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taurants in Seoul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3초

입지요인이 음식업 업종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Location Factors on Sales by Restaurant Type)

  • 노은빈;이상경
    • 부동산연구
    • /
    • 제28권4호
    • /
    • pp.37-5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6개구(종로구, 중구, 영등포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14개 세부 음식업종의 집계구 매출액을 대상으로 공간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입지요인의 영향을 분석한다. 세부 음식업종 매출액의 유동인구 탄력성과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 탄력성을 측정하고 자치구별 매출액 차이와 공간승수효과를 비교한다. 세부 음식업종 중 4개 업종(분식전문, 찌개/찜/탕, 회 전문, 제과/떡/한과)에서는 공간자기상관이 검정되지 않아 OLS 회귀분석이 적용되며, 해산물 전문 업종은 공간래그모형(SLM)이, 나머지 9개 업종들에서는 공간오차모형(SEM)이 적용된다. 유동인구와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는 세부 음식업종의 매출액에 대체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의 유동인구 탄력성은 동양식 전문, 주점, 서양식 전문, 전통음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 탄력성은 제과/떡/한과, 동양식 전문, 서양식 전문 순으로 나타났다. 공간자기상관에 따른 공간승수효과는 동양식 전문, 주점, 서양식 전문, 전통음식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식, 찌개/찜/탕, 해산물 전문 등의 업종은 강남구와 다른 자치구들 간에 매출액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에 육류구이, 주점, 제과/떡/한과 등은 매출액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음식업종의 업종별 입지 적합도를 평가함으로써 음식점 입지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탈리안 레스토랑의 적절한 Meal Duration 선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Appropriate Meal Duration at an Italian Restaurant)

  • 조미희;김현아;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73-480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 meal duration expectations and dining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each stage of service (order, cook, check), and investigated the impact of perceived meal duration on customers' satisfaction. The procedures consisted of four phases. During the first phase, the different meal duration expectations and dining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of an Italian restaurant in Seoul were examined by survey at each stage of service. The second phase investigated the impact of perceived meal dur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third phase compared perceived meal duration and actual meal duration. The last phase suggested appropriate meal duration for maximiz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meal time (lunch or dinner) on meal duration preferences. Customer satisfaction was decreased with longer perceived meal duration for the order and check stages and too short perceived meal duration for the cook stage. To determine appropriate meal duration for each service st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meal durations was examined. This study confirms that customers dining at restaurants preferred a longer cook time and that a shorter meal duration at dinner decreased satisfaction ratings more when compared to lunch.

푸드 색채 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itivity of Food Color)

  • 김지영;나정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5-39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timulate the satisfaction on food color sensitivity through objectifying the color sensitivities on customer's foods. The preference analysis on food sensitivity adjectives is measured on 5-point scale by preferring degree on each adjectives. And it is calculated on the sensitivities for the SD method that is used for finding whether it is strong or not on food image stimulus which was photographed on the 8 restaurants in Seoul. We found the outcome as follows. The most preferred sensitivity adjective is 'cleanness', and the worst preferred one is 'unshapliness'. It is differed on genders by $95\%$ confidence interval. The attractiveness, simplicity, richness, comfort and elegance are derived from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food color sensitivity. The yellow or orange color foods are main one for the simplicity and comfort. The orange color food are fit on richness and elegance factor, and it will be most effective if choosing the color more similar to brown one.

유동인구가 상가권리금과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서초·강남구 상권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loating Location on Goodwill and Rent of Retail Shop -Focused on Seocho·Gangnam Commercial Area-)

  • 이세원;노승철;박용범;김현덕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229-244
    • /
    • 2018
  • 본 연구는 권리금에서의 입지가치(바닥권리금)를 개념화하고 실증하기 위해 그동안 권리금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었던 유동인구에 초점을 두어, 유동인구의 규모와 구성이 상가권리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바닥권리금'은 권리금 상승(거품)의 주요 요인임에도, (현(現))평가방법에서는 상가임대료의 입지가치와 다를 바 없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대료의 입지가치 평가와 동일한 고정적 입지가치와 달리 권리금은 해당 상가 주변 유동인구(수요층)에 따라 급격히 변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이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은 2013년 서초 강남구 일대 188개 상가(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주류점, 일반판매, 오락스포츠미용업)의 컨설팅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권리금과 임대료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비탄력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나 평가 체계와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선형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권리금과 임대료 모두 건물특성, 유동적 입지요인, 고정적 입지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동적 입지요인의 영향력은 임대료보다 권리금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임대료에는 건물노후도, 버스정류장 등 고정적 입지가치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권리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권리금에서의 입지가치 분석 시에도 시 공간적 개념인 평가시점의 유동적 입지가치가 고려되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대료는 계약종료 시까지 고정되나, 권리금은 유동인구 증가 등 새로운 입지가치 요인에 따라 유동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차에서 오는 유동적 입지가치의 변화를 임대인은 임대료에 반영시키려 하고, 임차인은 권리금으로 보상받으려 하기 때문에 분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쟁 해결을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권리금 데이터의 축적과 함께 객관적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Workers intake too much salt from dishes of eating out and food service cafeterias; direct chemical analysis of sodium content

