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urning

검색결과 614건 처리시간 0.021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퇴역 군인의 심리사회적 문제 (Psycho-Social Issues of Returning Veterans with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전무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475-484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퇴역 군인에게 어떻게 심리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는지 연구하고 어떻게 하면 도움 전문가들이 그들의 사회 재적응을 도울 수 있는지 기술하는데 있다.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저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퇴역 군인들의 심리사회적 문제의 원인을 찾아보고, 다양한 도움의 방법을 검토하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퇴역 군인의 심리사회적 이슈에 개입할 때 도움 전문가들이 알아야 할 중요한 요소들을 제시한다. 문헌 분석에 의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퇴역 군인의 심리사회적 문제는 권위를 가진 그룹에 대한 그들의 불신 그리고 혐오감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퇴역군인의 독특한 경험을 공유하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조금 더 개방적인 특성을 감안할 때 집단 상담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뿐 만 아니라 파생된 심리사회적 문제를 경감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피학대아동의 가정복귀 후 심리행동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Related to Psycho-Behavioral Adjustment in Abused Children Returning to Their Homes After Out-of-Home Care)

  • 한지숙;이재연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3-135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conditions and influential factors of psycho-behavioral adjustment in abused children who had been returned home after out-of-home care. Subjects were selected nationwide from the Center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Subjects were 54 cooperative children selected from among 126 returned children : they were older than 11 years of age and had experienced more than one day in out-of-home care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3. Findings were: (1)children had such psychological adjustment symptoms as withdrawal, depression, or anxiety, rather than symptoms of misdeeds and aggression. (2) Level of self-esteem and re-abuse were the great influential factors in psycho-behavioral adjustment. This result shows that the processes of out-of-home care and returning home remain important issues for abused children.

  • PDF

귀농 인프라와 귀농자의 특성이 귀농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turned Farming Infrastructure and Returned Farming Characteristics on the Satisfaction after Returning Farming)

  • 이지훈;김명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39-148
    • /
    • 2020
  • 본 연구는 귀농 준비, 귀농지 주변환경, 귀농 지원 정책, 가족 지지도, 귀농 의도가 귀농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귀농 지원정책 담당자들에게 귀농 장려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적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귀농자들이 혼자 판단하기 보다는 충분히 가족들과 상의할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고, 귀농의 준비를 다양화함으로써 귀농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귀농지 주변에 대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마을 주민과 청년회 및 부녀회 등을 통해 농촌생활의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SNS, 유튜브 등을 개설하여 귀농생활의 즐거움과 귀농성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귀농에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젊은 층이 귀농 및 귀농 정착을 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 시설 제공, 귀농자 모임 결성 등을 통해 젊은 농촌 만들기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귀농 정책 담당자는 귀농자에 대한 맞춤형 지원 정책(예: 1년간 귀농해보고 정착하기, 농지 무상지원, 기관에서 판로 확보 보증제, 선진국 견학, 농지 시설현대화 지원 100% 등)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책이 귀농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홍보 전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귀농 정책 담당자들은 농사 외에 부수적인 경제 활동꺼리(거주지에 대한 숙박 제공-에어비앤비, 귀농 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과 직장 업무와 관련된 재능 기부, 농촌 체험 등)등을 할 수 있도록 귀농자들에게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Qualitative Meta-Analysis about the Change of Adolescence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from the School Dropout)

  • 이정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86-39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과정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분야의 질적 연구 자료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같은 주제를 다룬 질적 연구들을 종합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 국내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쳤다. 분석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의 학술지에 출판된 7편이다. 선정된 개별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에게 학업중단으로부터 학업복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성찰과 지지를 통한 자기 성장'이었다. 이 과정에는 포기, 표류, 자각, 결행, 분투의 5개의 변화단계가 나타났다. 변화를 이끄는 관련 요소는 자기자각, 현실인식, 자원과 지지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의 특징을 설명하고 논의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육아휴직 후 복직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일-가정 갈등, 자아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Do parenting stress, work-family conflict, and resilience affect retention intention in Korean nurses returning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a cross-sectional study)

  • 정영은;성미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2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parenting stress, work-family conflict, resilience affect retention intent in Korean nurses returning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1 nurses recruited from 10 hospitals in Korea, who were working after formal parental leave from their hospital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the Mann-Whitney U-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Retention intention (33.80±7.78), parenting stress (101.70±17.57), and resilience (85.02±12.75) were at greater than moderate levels and a midpoint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29.63±7.00) was noted in this sample of mostly women nurses in their 30s. The factors affecting retention intent were parental leave duration, the number of times that participants had taken parental leave, health condition, work-family conflict, and resilience.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6.7%. Retention int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Conversely, retention i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for flexible adjustment of returning nurses' working hours and family-friendly policies to promot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measures that boost resilience and support health improvement for nurses returning to work.As nurses are often assigned to new areas of work upon return, training programs to aid their adjustment may also be helpful.

