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of dental hygiene

검색결과 960건 처리시간 0.025초

Well-Plate를 사용한 치과용 유니트 수관 바이오필름 모델 확립 (Establishment of a Dental Unit Biofilm Model Using Well-Plate)

  • 윤혜영;이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3-289
    • /
    • 2017
  • DUWL에 형성한 바이오필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소독제는 개발되어야 하며, 실험실에서 소독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UWL 바이오필름 시료는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well plate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재현 가능한 DUWL 바이오필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사용중인 4대의 DUWL에서 배출된 1 L의 물을 여과지에 여과시켜 세균을 얻었다. 여과지를 PBS (pH 7.4) 용액 20 ml에 현탁시킨 후, 현탁액을 R2A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25^{\circ}C$에서 10일 동안 배양하였다. 10일 배양한 세균 배양액을 $-70^{\circ}C$에 보관하였고 매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균배양액을 R2A 배지에서 5일 동안 회분 배양하였다. 12-well plate에 회분 배양한 세균 배양액과 멸균한 폴리우레탄 튜빙 조각을 넣고 정체된 상태로 $25^{\circ}C$에서 바이오필름을 형성시켰다. R2A 액체배지는 2일마다 2 ml씩 교체해주었다. 폴리우레탄 내형성된 바이오필름의 축적량을 확인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튜빙 조각을 내면에서 수집한 바이오필름을 R2A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도말한 R2A 고체배지는 $25^{\circ}C$에서 7일 배양하고 $CFU/cm^2$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바이오필름의 두께와 구성 세균의 형태 및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CLSM과 SEM을 사용하였다. 4일 동안 배양시킨 바이오필름의 평균 축적량은 $1.15{\times}10^7CFU/cm^2$였다. 바이오필름은 구균, 짧은 길이의 간균, 그리고 중간길이의 간균을 포함하고 있었고 폴리우레탄 튜빙 내면에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바이오필름두께는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mu}m{\sim}7{\mu}m$였다. 이 연구에서 제작된 DUWL 바이오필름 model은 DUWL에서 수집된 모든 세균을 사용하여 세균의 다양성을 확보했고 또한 실험실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well-plate를 사용했기 때문에 비용 효율적이고 재현이 간단하다. 본 연구의 DUWL 바이오필름 모델은 새로운 소독방법의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학보건소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시 여자대학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ctivation Program through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Health Center - on the women's university in Seoul -)

  • 권수경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5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lan the activation of university health business through the appraisal of the function and role of university health centers. To be more specific: Firstly, analyze the facility, personnel, health service of the health centers, Secondly, apprais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health centers, and Thirdly, consider the activation plans of health centers. The research method taken was the study of surveys conducted and written research materials on 5 women's universities in Seoul. These materials where descriptively analyzed by converting the surveys, facility and usage of health center and current personnel status in to percentage.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Unlike as stated in each university's additional clause on the number of personnel were working. This lack of specialized personnel resulted into lack of specialized and various services. Medicine for external application were stocked well whereas only simple medicine for internal application were on shelf and were issued only with a doctor's prescription. Universities with a full-time doctor had various available equipments. One university conducting dental treatment was equipped with indirect chest camera, dental X-ray, unit, chair(dental treatment chair) and even supersonic, electrocardiogram were available. In the case of D women's university, the number of beds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3 universities, to the total size of the university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3 universities. Among health prevention and care matters, health consultation was the only matter practised by all universities. Uniquely, there was one university that hosted epidemic prevention business. There are various tests given by each university, with each showing many differences, but some universities did not even conduct these tests. Vaccinations were usually being conducted through commission. All universities provided basic treatment, therefore matters concerning treatment at health centers were being conducted well.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equipment and documents, all the matters were being conducted except one university where instead of a student medical record, they were using a daily record. Because these were women's universities, most of the educations were on women's health. The subjects of these educations included: sex, contracep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tuberculosis, obesity, mouth hygiene, alcohol, geriatric disease, mental health and first-aid. The rate of health center usage is growing. Being women's universities, the service and treatment practised were mostly concerning sex education.