  • Park, Hae-Ryun;Jeong, Gye-Ok;Lee, Seung-Lim;Kim, Jin-Young;Kang, Soon-Ah;Park, Kun-Young;Ryou, Hyun-J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4호
    • /
    • pp.328-333
    • /
    • 2009
  • The average sodium intake of Koreans was reported to be 5,279.9 mg/day, which is one of the highest intake levels worldwide. The average Koreans intake 19.6% of sodium from kimchi, showing kimchi as the main contributor of sodium in this countr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The sodium content of dishes that are frequently chosen by workers, and which were served by foodservice cafeterias were chemically analyzed. The average sodium content of one meal provided by 10 foodservice cafeterias was 2,777.7 mg. Twenty-one, one-dish-meals, frequently chosen by workers for a lunch menu, were collected at 4 different restaurants for each menu by one male, aged in the twenties and analyzed chemically also. Workers who eat lunch at a workplace cafeteria everyday could intake about 8 g of salt at a one-time meal and those who eat out for a one-dish-meal would intake 3-8 g of salt without counting sodium content from the side dishes. From these study results, one could estimate that over 10 g of salt could be possible for a single meal for workers who eat out everyday. A nationwide nutrition campaign and education for low salt diets for restaurant owners and foodservice provider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서울 시내 3개 지역별 초등학교 6학년의 패스트푸드 섭취 실태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Eating Habit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 신은경;김상연;이석화;배인영;이현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62-67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fast food intake in residential areas and its relation to eating habits among 551 6th grade students (286 male students and 265 female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angnam-gu, Dongjak-gu and Seongbuk-gu,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fast food among districts (p<0.05) and children from Seongbuk-gu showed a greater preference for fast food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In terms of preferences for particular types of fast food, children from Seongbuk-gu liked hamburgers more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so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stricts (p<0.05). With regards to the frequency of intake of the various types of fast food, there were differences in hamburger, pizza and chicken among three districts (p<0.05) and children from Seongbuk-gu ate fast food 1 to significant 2 times more often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gularity of mealtimes between districts (p<0.05), with children from Seongbuk-gu showing more irregularity in their mealtimes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snack intake (p<0.05), and children from Seongbuk-gu tended to take a snack 1 to 2 times more often than those from Gangnam-gu and Dongjak-gu. 3) In the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in accordance with obe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esity index (p<0.05). In particular, children who were underweight had a tendency to eat more fast fo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depending on children's pocket money (p<0.05), and children who took fast food more than twice a week tended to have more pocket money.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report there are partly different trends in the consumption of fast food and food habits among the districts in Seoul. Therefore we suggest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be implemented within the different districts to reduce reliance on fast food restaurants and to address the perceptions of healthy eating as well as time and convenience barriers.

  • PDF

한국과 중국 청두의 창업생태계 비교에 관한 연구: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a Startup Ecosystem in Seoul, Korea and Chengdu, China)

  • 곽혜진;이무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5호
    • /
    • pp.131-154
    • /
    • 2018
  • 세계 각국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한국의 창업에 대한 관심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창업생태계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 모델을 지속적으로 양성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서울, 중국의 청두를 지리적 표본으로 선정하여 해당 지역의 창업생태계에서 기술창업 중심의 창업보육센터 종사자, 창업가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사회, 경제, 정책적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창업생태계의 발전을 위해 먼저 창업에 대한 인식이 생계형 창업에서 소프트웨어 기반 기술창업으로 이전되어야 하며, 투자환경 내 투자자는 단발적 지원금 대신 합자, 지분 매수와 같은 적극적인 투자방법을 써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했다. 또한 정부는 단순히 창업기업의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스타트업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지원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향후 창업인프라 조성과 창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의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지역 음식점 메뉴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비교 (Contents of Sodium and Potassium for Restaurant Dishes in Seoul)

