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Monitoring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32초

월출산국립공원 나비군집 모니터링 (Butterfly Community Monitoring on Wolchulsan National Park in Korea)

  • 김도성;박두상;오해선;김동혁;정종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6-203
    • /
    • 2013
  • 월출산의 나비군집 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월별로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49종 1,151개체가 조사되었다. 우점종으로는 뿔나비 357(31.0%), 남방노랑나비 96(8.3%), 부처나비 75(6.5%), 굴뚝나비 72(6.2%)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6월에 30종 516개체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기록하였고 구간별로는 저수지나 수원지와 인접한 구간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보였다. 전체 다양도지수는 1.71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8월 2.75로 가장 높게 10월에 1.7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 우점도지수에서는 0.12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6월에 0.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월에 가장 낮은 0.07을 나타냈다. 유사도지수는 큰골과 성전이 0.52로 가장 유사한 종들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큰골과 용산이 0.1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출산의 저수지나 수원지의 제방은 특정한 종의 서식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지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는 초지대와 열린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지진 전조현상 모니터링을 위한 ULF 대역 지자기장의 분극 분석 (Polarization Analysis of Ultra Low Frequency (ULF) Geomagnetic Data for Monitoring Earthquake-precusory Phenomenon in Korea)

  • 양준모;이희순;이영균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3호
    • /
    • pp.249-255
    • /
    • 2010
  • 1990년대 이후 지진발생과 관련된 ULF 대역 지사가장의 변동이 다수 보고된 후, 분석 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자기장 분석은 단기 지진예측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참조하여 개량된 분극 분석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청양관측소의 지자기 삼성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주파수는 지진발생에 가장 민감하다고 알려진 0.01 Hz 대역이며, 수직 자기장과 수평 자기장의 분광에너지 비, 즉 분극값을 일단위로 계산하였다. 총 10개 월 동안의 사료가 분석되었으며, 분석경과를 Kp 인덱스 및 동일기간 발생한 지진이벤트와 비교하였나 청양의 분극값 변동은 Kp 인덱스와 관련성이 적었으며, 두 기간에서 지진발생과 관련한 주목할 만한 분극값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일본 Kanoya 관측소의 자료와 비교해 본 결과, 청양의 분극값 증가는 광역적인 자기장의 변동에서는 지진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자기장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한 정규화된 분극값의 변동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보다 뚜렷하게 확인된다. 따라서 분극 분석 방법은 지진전조형상 모니터링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됨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자료 확보 및 분석을 통해 지진발생과 관련된 ULF 변동을 탐지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지하수의 주요 미네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ajor Mine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Groundwater in South Korea)

  • 김정희;류리나;이종수;송대성;이영주;전항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566-573
    • /
    • 2016
  • 본 연구는 대체수자원으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지하수 이용에 대비하여 인체의 건강과 직접적 관련성이 높은 미네랄 분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현재까지의 연구가 주로 소규모지역을 대상으로 하거나, 일부 약수터를 중심으로 미네랄 함량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하수관측망 지점을 대상으로 전국 지하수 중 미네랄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이의 거시적 파악을 위해서 GIS를 활용한 미네랄 맵 구축 및 수문지질단위도의 지층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5종의 미네랄 중 칼슘 성분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칼륨 성분 농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반암에 따른 미네랄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칼슘성분은 석회암 지역과 퇴적암 지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공질화산암 지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성분은 관입화성암 지역과 퇴적암 지역 등에서 차이가 발생한 반면, 칼륨 성분은 기반암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고, 지역별 미네랄 함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제주와 강원지역에서 칼슘과 규소 성분 함량에 차이가 있을 뿐 지역별 큰 경향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지하수 모니터링을 위한 GeoSensor 기반의 이동식 보조관측망 프로토타입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and GeoSensor based Traveling Type Sub-Observation Prototype System for Monitoring of Groundwater)

