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n surface sealant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In vitro study of Streptococcus mutans adhesion on composite resin coated with three surface sealants

  • Kim, Da Hye;Kwon, Tae-Yub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1호
    • /
    • pp.39-47
    • /
    • 2017
  • Objectives: Although the coating of surface sealants to dental composite resin may potentially reduce bacterial adhesion, there seems to be little information regarding this issue. This preliminary in vitro study investigated the adhesion of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on the dental composite resins coated with three commercial surface sealants. Materials and Methods: Composite resin (Filtek Z250) discs (8 mm in diameter, 1 mm in thickness) were fabricated in a mold covered with a Mylar strip (control). In group PoGo, the surfaces were polished with PoGo. In groups PS, OG, and FP, the surfaces polished with PoGo were coated with the corresponding surface sealants (PermaSeal, PS; OptiGuard, OG; Fortify Plus, FP). The surfaces of the materials and S. mutans cells were characterized by various methods. S. mutans adhesion to the surfaces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using flow cytometry (n = 9). Results: Group OG achieved the lowest water contact angle among all groups tested (p < 0.001). The cell surface of S. mutans tested showed hydrophobic characteristics. Group PoGo exhibited the greatest bacterial adhesion among all groups tested (p < 0.001). The sealant-coated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groups PS and FP, p > 0.05) or significantly lower (group OG, p < 0.001) bacterial adhesion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the surface sealants significantly reduced S. mutans adhesion to the composite resin polished with the PoGo.

수종의 치면열구 전색재의 전처리가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RETREATMENT ON THE BOND STRENGTHS OF SOME PIT AND FISSURE SEALANTS)

  • 민윤경;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7-284
    • /
    • 1998
  •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shear bond strength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and finding out the more efficient method of tooth surface treatment when the etched surface is contaminaed by saliva or moisture, an experiment was performed on 3 type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120 extracted human mola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each of which was composed of 40 specimens sealed with Helioseal, Teethmate-F and Fuji III respectively. And each groups was again divided into 4 subgroups according to tooth surface treatment. The shear bond strengths of each groups and subgroup was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Shear bond strengths of nonfluoridated resin sealant, Helioseal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those of fluoridated resin sealant, Teethmate-F,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2. Shear bond strengths of GI sealant, Fuji III were to be markedly lower than those of two resin sealants. 3. When there is moisture contamination, applying primer under sealant(Group IV) results in a significantly stronger bond strength of sealant to enamel than when using sealant alone(Group II) in case of all sealants. 4. When there is no moisture contamination, using primer under sealant (Group III) results in bond strength equivalent to bond strength on using sealant alone (Group I). 5.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bond of sealant to tooth surface is greatly affected by saliva contamination and that the complete tooth isolation method should be fully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primer is recommended when performing sealant under the environment very susceptible to saliva contamination.

  • PDF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 감소를 위한 레진 전색제의 효과 (EFFECT OF RESIN SEALANTS ON THE REDUCTION OF MICROLEAKAGE IN COMPOSITE RESTORATIONS)

