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ina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Sulodexide inhibits retinal neovascularization in a mouse model of oxygen-induced retinopathy

  • Jo, Hyoung;Jung, Sang Hoon;Kang, Jun;Yim, Hye Bin;Kang, Kui Dong
    • BMB Reports
    • /
    • 제47권11호
    • /
    • pp.637-642
    • /
    • 2014
  • Sulodexide is a mixed glycosaminoglycan composed of heparin and dermatan sulfate. In this study, the anti-angiogenic effect of sulodexide was investigated using an oxygen-induced retinopathy (OIR) mouse model. The retinas of sham-injected OIR mice (P17) had a distinctive central area of nonperfusion, and this are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ulodexide-injected mice. The number of neovascular tufts measured by SWIFT_NV and mean neovascular lumen numbe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ulodexide-injected mice. Hyperbaric oxygen exposure resulted in increased levels of VEGF, MMP-2 and MMP-9, and when mice were treated with sulodexide, a dose-dependent reduction in VEGF, MMP-2 and MMP-9 levels was observed. Our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e anti-angiogenic effect of sulodexide and highlight sulodexide as a candidate supplementary substance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ocular pathologies that involve neovascularization.

양안 입체시에 의한 3차원 표면의 복원 (Restoration of 3-Dimensional Surface Based on Binocular Stereo Vision)

  • 정남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12-11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심리학 생리학적 지식을 기초로 하여 좌우 망막을 양안 입체시로 대응시켜 얻은 2매의 화상으로부터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회로 모델을 제안하고 3차원 표면의 복원법을 검토한다. 화상의 특징을 근거로 하여 시차를 추출할 경우, 경계 부분에 유사한 특징이 반복된다면 경우 올바른 깊이 정보를 검출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신경회로 모델은 시차의 추출, 시차의 통합, 시차의 보간에 의하여 시차를 결정한다. 또한, 깊이 정보를 보간하여 3차원 형상을 복원하고 그 복원된 3차원 형상에 좌입력 화상을 투영하여 3차원 표면을 복원하는 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시차 추출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브라질산 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 망막 내에서의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AII 무축삭세포의 동정 (Identification of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 정세진;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1-277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질산 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 망막에서의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연구하는데에 있다. 칼슘결합단백질 calretinin은 칼슘매개-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 표준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결과: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 calretinin은 일부의 수평세포, AII 무축삭세포, 일부의 신경절세포에서 면역반응성을 보였다. 특히,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모든 AII 무축삭세포는 또 다른 칼슘결합단백질인 parvalbumin을 발현하였다. 결론: 다른 포유류 망막과 다를 바 없이,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도 AII 무축삭세포에서 calretinin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calretinin이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도 AII 무축삭세포의 marker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Comparative Analysis of Histological Changes in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and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in the Early Period of Growth

  • In Bon, Goo;Hyun Woo, Gil;In-Seok, Par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4호
    • /
    • pp.427-434
    • /
    • 2013
  • Th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and the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were observ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growth. The retinas size of both species increased in the 9 days post-hatching (DPH) (p<0.05). In the just-hatched Ussurian bullhead, the retina already consisted of six layers: the epithelial layer, ganglion cell layer, inner nuclear layer, inner plexiform layer, outer limiting membrane layer, and rod and cone layer. The Korean bullhead had the same components. At 50 DPH, the thickness of the retina was $538.0{\pm}7.19{\mu}m$ in the Ussurian bullhead and $558.9{\pm}9.44{\mu}m$ in the Korean bullhead. The relative thickness of each layer of the retin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two species. Although the growth of the Korean bullhead's retina was faster, the relative thickness of each layer in the retina did not change during early development. After hatching, some parts of the tissue gradually became denser.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kidney and midgut epithelium of the Ussurian bullhead and Korean bullhead were already formed and grew gradually thereafter. From 0 DPH to 30 DPH, the nuclear height in the midgut epitheliu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species, but at 50 DPH, it was $11.4{\pm}2.45{\mu}m$ in the Korean bullhead and $9.9{\pm}2.13{\mu}m$ in the Ussurian bullhea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major axes, minor axes, surface areas, and volumes of the proximal tubule cells in the kidne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species. Thus, the early histological development of the Ussurian bullhead is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bullhead.

