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inoic Acid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2초

Subacute Toxicities of All-trans-Retinoic Acid Encapsulated in the Poly(D,L-Lactide) Microspheres

  • 최용두;박경순;김상윤;김선희;변영로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7-870
    • /
    • 2001
  • 아급성 독성 시험으로부터, 미립구내의 레티노익 산을 기준으로 한 투여량이 100mg/kg 일때는 4마리의 치사 개체가 보이는 등의 심각한 독성 효과가 유발되었으며, 25 및 50mg/kg인 경우에 독성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50mg/kg의 투여량의 경우, 일부 동물에서 뼈골절 현상이 나타났지만, 이러한 독성효과는 항염증제를 같이 투여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따라서, 앞으로의 실험에서는 항염증제를 이용하여, 가능한 독성을 억제하연서, 보다 빠른 기간 내에 상태가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를 행할 것이다.

  • PDF

Expression of $interferon$ $regulatory$ factor-1 in the mouse cumulus-oocyte complex is negatively related with oocyte maturation

  • Kim, Yun-Sun;Kim, Eun-Young;Moon, Ji-Sook;Yoon, Tae-Ki;Lee, Woo-Sik;Lee, Kyung-Ah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4호
    • /
    • pp.193-202
    • /
    • 2011
  • Objective: We found previously that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Irf$)-1 is a germinal vesicle (GV)-selective gene that highly expressed in GV as compared to metaphase II oocytes. To our knowledge, the function of $Irf-1$ in oocytes has yet to be examine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noic acid (RA) and RA-mediated expression of $Irf-1$ and the mouse oocyte maturation. Methods: Immature cumulus-oocyte-complexes (COCs) were collected from 17-day-old female mice and cultured $in$ $vitro$ for 16 hours in the presence of varying concentrations of RA (0-10 ${\mu}M$). Rate of oocyte maturation and activation was measured. Gene expression was measured by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cytokine secretion in the medium was measured by Bio-Plex analysis. Apoptosis was analyzed by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 Results: The rates of oocyte maturation to metaphase II and oocyte activ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RA treatment (10 nM-1 ${\mu}M$). With 100 nM RA treatment, lowest level of $Irf-1$ mRNA and cumulus cell's apoptosis was found. Among 23 cytokines measured by Bio-Plex system, the substantial changes in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1{\beta}$, eotaxin and interleukin-12 (p40) from COCs in response to RA were detected.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maturation of oocytes and $Irf-1$ express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and RA enhances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mouse immature oocytes $in$ $vitro$ by suppressing apoptosis of cumulus cells. Using a mouse mode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insights into improved culture conditions for $in$ $vitro$ oocyte maturation and relevant cytokine production and secretion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Xenopus 동물극의 분리배양에서 Activin A와 IGF-1의 복합처리에 의한 전신의 분화와 IGF-I 고농도의 효과 (Pronephros Induction by Combined-dose of Activin A and IGF-1, and High-dose Effect of IGF-1 in Xenopus Animal Cap Assay)

  • 정선우;진정효;윤춘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79-485
    • /
    • 1998
  • Xenopus 수정란의 동물극분리편에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1)을 고농도로 처리해 주었을 때의 기관유도효과를 실험하였다. Activin A는 동물극 분리배양조직으로부터 다양한 기관을 분화시키며 이러한 효과는 처리 시간과 농도에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activin A 뿐만 아니라 IGF-1을 복합처리하여 특정 기관의 분화양상을 관찰하였다. Activin A는 100ng/ml 의 농도로, IGF-1은 0-500 ng/ml의 범위로 조합 처리하였다. 분리편은 정상배가 st. 43에 이를 때까지 배양하였으며, 이때 activin A를 100ng/ml의 고농도로 처리하면 조직이 파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신관의 발생에 대해서는 activin A와 retinoic acid의 복합처리가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IGF-1의 첨가에 의해 신관을 비롯한 다른 조직들이 분화되었다. 또한, 눈의 분화는 activin A 1-100ng/m1와 IGF-1 500ng/ml의 농도범위에서 일어났다. Activin A의 저농도 (1ng/ml)처리에서는 혈구양세포가 분화하고 배양조직은 풍선처럼 부풀게되나 IGF-1의 첨가로 눈이 발생하게 되어 activin A상의 눈의 발생농도범위가 확대되었다.