  • 김경종;정세훈;심춘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83-192
    • /
    • 2012
  • 지표수에 비해 지하수 자원은 비교적 오염률이 낮은 편이지만 관리의 미흡으로 인한 복구의 어려움이 매우 크다. 국가에서는 지하수 보조관측망을 이용하여 지하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모니터링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수 자원 관리의 업무 효율성 증대와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수온, 수위, 전기전도도(E.C.) 등의 무선 센서 노드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내장된 이동식 보조관측망 프로토타입 시스템과 지하수 정보 사용자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이루어진 GeoSensor 기반의 지하수 무선 자동측정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자체 전력을 위해 태양광을 이용하고 있으며, 무선 센서 노드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지하수 정보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 GUI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에 수집된 지하수 정보를 가시화 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 제작된 보조관측망을 통해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타 연구와의 정성평가를 제안하는 시스템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SAR 영상을 활용한 저수지 수표면적 탐지 알고리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eservoir Surface Area Detection Algorithm Using SAR Image)

  • 정하규;박종수;이달근;이준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3호
    • /
    • pp.1777-1788
    • /
    • 2022
  • 저수지는 국내 영농환경에서 주요한 용수 공급처이며, 저수지의 저수량 파악은 농업용수의 활용 및 관리차원에서 중요하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는 저수지와 같이 광역적으로 분포하는 객체에 대하여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을 통해 영상분류 및 영상분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국내 저수지 53개소의 수표면적 탐지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알고리즘은 Neural Network (NN), Support Vector Machine (SVM), Random Forest (RF), Otsu, Watershed (WS), Chan-Vese (CV)로 총 6가지이며, 드론으로 촬영한 실측 정사영상으로 수표면적 탐지 결과를 평가하였다. 각 알고리즘으로부터 산출된 수표면적과 실측 수표면적간의 상관성은 NN 0.9941, SVM 0.9942, RF 0.9940, Otsu 0.9922, WS 0.9709, CV 0.9736로 나타났으며, 저수지 유효저수량의 규모가 클수록 더 높은 선형 상관관계를 보였다. 혼동 행렬로부터 산출한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을 통해 알고리즘간 수표면적 탐지 정확도와 탐지 경향을 분석하였다. 정확도의 경우 각 10만 m3 미만 저수지에서 WS가 0.8752, 10만~30만 m3에서 Otsu가 0.8845, 30만~50만 m3에서 RF가 0.9100, 50만 m3 이상에서 Otsu와 CV가 0.9400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WS의 경우 수표면적을 미탐지하는 경향으로 인해 낮은 재현율을 보였고, NN, SVM, RF의 경우 과대 탐지로 인한 낮은 정밀도를 보였다. SAR 영상을 통한 수표면적 탐지 시 저수지 수표면의 수생식물 및 인공건축물이 미탐지를 발생시키는 오차 요소로 작용함을 분석결과 및 실측영상을 통해 확인하였다.

Occurrence of Mycotoxins and Toxigenic Fungi in Groundnut (Arachis hypogaea L.) Seeds in Andhra Pradesh, India

  • Kishore, G.Krishna;Pande, S.;Manjula, K.;Rao, J.Narayana;Thomas, D.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04-209
    • /
    • 2002
  • Andhra Pradesh is one of the major groundnut growing states in India. A total of 182 groundnut samples collected at harvesting from farmers fields in five districts, namely; Anantapur, Chittoor, Cuddapah, Kurnool, and Mahaboobnagar, during 1999 and 2000 rainy seasons were evaluated for the presence of mycotoxins (both aflatoxins and zearalenone) and toxigenic fungi. In samples collected from each district, average seed infection by Aspergillus flavus and Fusarium spp. was 11.9-18.3% and 5.6-12.8% in 1999, and 9.5-14.1% and 9.4-11.9% in 2000, respectively. Among the samples collected, 20.3% and 16.5% were contaminated with aflatoxin in 1999 and 2000, respectively, and in 11.4% and 8.7% of the seed samples collected in two seasons, the aflatoxin content was >30 $\mu\textrm{g}$/kg. An alarming aflatoxin content of 851.9$\mu\textrm{g}$/kg was found in samples collected from Anantapur district during the rainy season in 1999. Zearalenone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collected in 1999, while 2 out of 103 samples collected in 2000 were contaminated with 35.1 and 129.4$\mu\textrm{g}$/kg. Under in vitro cultural conditions, 35.8% of the 173 A. flavus isolates collected from the groundnut samples produced aflatoxins at concentrations of 94.3-1598.6 ng/$\textrm{m}{\ell}$ and 3% of the 266 Fusarium spp. isolates produced 98.1-847.3 $\mu\textrm{g}$/g of zearalenone. Th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a more systematic and regular monitoring of pre-harvest aflatoxin contamination.

