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Forest

검색결과 7,267건 처리시간 0.04초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XVII) -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lnus firma -

  • Choi, In-Ho;Choi, Tae-Ho;Park, Youngki;Lee, Oh-Kyu;Kwon, Yeong-Han;Kang, Ha-Young;Park, Il-Kwon;Choi, Don-Ha;Shin, Sang-Chul;Lee, Hak-J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95-100
    • /
    • 2006
  • This study is to isolate bio-active compounds from Alnus firma and evaluate their antioxidant activity. Dried wood powder of A. firma was extracted by organic solvents and fractionated in the sequential extraction steps. The isolat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EI-MS, $^{13}C-$ and $^1H-NMR$ including COSY, DEFT, HMQC, and HMBC.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valuated by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From the wood of A. firma, three kinds of diarylheptanoids, alnusodiol (1), alnusonol (2) and alnusone (3), and gallic acid (4) were isolated. Among these four compounds, compound 1, 2, and 3 are isolated from A. firma for the first tim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allic acid was 93.5% at the concentration of 100 ppm. This compound show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of other isolated compounds and the reference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산림경관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 박찬우;정미애;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300-308
    • /
    • 2015
  • 국내에서는 2007년 경관계획제도가 시작되었다. 산림관리의 장기성과 광범위성을 생각하면 산림경관 관리의 계획적 접근은 필수불가결한 일이나 산림경관계획은 거의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계획 수립에 필요한 식견의 부족도 하나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산림의 특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 산림경관요소의 도출과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산림경관요소(산림경관유형)는 4개의 중분류(지형자원, 수자원, 식생자원, 인문자원)와 12개의 소분류(지형자원:능선 파노라마, 기암봉우리와 암릉, 수자원:폭포, 계곡과 계류, 호수와 도경, 식생자원:수관층 풍경, 주능선의 철쭉, 능선사면의 단풍, 초본군락의 꽃밭, 임내풍경, 숲길풍경, 인문자원:시설물)로 구성되었다.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제안사항으로 유형별 계획 단계의 경관권역계획 작성 시 산림의 6개 기능의 검토 필요성과 요소별 계획단계에서는 주능선, 계절감, 산림수변, 암석자원 경관관리계획 수립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유역(流域)의 환경보전(環境保全)을 고려한 합리적인 임도시공(林道施工)에 관한 연구(硏究)( I ) -일본에 있어서 최근의 임도사업(林道事業)을 중심으로- (Research on Environmentally-Sound Forest Road Construction( I ) -Recently forest road conservation in Japan-)

  • 전근우;츠지오 에자키;오재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26-36
    • /
    • 1996
  • 우리나라에서는 농업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일환으로 임도사업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임도개설에 따른 토사유출(土砂流出) 및 수질악화(水質惡化) 등의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임도사업의 역사가 길고 자연환경 등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일본에 있어서 임도분야의 연구방향, 임도개설유역의 환경영향평가 방법, 환경친화형(環境親和型) 임도시공(林道施工) 및 연구방법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였으므로 앞으로의 합리적(合理的)인 유역관리(流域管理)와 친환경적(親環境的) 임도사업(林道事業)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산림소유역에서 주요 유출성분 분석을 위한 천연추적자의 탐색 (Searching the Natural Tracers for Separation of Runoff Components in a Small Forested Catchment)