  • 조영곤;김문홍;이명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4호
    • /
    • pp.282-28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5급 복합레진 수복물에 각종 레진 전색제를 적용한 후, 수복물의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에 대한 레진 전색제의 감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복합레진을 충전한 후, 사용된 레진 전색제에 따라 다음 과 같이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복합레진 표면과 변연부에 레진 전색제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복합레진 표면과 변연부에 각각 레진 전색제를 적용한 Fortify Plus 군, BisCover 군 및 PermaSeal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시편을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5^{\circ}C$$55^{\circ}C$에서 1,000회의 열 순환을 시행하고 2% methylene blue 용액에 4시간동안 침적시켰다. 각 치아는 저속의 diamond disk 를 이용하여 각 수복물의 중앙부를 따라 협, 설 방향으로 양분 하고 20배율의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각각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을 평가하였다. 각 군의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면측 변연 미세누출은 사용된 레진 전색제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은 대조군과 Fortify Plus 군이 PermaSeal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Fortify Plus 군은 Biscover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은 변연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 (p < 0.05). 3. 대조군과 Fortify Plus 군은 교합면측 보다 치은측 변연에서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 (p < 0.05). 4. BisCover 군과 PermaSeal 군은 교합면측과 치은측의 변연 미세누출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5급 복합레진 수복물의 교합면측 변연 미세누출에 대한 레진 전색제의 감소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치은측 변연 미세누출에 대한 레진 전색제의 감소효과는 사용된 레진 전색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5급 와동의 미세누출에 대한 3종의 레진 표면 전색제의 효과 (The Effect of Three Surface Sealants on Microleakage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이원철;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2-190
    • /
    • 2009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 레진(Z250)으로 수복한 5급 와동에서 변연부 미세누출에 대한 3종의 레진 표면 전색제(Fortify, Permaseal, Biscover LV)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개월 이내에 발거된 건전한 40개의 소구치와 대구치에 백악-법랑 경계를 중심으로 교합측 변연은 법랑질에, 치은측 변연은 백악질에 위치하도록 5급 와동을 협면과 설면에 각각 형성하였다. Clearfil SE bond와 복합 레진으로 충전한 치아를 무작위로 4개의 군으로 분류한 후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은 각각 20개의 와동에 레진 표면 전색제 3가지 제품을 각각 적용하고 24시간동안 생리식염수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시편을 열순환시킨 후 24시간 동안 2% methylene blue 염색 용액에 담가 두었다가 투명 레진에 매몰하였다. 매몰한 시편을 협설면의 충전물 중앙을 지나도록 절단한 후 현미경을 사용하여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부의 염색 용액의 침투도를 관찰함으로써 미세누출 여부와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복합레진으로만 수복한 대조군은 실험군에 비해 교합면측과 치은측에서 미세누출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레진 표면 전색제를 적용한 실험군들 사이에는 교합면측과 치은측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각 군의 교합면측과 치은측의 변연 미세누출을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ortify는 대조군과 비교시 치은측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미세누출 감소 효과가 없었다. 결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5급 와동 변연에 레진 표면 전색제를 적용한 경우 교합면측과 치은측 변연에서 미세누출 감소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치은측 변연은 레진 표면 전색제의 적용 후에도 미세누출을 보이므로 각별히 주의를 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서로 다른 거칠기의 복합레진에 표면 강화제 도포시 표면 거칠기의 변화 (Effect of surface sealant on surface roughness of dental composite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 신동아;진선주;배꽃별;황인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195-203
    • /
    • 2023
  • 목적: 본 연구는 서로 다른 필러를 가지는 복합레진에서 표면 연마 정도에 따라 수종의 레진 표면 강화제(Surface sealant)를 도포했을 때 복합레진의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미세입자형 복합레진(Metafil CX, Sun Medical Co.)과 혼합형 복합레진(AeliteTM LS posterior, Bisco)을 사용하여 직경 8 mm, 높이 4 mm의 시편을 레진당 60개씩 제작하고, 3개 군으로 나누어 주수 하에 600, 1000, 2000 grit 사포(Tamiya finishing abrasives, Tamiya Inc.)로 연마하였다. 연마된 표면의 표면 조도(Ra)값은 Surface Roughness Tester (SJ-301, Mytutoyo)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연마된 각 시편에 레진 표면 강화제인 BisCoverTM LV (Bisco), Optiguard® (Kerr), and Seal-n-ShineTM (Pulpdent)를 각각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도포하였다. 레진 표면 강화제 처리 전과 후에 시편의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JSM-7500, JEOL)과 원자현미경(MultiMode IV, Veeco Instruments)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600 grit 사포로 연마한 후 레진 표면 강화제를 처리한 군은 도포 전보다 더 낮은 표면 조도(Ra)값을 보였으나(P < 0.05), 1000, 2000 grit으로 연마한 군에서는 도포 전 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레진 표면 강화제 제품 간 뚜렷한 거칠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SEM과 AFM으로 시편을 관찰 시 마무리와 연마 후 레진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결함이 레진 표면 강화제를 처리한 후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마무리와 연마 후 복합레진 표면이 거친 경우에는 레진 표면 강화제의 도포가 미세한 결함을 채워서 거칠기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복합레진 표면의 연마 상태가 우수한 경우 레진 표면 강화제의 도포가 거칠기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보여준다.