  • PDF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CHO 세포의 단기 저온보존 (Short-term Hypothermic Preservation of CHO Cells Using Serum-Free Media)

  • 변순휘;박홍우;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06-311
    • /
    • 2006
  • 세포의 보존은 세포의 배양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요건으로서 세포주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이 확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용 세포주인 CHO 세포의 단기간 저온보존 기술의 확립을 목표로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조건을 통해 가장 안정적인 저온보존 방법을 수립하였다. 저온보존 방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온도로서 $4^{\circ}C$ 저온보존이 세포 보존에 필수적인 조건으로 나타났으며 $20^{\circ}C$ 실온보존에서는 세포의 급격한 사멸이 관찰되었다. 보존형태는 용기를 눕힌 상태로 서서히 회전시켜 현탁 보존하는 방법이 용기를 세우거나 눕혀 보관하는 방법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저온보존 시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후 보존하는 방법이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그대로 사용한 보존 방법보다 세포의 성장 회복율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4^{\circ}C$에서 rolling을 통한 현탁 보존을 할 경우에는 배지의 교환 없이도 안정적으로 세포보존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보존에 가장 적합한 세포의 농도는 실험결과 $1.0{\times}10^6{\sim}5.0{\times}10^6cells/m{\ell}$ 범위로 나타났으며 혐기적인 상태로 보존하는 것이 공기가 존재하는 보존방법 보다 비교적 우수한 보존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무혈청 배지의 저온보존액으로서의 안정성과 첨가물에 의한 보존효율의 향상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저온보존 후 10일간은 높은 세포 생존율과 함께 정상적인 세포 성장 회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lpha}$-tocopherol과 retinoic acid를 첨가한 저온보존액의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세포 생존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확립된 방법을 이용하여 1 L 용량의 저온보존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앞선 실험에서와 유사한 경향의 세포 보존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산업용 세포주로 널리 사용되는 CHO 세포의 저온보존은 본 연구에서 확립된 방법을 통해 단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대용량 저온보존의 적용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대용량 배양에서의 단기간 보존기술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더 많이 수행된다면 실제 배양 공정에서도 저온보존 기술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ilostazol에 의한 뇌혈관내피세포의 세포이동 증진 효과연구 (Cilostazol Promotes the Migration of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 이세원;박정화;신화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67-1375
    • /
    • 2016
  • Cilostazol은 phosphodiesterase III의 선택적 저해제로 알려져 있으며, 뇌졸중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Cilostazol을 처리한 경우, 국소 뇌허혈이 발생한 후에 혈관신생을 통해서 혈관형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본 연구자들이 발표하였다. 혈관신생은 조직의 허혈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 혈관재생을 촉진하는 중요한 과정으로써,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이동, 모세관구조 형성의 다단계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 뇌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하여 cilostazol이 혈관신생의 각 단계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Cilostazol은 농도의존적으로 뇌혈관내피세포의 이동성을 촉진하였으나, 뇌혈관내피세포의 증식과 모세관구조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ilostazol이 세포이동을 조절하는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서 cDNA microarray를 수행하였고, 세포이동에 관련성이 있는 5종의 후보 유전자들을 선택하여 real-time PCR을 통해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검증하였다. Cilostazol에 의해서 발현양이 조절되는 유전자들로써, phosphoserine aminotransferase 1 (PSAT1)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beta}$ ($C/EBP{\beta}$)은 발현이 증가하였고,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2 (TFPI2), retinoic acid receptor responder 1 (RARRES1), RARRES3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cilostazol이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을 촉진하여 혈관신생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으며, 뇌혈관내피세포에 대한 cilostazol의 조절기전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규명을 한다면 혈관형성을 통하여 허혈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백차 열수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장벽손상 완화 효과 (The Alleviative Effect of White Tea Water Extract on Inflammation and Skin Barrier Damage)

