가 많고 생육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천연기념물로써의 가치여부 및 모니터링자료로 활용하고자 식생 및 토양환경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물상은 45과 82속 93종 4변종 3품종으로 총 10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에는 미선나무(멸종위기종), 개족도리(약관심종), 이팝나무(약관심종)가 발견되며, 특산식물에는 고광나무, 미선나무,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미선나무 자생지는 부안호로 유입되는 백천유역의 북서사면 낮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풍화토인 전석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미선나무 자생지는 밤나무군락 3개소, 느티나무군락 3개소, 졸참나무군락 1개소 등 7개 군집구조로 구분되었다. 이중 층위별 중요치는 밤나무군락에서 말채나무, 굴피나무, 은사시나무, 느티나무, 까마귀베개, 팽나무 순으로, 느티나무군락에서 팽나무, 갈참나무, 때죽나무, 굴피나무, 당단풍, 복자기 순으로 나타난 반면 졸참나무군락에서는 굴참나무, 밤나무, 산벚나무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미선나무의 중요치는 밤나무군락에서 6.6%, 느티나무군락에서 5.6% 그리고 졸참나무군락에서 5.1%로 분석되었다. 또한 7개의 조사구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산도, 전기전도도,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치환성양이온(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분석한 결과, 조사구 3번인 느티나무군락에서 다른 조사구나 군락에 비해 토양의 화학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