  • PDF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의 치과 병의원 등록상호명에 대한 조사 연구 (STUDY OF TYPE OF BRAND NAMING OF DENTAL CLINICS IN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심연수;김아현;안소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61-466
    • /
    • 2010
  • 본 연구는 치과 등록상호명을 적절히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2009년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51명의 치과병의원명을 통해 그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치과 등록상호명을 보면 남자는 '전문과목' 33.4%, '인명/지명'유형 31.7%의 순으로 많았으며, 여자는 '전문과목'49%, '친근감'유형 29.9% 순으로 조사되었다(p<0.05). 2. '인명/지명'의 유형이 졸업년대를 기준으로 볼 때 1960년대 이전은 66.7%, 1960년대는 62.5%, 1970년대는 68.8%, 1980년대는 46.5%로 대부분을 차치하였으나, 1990년대는 '전문과목' 유형이 52.2%, 2000년 이후는 59.8%로 졸업년대에 따라 치과 등록상호명에 차이가 있었다(p<0.05). 3. 서울과 부산 및 경기도는 '전문과목'유형의 등록상호명이 가장 많았고, 그 이외의 도시는 '친근감' 및 '인명/지명'의 유형이 가장 많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09년 현재 대한소아치과학회원의 치과 병의원 등록상호명은 성별, 졸업년도,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Scaling Work Posture an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Dental Hygienists)

  • 심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17-126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시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치과위생사 26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치석제거 업무, 작업자세,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설문을 구성으로 융합연구 하였다. 자료 분석은 R 2. 15. 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치석제거 시 올바른 작업자세는 29.9%, 대체적으로 올바른 작업 자세는 37.5%, 올바르지 않은 작업 자세는 32.6%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의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부위로는 어깨가 3.32배(OR,3.32;95%CI, 1.58~6.98), 발은 2.97배(OR,2.97;95%CI, 1.18~7.48), 손은 2.84배(OR,2.84;95%CI, 1.35~5.98), 목은 2.82배(OR,2.82;95%CI, 1.35~5.91), 등은 2.41배(OR,2.41;95%CI, 1.02~5.68)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올바른 작업자세의 중요성을 제공함으로서 작업환경 개선 및 효율적인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추후 사회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겠다.

구강보건관리 지식 및 교육정도에 기반한 군병원 외래환자의 구강건강상태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Education of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 변진영;이명희;문철현;임정수;강천국;서화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81-487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일대 군병원에 내원하는 입원환자와 외래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배부된 총 200부의 설문지 중 182부가 회수되어 91%의 회수율을 보였다.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자료처리가 불가능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8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조사기간은 2008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20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보건관리 인식 및 지식수준을 조사한 결과, 치아우식증 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18.733점으로 나타났고, 치주질환 예방에 대한 인식은 25점 만점에 19.272점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관리 지식은 30점 만점에 25.305점으로 나타났다. 2.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관심 교육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를 살펴보면, 관심정도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 (P=0.0083)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구강보건관리 인식 지식정도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치아우식증 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평균 19.188점, 보통이다 평균 18.210점, 건강하다 평균 18.971점으로 나타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의 인식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주질환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관심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개인의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행위와 건강상태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보건관리는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실천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가 및 군(軍)에서의 최상의 전투력을 유지하고 발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병들의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강보건 사업이 주요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3D printing으로 제작된 금속 코어와 치과용 도재 간의 전단결합강도 평가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between metal core fabricated by 3D printing and dental porcelain)

  • 정재관;이수옥;김기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85-2592
    • /
    • 2015
  • 3D 프린팅 기술은 최근 치과용 보철물 제작 기술로 도입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D 프린팅 기술에 의해 제작된 금속 코어와 상부 도재와의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30개의 금속 코어를 제작하였다(cast 15개, 3D printing 15개). 금속 코어에 치과용 도재를 축성하여 시편 제작을 완료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는 crosshead speed 1mm/min으로 하중을 가하여 측정하였으며, 두 그룹의 전단결합강도 값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였다(유의수준 0.05). 측정이 끝난 후 시편을 대상으로 파절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 설계, 금속 코어 제작, 도재 축성 등의 시편 제작부터 실험 수행과 수행 후 실험 데이터 분석과 통계 분석 그리고 파절된 시편을 대상으로 한 파절 양상 분석까지 총 6개월이 소요되었다. 실험 결과 cast 50.14, 3D printing 54.36 MPa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파절양상은 두 집단 모두 시편의 대부분이 혼합형 파절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볼 때 3D 프린팅에 의해 제작된 금속도재관 제작을 위한 금속 코어는 임상적으로 허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약용 약효제의 적용시간에 따른 실험실적 효능 연구 (Evaluation of In-Vitro Efficacy of Active Ingredients in Dentifrice Used for Different Treatment Times)

