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rvoir yield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2초

SWAT 모형을 이용한 토양유실량 저감효과 모의 (Simulation of the Reduction Effect of Soil Loss Using SWAT Model)

  • 정진권;김환기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4호
    • /
    • pp.243-25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imulate the reduction effect of soil loss in the Yongdam reservoir watershed using SWAT model. To evaluate accuracy for flow and sediment yield of SWAT model, calibration was performed for the period from Jan. 2002 to Dec. 2003, and the verification for Jan. 2005 to Dec. 2005. The calibration and the 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using data observed at the Cheoncheon gaging station. The $R^2$ and EI values in terms of a flow were 0.8 and 0.78 respectively for calibration, whereas they for verification were 0.88 and 0.86 respectively. In terms of a sediment yield, they were 0.7 and 0.48 respectively for calibration, whereas for verification were 0.64 and 0.54 respectively. As a results from model simulation, annual mean soil loss rates in terms of forest, paddy and upland were 0.02 ton/ha/yr, 0.15 ton/ha/yr and 7.58 ton/ha/yr,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land use type of a upland has more significant impact on a total soil loss as well as a sediment yield than other types of land use. The sediment delivery ratio was determined to be about 0.35. In this study 2 land cover change scenarios for upland area were considered. These scenarios were used an input to SWAT model in order to evaluate their impact on soil loss and sediment delivery. The results show that a reduction of the upland area would reduce the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연속배양에 의한 $_{L}$-Iysine 생산 (Proguction of $_{L}$-Iysine by Continuous Culture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 김영희;이시영;이현환;현형환
    • KSBB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474-479
    • /
    • 2001
  • $_{L}$-Iysine 의 생산을 Corynebacterium glutamicum SH35을 이용하여 유가식 배양법과 연속 배양법으로 수행하였다. 유가시 배양에 의한 $_{L}$-Iysine 생산을 조사한 결과 최종 발효액 중의 lysine 농도는 129.2 g/L, lysine 수율 및 productivity는 가각 47%m 3.08g.$L^{-1}$.$h^{-1}$이였다. Single-stage 연속 배양에서 dilution rate에 따른 균의 생장 및 lysine 생산을 조사한 결과, critical diluation rate은 0.100 h$^{-1}$으로 이때 균체농동($OD_{610}$)은 67, lysine 농도는 44.0 g/L 그리고 lysine 수율 및 productivity 는 41%, 4.39 g.$L^{-1}$.$h^{-1}$이고 lysine 연속배양 시 최적의 dilution rate 이였다. 또한 lysine 생산을 위한 medium reservoir 내의 최적 탄소원 농도, 최적 질소원(ammonium sulfate) 농도 및 최적 pH는 각각 108 g/L, 25 g/L 및 6.9이었다. 유가식 배양법과 single-state 연속 배양법에 의한 lysine 생산에서, productivity 는 유가식 배양의 경우 3.08 g.$L^{-1}$.$h^{-1}$인 반면, 연속 배양에서는 4.39 g.$L^{-1}$.$h^{-1}$로 유가식 배양법에서보다 약 1.4배 정도 증가하였따. 연속 발효 공정을 통해 생산 역가의 향상은 있었으나, lysine 농도와 수율이 낮아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two-stage 연속 배양 방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속 배양 발효 수행보다 lysine 농도는 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lysine 수율은 46%로서 유가식 배양과 비슷한 정도로 얻어졌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 미루어 lysine 생산 역가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two-stage 연속배양의 산업적인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표지시간 변화에 의한 $^{99m}Tc$과 적혈구 표지효율 (Labeling Efficiency of $^{99m}Tc$-Labeled RBC Due to Labeling Time Change)

  • 동경래;김호성;최성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3호
    • /
    • pp.259-263
    • /
    • 2007
  • 본 연구는 $^{99m}Tc$과 방사성 의약품인 적혈구(Erythrocyte)의 표지를 이용하여 신속한 핵의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표지효율 저하를 방지하여 영상의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변형 체외 표지법을 이용한 방법에서 Stannous chloride($SnCl_2$) 양, 표지시간,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Hb) 수치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간혈관종 검사와 위장관출혈 검사를 시행한 전체 55명의 환자 중 정상으로 판명된 15명은 정상군, 이상소견으로 판명된 40명은 환자군으로 분리한 후, 환자군 중 적혈구 농도가 정상보다 낮은 환자와 헤모글로빈이 낮은 환자들의 표지시간 변화에 따른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의 경우 Tin의 양이나 표지시간이 표지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자의 경우에는 표지시간(Incubation time)이 30분보다 60분이 표지효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수치, 헤마토크리트 수치가 낮은 환자를 검사할 때 표지시간을 30분보다는 60분에서 시행하여 표지효율을 높여 보다 정확하고 좋은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청호에서 종적구배에 따른 영양염류 및 엽록소의 역동성 (Nutrients and Chlorophyll Dynamics Along the Longitudinal Gradients of Daechung Reservoir)