어린이 음료가 레진계 치면열구전색제의 화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ren's Beverages on Degradation of Dental Resin-Based Pit and Fissure Sealant)

  • 민희홍;김현진;이혜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67-373
    • /
    • 2018
  • 시판 중인 어린이 음료가 레진계 치면열구전색제에 미치는 물리 화학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판매량이 높은 3종의 어린이 음료와 대조군으로 생수를 선정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레진 시편을 제작하여 시편의 초기 거칠기 값(Ra)를 측정하였고, 각 음료의 pH를 측정한 후, 레진 시편을 각각의 음료에 침지시켜 $37^{\circ}C$ 배양기에서 72시간 보관하였다. 72시간 후 레진 시편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고 시편 표면의 형태변화 관찰을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레진 시편에서 용출된 단량체의 종류 및 용출량은 HPLC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생수를 제외한 모든 실험음료에 구연산이 첨가되어 있었고 어린이 음료의 평균 pH는 $3.25{\pm}0.17$로 '아이키커'에서 $3.03{\pm}0.01$로 가장 낮았고 '뽀로로'에서 $3.47{\pm}0.02$로 가장 높았다. 어린이 음료에 침지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고 레진 시편의 표면에 기질의 탈락을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음료에서 bis-GMA는 유출되지 않았으나 생수를 제외한 어린이 음료에서는 TEGDMA가 유출되었다. 이상의 결과 어린이 음료는 치면열구전색제의 열화와 단량체의 유리를 촉진할 수 있으며 유리된 단량체는 성장 중인 어린이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음료를 빈번히 음용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

Low-viscosity Resin Sysem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VISCOSITY RESIN SYSTEMS OM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양정숙;김문현;허선;김재곤;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60-47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low-viscosity resin systems used as rebonding agents to prevent microleakage at the margins of class I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Seventy sound human premolar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 Class I cavities were prepared and each cavity was conditioned with a 37% phosphoric acid for 15 sec, rinsed with water for 15 sec, and dried with compressed air. Bonding agent(Scotchbond Multipurpose, 3M Co.) was applied and a hybrid composite resin (Z-100, 3M Co.) was placed using an incremental technic. The excess cured composite resin was carefully removed with Sof-Lex discs(3M Co.) to expose the original margins of the cavity. The following seven groups were established : group 1 was not rebonded and used as control group ; group 2 was rebonded with a Scotchbond Multipurpose(3M Co.) and finished ; group 3 was rebonded with a Fortify(BISCO) and finished ; group 4 was rebonded with a Concise white sealant(3M Co.) and finished ; group 5 was rebonded with a Concise white sealant(3M Co.) and not finished ; group 6 was rebonded with a P&F sealant(BISCO) and finished; group 7 was rebonded with a P&F sealant(BISCO) and not finished. The specimens were then subjected to 500 thermocycles between 5 & 65 with a 10 see dwell time and immersed in 2% methylene blue dye solution for 24 hours and sectioned with low-speed diamond cutter into two part under water condition. The extent of microleakage at rebonded margins was evaluated microscopically and scored for dye penetr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scale : 0=no dye penetration ; 1=dye penetration to half-way along axial wall between enamel surface and DEJ ; 2=dye penetration beyond halfway along axial wall between enamel surface and DEJ ; 3=dye penetration to the full depth of DEJ or beyond DEJ. Selected samples were prepared for SEM observation to determine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 rebonding agent into the marginal interfac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group 2 and 3, which is rebonded with a Scotchbond Multipupose and Fortify, dye penetration scor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that of group 1 (P<0.05), but group 4 and 6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group 1(P>0.0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4, 6 and group 5, 7 when compared by dye penetration score (P<0.05). 3. In the SEM observation, Scotchbond Multipurpose and Fortify were penetrated within $30-40{\mu}m$ depth of the outermost surface. However, both sealants were failed to penetrate into the debonded interface.