  • 안재현;김지혜;김지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6-182
    • /
    • 2016
  • 페이스트 치약의 구강 내 사용시간(1~3분)과 사용시간을 길게 조절할 수 있는 부착형 치약의 사용시간을 고려하여 치약제의 유효성분을 처리시간 조건별로(1분, 3분, 10분, 30분 및 60분) 미백 효과, 항치석 효과, 재광화 효과 및 상아세관의 폐쇄 효과를 실험실적으로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처리 시간대별 명도 변화값(${\Delta}L$)은 1분 $5.50{\pm}1.51$에서 60분 $27.35{\pm}0.54$였고 치석으로부터 제거된 칼슘 양(ppm)은 1분 $4.23{\pm}0.14$에서 60분 $25.15{\pm}0.32$였으며 경도 증가값은 1분 $1.96{\pm}1.44$에서 60분 $12.55{\pm}2.09$였다. 상아세관의 폐쇄 정도는 10분 처리에서 일부 상아세관의 폐쇄가 관찰되기 시작하여 60분 처리에서는 대부분의 상아세관의 폐쇄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조건에서는 처리시간을 10분에서 60분 처리시 1분에서 3분 처리할 때보다 최소 1.57배에서 최대 8.26배까지 효능을 증가시켰으며 재광화 효과, 항치석 효과 및 상아세관 폐쇄 효과에서는 사용시간 10분 이상에서 적절하였고 미백효과에서는 30분 이상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Circulating microRNA expression profiling in young obese Korean women

  • Choi, Won Hee;Ahn, Jiyun;Um, Min Young;Jung, Chang Hwa;Jung, Sung Eun;Ha, Tae Youl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4호
    • /
    • pp.412-422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correlations between circulating microRNAs (miRNAs) and obesity-related parameters among young women (aged 20-30 years old) in Korea. SUBJECTS/METHODS: We analyzed TaqMan low density arrays (TLDAs) of circulating miRNAs in 9 lean (body mass index [BMI] < 25 kg/㎡) and 15 obese (BMI > 25 kg/㎡) women. We also performed gene ontology (GO) analyses of the biological functions of predicted miRNA target genes, and clustered the results using the database for annotation, visualization and integrated discovery. RESULTS: The TLDA cards contain 754 human miRNAs; of these, the levels of 8 circulating miRNAs significantly declined (> 2-fold) in obese subjects compared with those in lean subjects, including miR-1227, miR-144-5p, miR-192, miR-320, miR-320b, miR-484, miR-324-3p, and miR-378. Among them, miR-484 and miR-378 displayed the most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with BMI (miR-484, r = -0.5484, P = 0.0056; miR-378, r = -0.5538, P = 0.0050) and visceral fat content (miR-484, r = -0.6141, P = 0.0014; miR-378, r = -0.6090, P = 0.0017). GO analysis indicated that genes targeted by miR-484 and miR-378 had major roles i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CONCLUSION: Our result showed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circulating miRNAs in obese subjects compared to lean subjects. Although the mechanistic study to reveal the causal role of miRNAs remains, these miRNAs may be novel biomarkers for obesity.

대도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현존치아수와 의치장착상태: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and the denture status of elderly adults aged 65 years and above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지수;김세연;전은주;정승화;김진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21-932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and the denture usage status in elderly adults aged 65 years and above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and to confirm the degree of oral health inequality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oral conditions in each metropolitan city using the Lorenz curve and the Gini coefficient. Methods: The raw data for the analysis were obtained from the dataset of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between 2013 and 2015. The subjects included 1,764 people who underwent oral examination and answered questions. The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adjusted for ag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proportion of edentulousness and the denture status was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s crosstabs. Results: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in the elderly adults aged 65 years and above was lowest in Ulsan (15.41) and highest in Gwangju (20.44). The proportion of edentulousness was highest in Busan (14.5%) and lowest in Daejeon (4.0%). With regard to the proportion of denture users, Busan had the highest tendency for denture usage (50.4%) and Gwangju had the lowest tendency (34.9) (p=0.172). The Gini's coefficient for the number of existing teeth was lowest in Busan (0.332). Oral health inequality was most severe in metropolitan cities. Conclusions: We found that oral health inequality exists among elderly adults living in the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using the Lorenz curve and Gini's coefficient.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

  • 신민우;안권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24-537
    • /
    • 2017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 신체적 기능(ADL, IADL) 및 정신적 기능(CES-D, MMSE-K)과 삶의 질(WHOQOL-BREF)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장기요양시설급여노인 602명으로 하였으며, 201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 면접조사와 구강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생활비조달을 본인이 하는 경우보다 자녀가 조달하거나 정부의 보조를 받는다는 군에서, 요양기간이 길수록,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하다는 군보다 건강하지 않다는 군에서, 1일 칫솔질 횟수가 적을수록, 구강건조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낮을수록, 신체적 기능(ADL, IADL)이 낮을수록, 정신적 기능(CES-D, MMSE-K)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특히 삶의 질은 다른 요인보다 건강관련행위특성과 정신적 기능(CES-D, MMSE-K)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건강관련행위를 비롯하여 우울 및 인지기능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