귀농자의 귀농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Back to Farmer's Satisfaction to Rural Life)

  • 허철무;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233-250
    • /
    • 2014
  •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에 살고 있던 사람들이 농촌(farm village)을 새로운 시각에서 생각하게 되면서 귀농(return to farm)과 귀촌(return to rural)을 하는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귀농이라는 것은 창업형(foundation type)의 개념으로도 발전되고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정부기관 및 지자체의 관련기관을 통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2013년 8월1일부터 8월 30일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귀농한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52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m Ver. 18.0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가설 1인 '개인적 특성(individual peculiarities)은 귀농만족도(satisfaction of farm life)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둘째, 본 연구의 가설 2인 '정착적 요인(settlement factors)은 귀농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셋째, 본 연구의 가설 3인 '지역상황적 특성(regional circumstantial factors)은 귀농만족도(satisfaction of farm life)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넷째, 개인적 특성, 정착적 요인, 지역상황적 특성 및 귀농 만족도 간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착적 요인이 귀농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는 부분적인 조절효과가 있었다. 지역상황적 특성이 귀농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개인적 특성, 정착적 요인, 지역상황적 특성 및 귀농 만족도 차이는 분석한 결과, 농촌생활 만족도는 40대 이상이 30대보다, 대학원 재학이상이 대학교 졸업보다, 귀농 전 거주지 특별시가 시/군보다, 귀농지역이 전북이 경북, 충남보다 귀농 이후 농촌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농업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농업교육의 만족도 및 지속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ducation Quality on Satisfaction and Repeated Participation Intention in Agricultural Education Services)

  • 강덕봉;허철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7-349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focuses on the agriculture education services in the changing rural areas conditions such as population decline, aging society, and returning farmers. The study reviews the effects of agricultural education services on returning farmers and local residents for satisfactio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Further,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return-farmers and local residents.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income showed a notable difference. However, sex, level of education and type of household did not suggest noticeable differences. In addition, the study accessed agricultural education from a service perspective and analyzed it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loyalty and relationship using a service profit chain model. Like the result of most other studi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se had positive relationships. While the study focused on the efficiency of agriculture education training program in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s, the study carries a meaningful value in that it discover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returning farmers and locals despite the fact that agriculture education was applied as a part of service. In practical terms, the study pointed out the need for consumer-centered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rather than standardized education.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Function and Muscle Activation of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 Park, Ju-Hyung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5-131
    • /
    • 2016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ental practice on function and muscle activation of upper extremity (UE)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e mental practice was conducted on 12 subjects for 10 minutes and the related existing work treatment for 20 minutes. The evaluation for the function of UE proceeded with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function (FMA) and muscle activity analysis instrument. Furthermore we analyzed patients' reaching activity by two stages, reaching phase and returning to original position phas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ubjects' upper limb function improved in all of the measured items and the total scores after the mental practice (p<.05). In muscle activity, CCR value was used to efficiently analyze the patients' reaching activity in the two stages of reaching stage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phase. While the elbow movement only had a bit of positive change (1.1%) in the reaching stage, both the shoulder (-12.3%) and elbow (-18.2%) movements had a positive change in the returning to original position phase. CONCLUSION: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mental practice i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UE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mental practice in clinical environment.

일본의 임대주택제도 및 농촌주택사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and Rural Housing Projects in Japan)

  • 이을규;김준경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7-24
    • /
    • 2009
  • To ensure the revitalization of rural communities with viable levels of population, various agricultural policies are needed. Attaining this goal demands a comprehensive plan to improve rural housing conditions in general, along with more proactive policies dealing with existing rural housing problems by providing public housing op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set of base data which can provide direction when proposing prospective housing policies which comply the peculiar and changing needs of rural communities. To establish the base data, the study reviewed all the relevant issues, requirements and resource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rural housing regulations and policies. Some municipal organizations have implemented independent housing programs for returning farmers. They provide one-stop service corners to provide returning farmers comprehensive counseling and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child-rearing and education, housing, and etc. in their municipals. Agricultural housing projects nowadays focus on promoting voluntary establishments of local communities by providing comprehensive plans for public housing, idyllic housing and other interchange facilities. Recent trends on housing project take into consideration both residential areas and their surrounding landscapes at minimum investment possible. The efficient investment of regional housing development lies in the simultaneous consideration on bot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housing development from beginning to end.

  • PDF

전원지역 회귀도시민의 거주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Urban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 윤준상;김준호;김성록;이종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39-550
    • /
    • 2010
  • In this study, the living standard and satisfaction level of urban people who moved to rural areas researched. Through these criteria, we could analyze people's perceptions of the current rural life. We would like to present this study as a base for improvement for those who seek a better life in a rural enviro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pecific goals and need of our target group depen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ccupation and age etc. Therefore, the support system should sensibly consider their personal needs. In addition to this, th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these people should be changed from theoretical perspective to factual perspective. The new rural tenants obtained information on rural life mostly from private channels such as their acquaintances.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providing information do not offer useful factual information on agrotechnology and financial support. Nevertheless, they are mainly focused on conceptual and ideologic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