  • 배대열;양은찬;정승현;이재훈;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285-293
    • /
    • 2007
  • 본 연구는 대청호에서 영양염과 엽록소-${\alpha}$의 구간별 특성과 이에 따른 영양단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유수대, 추이대, 정수대의 세 구간에 걸쳐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1993년에서 2002년까지의 수질 및 영양상태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인(TP)과 투명도(SD)및 엽록소-${\alpha}$(CHL)는 호소대에서 정수대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총질소의 경우는 종적구배를 보이지 않았다. 대청호에서의 총인과 엽록소-${\alpha}$는 여름철 장마기(7, 8월)에 가장 큰 계절적 변이를 보였으며, 총질소의 농도와 총질소 : 총인 비율은 각각 평균 1.67 mg $L^{-1}$, 88로 나타나 대청호의 제한요인은 총인으로 사료되었다. 엽록소-${\alpha}$와 총인, 투명도를 기반으로 한 영양상태지수는 구간별, 계절별로 구분되어 비교하였다. TSI(TP)는 장마기에 유수대는 평균 62로 나타나 과영양상태를 보인 반면, 대조적으로 정수대는 평균 40으로 거의 빈영양 상태를 가까운 수치를 보였으며, TSI(CHL)는 장마기에 추이대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TSI 편차분석에 따르면 TSI(CHL)-TSI (TP)와 TSI (CHL)-TSI (SD)의 약 65% 가량이 0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또한 최저 -42를 보여, 이는 인공호에서의 조류성장에 무기물에 의한 탁수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엽록소-${\alpha}$와 투명도의 상관분석 결과 추이대에서의 상관도(p<0.001, r=-0.47)가 다른 두 지점(p<0.001, r=-0.40)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한편 총인과 엽록소-${\alpha}$의 경우 정수대에서 상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총인과 조류생산량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인공호 상 하 류간의 형태적 종적구배가 뚜렷한 경우 각 구역별 영양염류 농도구배 및 광투과도 구배는 1차 생산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뚜렷하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

SWAT 모델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질관리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Impacts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Kyongan Stream Watershed using SWAT Model)

  • 장재호;윤춘경;정광욱;김형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7-398
    • /
    • 2010
  • SWAT model would be applied to evaluate the pollutant removal capacity with various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in Kyongan stream watershed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water quality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Paldang reservoir. The methods for the representation of various BMPs scenarios with SWAT is developed and evaluated. Riparian buffer strip, agricultural conservation practices to reduce fertilizer, sediment, and nutrients occurring from farm field (Grassed swale, Contour farming/Parallel terrace, Field border, Farm retention pond, Grade stabilization structure), and washland such as wetland and pond to extend detention and improve water quality are represented in SWAT. And to represent the expansion of existing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WWTPs) in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reduction effect for point source pollutants was simulated. As the result of simulation, the removal rates of SS, TN, TP from scenarios of Kyongan stream watershed are the average annual SS yield by 5.2% to 69.2%, the average annual TN yield by 0.5% to 26.3%, and the average annual TP yield by 1.3% to 32.5%, respectively.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he SWAT is a very reliable and useful water quality and quantity assessment tool, and the BMPs representation in SWAT for watershed management is able to effectively simulate in Kyongan Stream watershed.

수자원시스템의 회복도 및 취약도 증감현상 해석 (Analysis of Non-monotonic Phenomena of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in Water Resources Systems)

  • 이광만;차기욱;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2호
    • /
    • pp.183-193
    • /
    • 2013
  • 수자원시스템의 설계공급량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지표의 선택은 수자원기술자가 직면한 중요한 문제이다. 대부분 신뢰도, 회복도 그리고 취약도를 대상으로 평가하게 된다. 그러나 각 지표 간에는 중복성이 있고 회복도와 취약도는 용수공급 여건이 나빠져도 개선되는 증감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지 못하고 한번 계산된 추정치로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현상에 대한 원인은 수자원시스템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데 수문 및 수요의 계절적 변동성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댐 설계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신뢰도 지표에 추가하여 다기준 적용을 위한 회복도 및 취약도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계절적 변동성이 큰 농업용수의 구성비율을 기준으로 7개댐을 선정하여 각 지표 간 상관성과 증감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중 일정량을 공급하는 용담댐은 일반적 추세를 보였으나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충주, 안동 및 남강댐 등은 회복도와 취약도에서 증감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Humic acid의 독성학적 연구 (Toxicological Studies on the Humic acid)