  • 장미라;홍미선;최부철;한성희;이경아;김리라;이집호;김정헌;정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9-195
    • /
    • 2015
  •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식생활 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서울지역 다소비 음식점 메뉴를 대상으로 나트륨 함량이 높은 국 및 탕류, 찌개 및 전골류, 면류 등에 대한 나트륨 및 칼륨 함량을 조사하였다. 음식점 메뉴는 생선찌개 등 25종류 144건과 김치 50건이다. 음식점 메뉴 중 김치의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이 각각 $554.9{\pm}155.5mg/100g$, $225.1{\pm}69.1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설렁탕의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이 각각 $24.2{\pm}5.8mg/100g$, $12.7{\pm}3.9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음식점 메뉴의 나트륨과 칼륨 평균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82(P < 0.01)로 양의 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칼륨비는 불고기가 $1.17{\pm}0.44$로 가장 적합한 비를 나타내었고, 우동, 잔치국수, 칼국수의 나트륨/칼륨 비는 10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칼륨 함량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음식군 분류별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음식군별 나트륨 평균 함량은 김치류가 $554.9{\pm}155.5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볶음류, 면류 순이었다. 칼륨 평균 함량도 김치류가 $225.1{\pm}69.1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볶음류,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면류 순이었다. 음식군 분류별 나트륨/칼륨 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볶음류가 $1.18{\pm}0.44$로 나트륨/칼륨 비가 1에 가장 근접하였고 김치류,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면류 순이었다. 적절한 나트륨/칼륨 비의 유지가 건강에 도움이 되므로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칼륨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홍보와 함께 효과적인 식단 및 식생활교육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약선 요리 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재구매 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Quality of Medicinal Food on Perceived Values,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최성웅;안형기;조성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15
    • /
    • 2012
  • 본 연구는 약선 요리품질이 약선 요리의 지각된 가치와 재구매 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약선 음식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약선 전문식당의 고객유지 및 고객확보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외식산업의 한 축으로 성장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09년 6월 15일부터 2009년 7월 2일까지로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약선 요리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250부를 배포하여 195부를 회수하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3부를 제외한 후 19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약선 요리 품질은 기능적 가치(t=5.519)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가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약선 요리의 영양적 품질은 사회적 가치(t=10.954), 기능적 가치(t=8.237)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약선 요리의 치유적 품질은 사회적 가치(t=1.191), 기능적 가치(t=0.022)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사회적 가치는 재구매의도(t=9.743)와 추천의도(t=9.154)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기능적 가치는 재 구매의도(t=7.895)와 추천의도 (t=8.143)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실증분석의 결과는 약선 전문식당의 체계적인 운영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와 성공적인 목표성과를 달성하는데 대한 이론적 준거체계를 적절하게 지지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omparison of Outbreaks of Food Poisoning for Food Hygiene in Korea and Japan

  • Lee, Won-Chang;Chung, Choog-Il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7-285
    • /
    • 1996
  • Retrospective study on the comparison of outbreaks of food poisoning for food hygiene in Korea and Japan. The average value of morbidity rate by year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71 to 1992 was 2.9 per 100,000 population, and that of Japan was 29.1. The mean value of mortality rates in case of food poisoning by year in Korea was 2.33%, and that of Japan was 0.07%. When compared the rat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the morbidity rates of Japan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Korea (p<0.01). However, mortality rate of patients in Korea were much higher then those of Japan(p<0.01). Resulting from comparative observation of food poisoning by preparing facilit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highest list the places where the outbreaks occurred was home-made foods accounted for 48.8% of the total cases in Korea and that of Japan was restaurants accounted for 33.0%. Causative foods in Korea, the most common incrimination vehicles were seafood, meat and animal products and grain and vegetables, including mushroom.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mmon incrimination vehicles Japan were unknown and other foods, seafood, vegetables and meat and animal products etc.. Food poisoning of pathogenic substance in Korea were 60.9% of bacterial food poisoning of the total cases showing that Vibrio specie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spp., pathogenic E. coli, Clostridium spp. and other spp. were 33.3%, 26.2%, 16.3%, 5.3%, 0.4% and 18.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Japan, major causes were Vibrio spp. (45.7%), Staphylococcus spp. (23.7%), Salmonella spp. (16.8%), pathogenic E. coli (3.8%), Clostridium spp. (0.2%) and other spp. (9.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