  • 이경옥;김영철;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97-204
    • /
    • 2011
  • 백차 열수추출물의 염증 및 피부장벽 손상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생후 6~7주령 암컷 SKH-1 hairless 마우스 등 부위에UVB를 12주간 조사하여 피부노화를 유발시킨 후, 실험동물을정상군(N), 대조군(UVB+saline, C), 양성대조군(UVB+0.01%retinoic acid, PC), 실험군1 (UVB+1% white tea water extract, E1), 실험군2 (UVB+2% white tea water extract, E2)로 나누어 1일 2회, 주 5일, 4주 동안 매회 200 ${\mu}L$씩 시료를 도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부 홍반도 측정에서, 실험 4주 후 C군에비해 PC, E1, E2군은 각각 31, 41, 46% 유의하게(p<0.001) 낮았다. (2) 수분함량 측정에서, 실험 4주 후 C군에 비해 PC, E1, E2군은 각각 190, 207, 225% 유의하게(p<0.001) 높았다. 경표피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측정에서, 실험 4주후 C군에 비해 PC, E1, E2군은 각각 61, 79, 85% 유의하게(p<0.001) 낮았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C군에 비해 E1, E2군은 표피층과 진피층의 비후, 비만세포수와 탈과립 정도가 현저하게 경감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hairless 마우스를 이용한in vivo 실험에서 백차 열수추출물 경피 도포는 자외선 조사로 인해 유발된 피부장벽 손상 및 염증 반응에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Medimin A를 함유한 O/W 에멀전의 주름 개선 효과 (Changes of Facial Wrinkle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On Emulsion Containing Medimin A)

  • 박선규;장민열;김영득;정봉열;원영호;김진준;강세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36
    • /
    • 1999
  • Medimin A는 경피 흡수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retinoic acid와 polyethylene glycol(PEG)를 결합시켜 개발한 비타민 A 유도체이다. Medimin A의 주름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능 및 임상 평가를 실시하였다. Invitro 콜라겐 합성능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생산되는 단백질 중에서, collagenase에만 특이적으로 분해되는 단백질에 함유된 [$^3$H]-proline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임상 평가는 피부주형(replica)의 영상분석, 주름의 육안적 관찰, 피시험자의 자가 판단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Medimin A를 섬유아세포에 처리한 결과 104% 농도에서 약 40%의 콜라겐 합성 증진을 보였다. Medimin A가 0.2%함유된 O/W 에멀젼을 10주간 피시험자에 도포한 결과, 피부 주형에서 가장 깊은 주름이 약 38.4% 가 감소되었으며, 육안적 관찰에 의한 눈가 주름은 25.5% - 44.1%가 감소되었다. 또한 피시험자의 자가 진단에 의하면 전체 피시험자 중 93%가 10주간 도포 후 주름이 호전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Medimin A는 객관적 평가법(in vitro 콜라겐 합성능, 피부 주형의 영상분석) 및 주관적 평가법(육안적 관찰, 피시험자의 자가 진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주름을 완하시키는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 PDF

Protective Role of Tissue Transglutaminase in the Cell Death Induced by TNF-α in SH-SY5Y Neuroblastoma Cells

  • Kweon, Soo-Mi;Lee, Zee-Won;Yi, Sun-Ju;Kim, Young-Myeong;Han, Jeong-A;Paik, Sang-Gi;Ha, Kwon-Soo
    • BMB Reports
    • /
    • 제37권2호
    • /
    • pp.185-191
    • /
    • 2004
  • Tissue transglutaminase (tTGase) regulates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extracellular matrix organization,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Here we report the protective role of tTGase in the cell death that is induced by the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and ceramide, a product of the TNF-$\alpha$ signaling pathway,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Treatment with retinoic acid (RA) induced the differentiation of the neuroblastoma cells with the formation of extended neurites. Immunostaining and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e tTGase expression by RA treatment. TNF-$\alpha$ or $C_2$ ceramide, a cell permeable ceramide analog, induced cell death in normal cells, but cell death was largely inhibited by the RA treatment. The inhibition of tTGase by the tTGase inhibitors, monodansylcadaverine and cystamine, eliminated the protective role of RA-treatment in the cell death that is caused by TNF-$\alpha$ or $C_2$-ceramide. In addition, the co-treatment of TNF-$\alpha$ and cycloheximide ecreased the protein level of tTGase and cell viability in the RA-treated cells, supporting the role of tTGase in the protection of cell death. DNA fragmentation was also induced by the co-treatment of TNF-$\alpha$ and cycloheximi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TGase expressed by RA treat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of cell death caused by TNF-$\alpha$ and ceramide.