Electrically-evoked Neural Activities of rd1 Mice Retinal Ganglion Cells by Repetitive Pulse Stimulation

  • Ryu, Sang-Baek;Ye, Jang-Hee;Lee, Jong-Seung;Goo, Yong-Sook;Kim, Chi-Hyun;Kim, Kyung-H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3권6호
    • /
    • pp.443-448
    • /
    • 2009
  • For successful visual perception by visual prosthesis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effective stimulation strategy based on understanding of retinal ganglion cell (RGC) responses to electrical stimulation. We studied RGC responses to repetitive electrical stimulation pulses to develop a stimulation strategy using stimulation pulse frequency modulation. Retinal patches of photoreceptor-degenerated retinas from rd1 mice were attached to a planar multi-electrode array (MEA) and RGC spike trains responding to electrical stimulation pulse trains with various pulse frequencies were observed. RGC responses were strongly dependent on inter-pulse interval when it was varied from 500 to 10 ms. Although the evoked spikes were suppressed with increasing pulse rate, the number of evoked spikes were >60% of the maximal responses when the inter-pulse intervals exceeded 100 ms. Based on this, we investigated the modulation of evoked RGC firing rates while increasing the pulse frequency from 1 to 10 pulses per second (or Hz) to deduce the optimal pulse frequency range for modulation of RGC response strength. RGC response strength monotonically and linearly increased within the stimulation frequency of 1~9 Hz.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voked neural activities of RGCs in degenerated retina can be reliably controlled by pulse frequency modulation, and may be used as a stimulation strategy for visual neural prosthesis.

발생 중인 포유류 망막으로 골수기질세포의 이식 (Transplantation of Marrow Stromal Cells into the Developing Mammal Retina)

  • 이은실;권오주;예은아;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1-548
    • /
    • 2013
  • 목적: 골수기질세포는 생체 내 외에서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로 교차분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발생 중인 숙주 환경에 따라 이식된 골수기질세포의 생존여부, 형태학적 그리고 분자적 분화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브라질산 주머니쥐 안구에 마우스 골수기질세포를 이식하였다. 방법: GFP를 발현하는 골수기질세포를 발생 중인 브라질산 주머니쥐의 각 시기별로 이식하여, 이식 후 최대 4주까지 생존시킨 후 각 시기별로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이식한 골수기질세포의 일부는 숙주동물의 유리체 내에서 생존하며 일부 돌기를 내는 신경세포로 형태학적 분화가 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유리체에 존재하는 일부 세포는 신경세포 표지인자인 TuJ1(class III ${\beta}$-tubulin), 신경교세포 표지인자인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또는 신경줄기세포 표지인자인 Nestin 단백질을 발현하였다. 게다가, 일부 골수기질세포는 신경절세포층으로 이동함을 관찰했으나, 이동한 세포들은 형태학적 또는 분자적 분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가장 효율적인 이식시기는 생후 16일째의 포유류 망막으로, 이는 망막세포의 분화양상과 층분화 패턴으로 미뤄볼 때 생후 4~5일 정도의 마우스 망막과 발생학적으로 상동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식 받은 숙주 망막의 미세환경이 이식된 세포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망막 색소상피세포에서 산화성 세포 손상과 미토콘드리아기능 저해에 미치는 NS 1619의 보호 효과 (The Ca2+-activated K+ (BK) Channel-opener NS 1619 Prevents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Death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강재훈;우재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49-1356
    • /
    • 2017
  • $K^+$ 통로 개방제들은 심근, 뇌, 골격근 등에서 세포막 혹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큰 전도성의 $Ca^{2+}$-의 존성 $K^+$ (BK) 통로 및 ATP-조절성 $K^+$ 통로(ATP-sensitive $K^+$ channels, $K_{ATP}$)에 작용하여 허혈성 혹은 산화성 세포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색소 상피세포주인 ARPE-19 세포를 실험 모델로 하여 큰 전도성의 BK 통로 개방제인 NS 1619가 유사한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또한 그 작용기전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AREE-19 세포를 여러 형태의 산화 스트레스에 노출시켜 세포 손상을 유발하고 그 손상의 정도 및 이에 미치는 NS 1619의 효과를 trypan blue 배출능, Tunel 염색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NS 1619는 여러 형태의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괴사성 및 apoptosis에 의한 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였으며 그 보호 효과는 BK 통로 봉쇄제인 paxilline 의해 차단되었다. NS 1619는 $H_2O_2$에 의한 세포내 ATP 고갈을 현저히 완화시켰으며, 또한 MTT 환원능으로 측정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보호하는 효과를 보였다. 유세포형광 분석법을 이용한 실험에서 NS 1619는 $H_2O_2$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의 소실을 유의하게 방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NS 1619는 망막 색소 상피세포에서 산화성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그 기전에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대한 보호 작용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