  • PDF

법랑질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재의 미세누출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AFTER ENAMEL SURFACE TREATMENT)

  • 현홍근;김정욱;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12-521
    • /
    • 2001
  • 최근 air-abrasion기술이 새로운 법랑질 표면처리법으로 소개되고 있는데, 이것이 산부식 처리한 것보다 치면열구전색 전처리에 있어 더 나은 결과를 보이는지 연구할 목적으로, 저자들은 표면처리법 및 재료에 따른 미세누출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9개의 군으로 나눈 시편치아에 산부식(1, 4, 7군), air-abrasion(2, 5, 8군), air-abrasion 후 산부식 (3, 6, 9군) 처리한 후 3종의 치면열구전색재($1\sim3$군 Teethmate-F, $4\sim6$군 Ultraseal XT plus, $7\sim9$군 : DenSeal)로 전색, 중합하여 색소침투도를 관찰하였으며, 각 시편의 전색재를 분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처리법에 따른 미세누출도는 air-abrasion군, 산부식군, air-abrasion 후 산부식군 순으로 작아졌다(p<0.05). 단, 7군과 9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2. 미세누출도는 산부식군에서 7군 4군 1군 air-abrasion군에서 8군 5군 2군, air-abrasion후 산부식군에서 9군, 3군, 6군 순으로 작아졌으나, 각각 4군과 7군, 2군과 5군, 3군과 6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SEM상에서, 산부식군은 비교적 긴 레진돌기가 규칙적으로, air-abrasion군은 짧은 레진돌기가 불규칙적으로, air-abrasion 후 산부식군에서는 이들이 혼재되어 있는 모습으로 관찰되었다.

  • PDF

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전단결합강도 및 미세누출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a New Self-etch Sealant Containing S-PRG filler)

  • 안진선;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47-35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BeautiSealant)의 법랑질 전단결합강도 및 미세누출을 평가함에 있다. 45개의 소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자가부식 프라이머 도포 후 BeautiSealant를 적용한 군(SEPBS), 인산 부식 후 BeautiSealant를 적용한 군(AEBS), 인산 부식 후 $Clinpro^{TM}$ sealant를 적용한 군(AECP)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전단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치면열구전색제 블록을 법랑질 표면에 적용하였고, 미세누출을 평가하기 위해 소구치의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제를 도포하였다. 전단결합강도와 관련하여 SEPBS군은 AEBS, AECP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나(p < 0.05), AEBS군과 AECP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미세누출과 관련하여 3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칫솔질에 의한 레진 표면 강화재의 마모 (THE ABRASION OF SURFACE PENETRATING SEALANT BY TOOTH-BRUSHING)

  • 송주현;한세현;장기택;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33-642
    • /
    • 2006
  • 본 연구는 레진 표면을 연마한 후 레진 표면 강화재를 도포한 것이 표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칫솔질 마모시 표면 특성 즉, 표면 조도, 표면 자유 에너지, 마모율 등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p=0.05). 1. 평균 조도는 Biscover < Forify < Polishing군 순이었다. 마모 전과 6개월에서는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1개월, 2개월, 3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 Polishing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표면 자유 에너지는 마모 전은 Polishing군과 Biscover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Biscover < Fortify < Polishing), 1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개월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개월에서는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차를 보였고, 6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ortify < Polishing < Biscover). 3. 마모율은 1개월에서 모든 군에서 유의차를 보였으며, 2개월에서는 군 간 유의차가 없었고, 3개월과 $4{\sim}6$개월 평균 마모율은 Polishing군과 Biscover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ortify와 Biscover의 두께를 고려했을 때, Fortify는 2개월 내에, Biscover는 6개월 정도에 거의 소실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