  • 라규환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권1_2호
    • /
    • pp.13-16
    • /
    • 1987
  • The author obtained three kinds of humic acid from the soil of suburbs in the Wonju city, sediments of Wonju stream and Maeji reservoir in 29 April 1986. The yield of each humic acid was 7.23 g, 3.35 g and 4.61 g per sample 200 g.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s, the COD varied from 65.9 ppm to 54.9 ppm and BOD showed 6.7~15.9 ppm, but the standard humic acid was COD 58.9 ppm and BOD 6.5 ppm in 0.01 % solution. Doses of the humic acids for 20% methemoglobin formation are as follows; 0.303 mg/m$\ell$ in St. A humic acid, 0.602 mg/m$\ell$ in St. B humic acid, 0.84 mg/m$\ell$ in St. C humic acid and 0.105 mg/m$\ell$ in standard humic acid.

  • PDF

시변하는 간단한 유체기계의 덕트 내 음원 특성에 대한 해석적 연구 (On the in-duct acoustical source characteristics of a simplified time-varying fluid machine)

  • 이정권;장승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
    • /
    • pp.517-521
    • /
    • 2001
  • Measurement techniques for the in-duct source characteristics of fluid machines can be classified into direct method and load method, according to whether the technique employs an external acoustic source or not. It has been known that the two methods yield different results and the load method used to come up with a negative source resistance, in spite of the fact that a very accurate prediction of radiated noise can be obtained by using any result. This paper is focused to the effect of time-varying nature of fluid machines on the output result. For this purpose, a simplified fluid machine consisting of a reservoir, a valve and a pipe is considered as representing a typical linear, periodic, time-varying system and the measurement techniques are simulated by utilizing the Hill equation and its steady-state forced response. In the load method, the source impedance turns out being dependent on the valve impedance at the calculation frequency and the valve and load impedances at other frequencies as well.

  • PDF

농업용 저수지의 퇴적토사 관리를 통한 효율적 수자원 개발 (Effectiv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by the Management of Sediment Deposit in Agricultural Reservoirs)

  • 손광익;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467-477
    • /
    • 2004
  •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최근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지금까지 개발된 저류시설을 통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수자원관리와 그 이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경북지방의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저류용량과 퇴사량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농업용 저수지의 준설을 통하여 10% 이상에 이르는 저류용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GIS와 각종 토사발생량 예측기법을 활용하여 산정한 퇴사량을 실제 준설량과 비교 분석한 결과 분산모형과 다방향흐름알고리즘을 이용한 기법이 산지에 위치한 저수지 상류의 지형학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타 기법에 비해 우수한 예측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urrent fishery status in Ethiopian reservoirs: challenges and management

  • Yirga Enawgaw Anteneh;Solomon Wagaw Mamo;Assefa Wosnie Yisheber;Demeke Tegod Seyneh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305-317
    • /
    • 2023
  • Ethiopia is branded as the Water Tower of Africa because of its abundant inland water bodies that may be used sustainably to boost the economy. This review article's goal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otential of Ethiopia's fisheries, with a special focus on reservoirs. There are 200 known fish species (194 native, 40 endemic, and 11 exotic) in in Ethiopia's inland water. Ethiopia's fish production has increased by a factor of more than five in the past three decades (3,500 tons in 1983 to 15,681 tons in 2000 and 18,058 tons in 2010). However, fish produced in reservoirs is too low (8,059 t/year). The current fish harvests from reservoirs are significantly below the predicted potential yield, accounting for only 35% of the calculated fish production capacity. In this review, 14 potential reserves were revealed. A total of 48 fish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these, of which 26 species (or around 54%) are present in Alwero reservoir. 19 of the 48 species that have been officially recognized belong to the Cyprinidae family and made up nearly 40% of the fish population in Ethiopian reservoirs. There has been, however, a decline in the productivity of Ethiopia's reservoir fish. Hence, actively start fishing in the numerous reservoirs that have been neglected yet, link the potential of fisheries and the benefits of the fish farming supply chain, let's begin building several other reservoirs similar to the Grand Ethiopian Renaissance Dam and beginning mechanized-based fish harv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