20(S)-ginsenoside Rh2 induces caspase-dependent promyelocytic leukemia-retinoic acid receptor A degradation in NB4 cells via Akt/Bax/caspase9 and TNF-α/caspase8 signaling cascades

  • Zhu, Sirui;Liu, Xiaoli;Xue, Mei;Li, Yu;Cai, Danhong;Wang, Shijun;Zhang, Li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295-304
    • /
    • 2021
  • Background: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 is a hematopoietic malignancy driven by promyelocytic leukemia-retinoic acid receptor A (PML-RARA) fusion gene. The therapeutic drugs currently used to treat APL have adverse effects. 20(S)-ginsenoside Rh2 (GRh2) is an anticancer medicine with high effectiveness and low toxicity. However, the underlying anticancer mechanisms of GRh2-induced PML-RARA degradation and apoptosis in human APL cell line (NB4 cells) remain unclear. Methods: Apoptosis-related indicators and PML-RARA expression were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h2 on NB4 cells. Z-VAD-FMK, LY294002, and C 87, as inhibitors of caspase, and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pathways were us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Rh2-induced apoptosis and PML-RARA degradation. Results: GRh2 dose- and time-dependently decreased NB4 cell viability. GRh2-induced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caspase3, caspase8, and caspase9 activation in NB4 cells after a 12-hour treatment. GRh2-induced apoptosis in NB4 cells was accompanied by massiv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l damage and upregulated Bax/Bcl-2 expression. GRh2 also induced PML/PML-RARA degradation, PML nuclear bodies formation, and activation of the downstream p53 pathway in NB4 cells. Z-VAD-FMK inhibited caspase activation and significantly reversed GRh2-induced apoptosis and PML-RARA degradation. GRh2 also upregulated TNF-α expression and inhibited Akt phosphorylation. LY294002, an inhibitor of the PI3K pathway, enhanced the antitumor effects of GRh2, and C 87, an inhibitor of the TNF-α pathway, reversed NB4 cell viability, and GRh2-mediated apoptosis in a caspase-8-dependent manner. Conclusion: GRh2 induced caspase-dependent PML-RARA degradation and apoptosis in NB4 cells via the Akt/Bax/caspase9 and TNF-α/caspase8 pathways.

SKH-1 Hairless Mice에서의 히알루론산 경구 투여를 통한 피부 광노화 개선 효과 (Anti Photoaging Effects of Hyaluronic Acid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in SKH-1 Hairless Mice)

  • 이성진;서윤희;윤민규;유희종;최수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41-9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HA에 대하여 UVB로 주름을 유도시킨 hairless mice에게 경구 투여를 하였을 때, 주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쥐는 UV를 쪼여 광노화를 진행하였으며, HA는 UVB에 노출시키기 4주 전부터 투여하여 총 14주 동안 투여하였다. 주름 개선 평가는 replica 제작하여 주름의 길이, 깊이, 개수, 두께로 평가하였다. 또한, 피부의 조직학적 평가를 통해 진피층 내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의 양과 형태를 관찰하였다. 10주 동안의 HA를 급여하였을 때 주름의 깊이, 두께, 개수를 측정한 주름 개선 평가에서 세 항목 모두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HA의 160 mg/kg 농도에서는 주름의 깊이는 $19.44{\pm}0.75{\mu}m$, 주름 수는 $654.00{\pm}98.34$, 주름두께는 $1.35{\pm}0.08mm$로 양성 대조군(RA)의 결과(주름깊이; $19.28{\pm}0.95{\mu}m$, 주름 수; $953.57{\pm}83.54$, 주름두께; $1.34{\pm}0.07mm$)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며, 우수한 피부 광노화 개선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주름길이의 결과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A의 섭취로 인한 교원섬유 및 탄력섬유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평가에서는 UV에 의해 밀도가 엉성하고 배열이 불규칙적이던 섬유들이 개선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HA를 경구 투여 시 UV로부터 유도된 광노화 억제 및 피부주름 개선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