포제방법에 따른 반하의 Homogentisic acid와 3,4-dihydroxybenzaldehyde 함량 및 안정성 평가 (Contents of Homogentisic acid and 3,4-Dihydroxybenzaldehyde in the Pinellia ternata by Various Processing Method and Its Safety Estimate)

  • 한종현;조성균;이미정;백승화;박성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46-85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establishment of toxicological monitoring system in oriental medicinal plants. Hence on our research, we used Banha(Pinellia ternata) and Kangbanha, Bubbanha, Jaebanha, Geokbanha by distinguished processing methods. These are frequently used in Bangyakhabpeon, which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clinical book in oriental medicine. As we reviewed the reported documents, we judge homogentisic acid(HA) and 3,4-dihydroxybenzaldehyde(3,4-DBA) as poisonous substance and to verify its existence, we established analysis condition of HPLC by gaining sequential fraction extracts and studied the degree of its virulenc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guidelines of using this medicine. Optimum condition of HPLC was H₂O : MeOH : CH₃COOH (57:35:8) in HA and 3,4-DBA analysis. HA content of raw Banha was 11.03mg/100g and HA contents of its processed product were decreased. Exceptionally, Jaebanha was increased in 175.97% than raw Banha. 3,4-DBA content of raw Banha was 2.93mg/100g and 3,4-DBA contents of its processed product were decreased. These results will be applies in intake guideline establishment, quality control and stability evaluation of oriental medicinal plants.

복잡지형에 위치한 풍력발전단지의 연간발전량 예측 비교 연구 (AEP Prediction of a Wind Farm in Complex Terrain - WindPRO Vs. WindSim)

  • 우재균;김현기;김병민;권일한;백인수;유능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1-10
    • /
    • 2012
  • The annual energy production of Gangwon wind farm was predicted for three consecutive years of 2007, 2008 and 2009 using commercial programs, WindPRO and WindSim which are known to be used the most for wind resource prediction in the world. The predictions from the linear code, WindPRO, were compared with both the actual energy prediction presented in the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monitoring report of the wind farm and also the predictions from the CFD code, WindSim. The results from WindPRO were close to the actual energy productions and the errors were within 11.8% unlike the expectation. The reason for the low prediction errors was found to be due to the fact that although the wind farm is located in highly complex terrain, the terrain steepness was smaller than a critical angle($21.8^{\circ}$) in front of the wind farm in the main wind direction. Therefore no flow separation was found to occur within the wind farm. The flow separation of the main wind was found to occur mostly behind the wind farm.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 연구동향 분석 (A Text Mining Analysis for Research Trend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Automation)

  • 임시영;김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3-23
    • /
    • 2016
  •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는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 연구의 국내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업진행현황 수집 및 분석기술(26%)'과 '건설장비 자동화 요소분석 및 적용기술(28%)'이 주요한 연구 분야로 나타났다. '사업진행현환 수집 및 분석기술'에서는 건설정보가 핵심키워드로 나타났으며, 건설정보 중심의 자원관리, 현장관리, 정보관리 등의 연구와 실시간 정보를 통한 모니터링 연구 등이 주요한 연구방향으로 나타났다. '건설장비 자동화 요소분석 및 적용기술'에서는 유비쿼터스가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였으며 유비쿼터스 개념의 정보관리, 현장관리, 계측시스템 적용 등이 주요한 연구 방향으로 나타났다.

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한 실시간 전력 요소와 왜율 측정 시스템 설계 (System Design for Real-Time Measuring of Power Quality and Harmonics Distortion using Digital Signal Processor)

  • 김근준;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283-1289
    • /
    • 2016
  • 전력은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자원이다. 최근, 전력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전력 수요 증가는 전력 품질의 저하를 야기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전력 품질은 일반 가정과 산업 전반에 걸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전력 품질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력 품질에 대한 계측과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전력 품질을 계측하고 고조파를 분석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제안한다. 마이크로칩의 dsPIC33FJ256GP710A칩을 이용한 DM240001보드를 이용하여 최대 3상 3선에 해당하는 배선 방식의 전력 품질을 계측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계측 알고리즘의 최적화로 전력 품질의 순간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최대 31차에 해당하는 고조파들에 대하여 전압과 전류의 왜율과 수요 전류 왜율에 대해서도 측정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