  • 유재윤;김경하;전재홍;최형태;정용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2-5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end-members and tracers which are effective to be applied in the End Member Mixing Analysis (EMMA) model for runoff separation at the Gwangneung coniferous forest catchment (13.6ha), Gyeonggido, Korea. We monitored three successive rainfall events during two weeks from June 26, 2005 to July 10, 2005, and analysed chemical properties of rainfall, throughfall, stemflow, groundwater and soil water considered as main components of storm runoff.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nalyses of each component and tracer. Groundwater, soil water and rainfall (or throughfall) were dominant runoff components. Rainfall and groundwater were selected as main components for the two components-one tracer mixing model, and groundwater, soilwater and throughfall were selected as main components for the three components-two tracers mixing model. Tracers were selected from anion ($Cl^-$ and ${SO_4}^{2-}$), cation ($Na^+$, $K^+$, $Mg^{2+}$, and $Ca^{2+}$) and Acid Neutralizing Capacity (ANC) in event 1, 2, and 3. $Na^+$, $Ca^{2+}$ and ANC were selected in the two components-one tracer mixing model and ${SO_4}^{2-}-K^+$, ${SO_4}^{2-}-Na^+$, ${SO_4}^{2-}-Ca^{2+}$, ${SO_4}^{2-}$-ANC, and $Ca^{2+}$-ANC were selected in the three components-two tracers mixing model. Selected main runoff components and tracers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 rate of each runoff component and identify the runoff process in a forest watershed.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소나무의 목재기본밀도 추정 및 평가 (Use of a Bootstrap Method for Estimating Basic Wood Density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 표정기;손영모;김영환;김래현;이경학;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392-39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부트스트랩 시뮬레이션(Bootstrap simulation)을 이용하여 소나무의 목재기본밀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소나무의 목재기본밀도는 생태형에 따라 강원지방소나무와 중부지방소나무의 자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비모수통계 방법의 하나인 부트스트랩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목재기본밀도는 강원지방소나무에서 0.418($g/cm^3$), 중부지방소나무에서 0.464($g/cm^3$)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랩 시뮬레이션에서 100, 500, 1,000, 5,000번 반복 시행한 결과에 의하면, 모수 추정치의 95%신뢰구간은 일정한 수치로 나타난 반면에, 표본오차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제시된 목재기본밀도 추정치는 기존의 계수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신뢰성 높은 목재기본밀도 추정치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강균(白殭菌)을 처리(處理)한 소나무림의 낙엽(落葉)과 토양(土壤)에 서식(棲息)하는 무척주동물(無脊柱動物) 군집(群集)에 대한 다변량분석(多變量分析) (Multivariate Analysis on Invertebrate Communities in Litter and Soils of Japanese Red Pine Forests treated by Beauveria bassiana)

  • 권태성;박영석;신상철;이범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593-599
    • /
    • 2001
  • 다변량분석법(주성분분석법, PCA)을 이용하여 무척추동물 군집에 백강균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였다. 좌표공간내의 군집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군집구조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을 통계 검정하였다. 백강균 처리는 낙엽과 토양의 무척추동물 군집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산촌 활성화를 위한 산림권역의 경영단위분석 - 일본 이시가와현의 예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Management Unit on Forest Area for Active Mountain Villages - Case of Ishigawa-gen in Japan -)

  • 이성기;손석규;정진현;신병철;정영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0호
    • /
    • pp.989-995
    • /
    • 2006
  •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ing Forest resources are consistently necessary in the future. It takes much time to produce and breed th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do due to recent social situation. Considering global environment, forest policy should be considered as a global scale rather than a regional one. At least, the policy needs a national scale concern. In order to support forestry, elementary data are needed. In this study, forest characteristics in Ishigawa-gen province have been analyzed through main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ing. The results are shown in fig.5 and fig.6.

백합나무 열처리재의 물리 및 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eat-treated Domestic Yellow Poplar)

  • 김광모;박정환;박병수;손동원;박주생;김운섭;김병남;심상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17-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새로운 활엽수 조림수종으로써 주목받고 있는 백합나무 제재목의 재질개선을 통한 부가가치 향상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전 연구에서 삼나무의 재질개선 방법으로써 적용가능성이 확인된 $200^{\circ}C$ 내외의 고온 열처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백합나무 재색제어에 적합한 적정 열처리 조건 구명 및 열처리에 따른 재질변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200^{\circ}C$의 열처리 조건에서 백합나무 심 변재 사이의 재색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크게 나타났다. 열처리재의 평형함수율이 무처리재에 비해 50% 정도 낮아 목재의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수분에 의한 성능저하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백합나무의 친환경 방부처리 기술로써 열처리의 적용 가능성은 삼나무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열처리재의 역학성능 변화는 삼나무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향후 백합나무의 용도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물성 변화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열처리에 의한 물성변화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미세구조 관찰 결과 에서는 특별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추후 물성변화의 원인규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