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lica restoratio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임플란트 보철 합착 시 잔여 시멘트 최소화를 위해 열가소성 접착제를 이용한 복제 지대주 제작 방법: 증례보고 (A technique for fabricating abutment replica with hot melt adhesive material to minimize residual cement in implant restoration: a case report)

  • 서치원;한아름;서재민;이정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240-245
    • /
    • 2016
  • 치은 연하 변연을 갖는 임플란트 수복물 장착시 잔여 합착제의 제거는 임플란트 생물학적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치은 연하 잔여 합착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상용 실리콘이나 자가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복제 지대주를 제작하는 여러 방법이 소개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열가소성 접착제(hot melt adhesive material)를 이용하여 복제 임플란트 지대주(abutment replica)제작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부가적인 기공과정이 필요 없어 진료실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Comparison of three-dimensional digital technique with two-dimensional replica method for measuring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full coverage restorations

  • Hasanzade, Mahya;Koulivand, Soudabeh;Moslemian, Naeime;Alikhasi, Marzieh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3호
    • /
    • pp.173-18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digital (reference point matching) and replica methods for measuring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full coverage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A maxillary left first molar typodent was fixed on to an aluminum base and prepared to receive all-ceramic full coverage restoration. The model was scanned with an intraoral scanner (CEREC Omnicam, Sirona, York, PA, USA). Twelve crowns were fabricated from lithium disilicate blocks (IPS emax CAD, Ivoclar Vivadent) and then crystalized.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each restoration was measured by two examiners using replica and a new digital three-dimensional techniqu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methods and two examiners was assessed by correlation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P<.05). A Bland-Altman assessment for agreemen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methods. RESULTS. Bland-Altman assessment showed that the mean of difference for marginal, absolute marginal, and axial gap was respectively -1.04 ㎛, -41.9 ㎛, and -29.53 ㎛ with limit of agreement (LOA) between -37.26 to 35.18 ㎛ for marginal, -105.85 to 22.05 ㎛ for absolute marginal and -80.52 to 22.02 ㎛ for axial gap. Positive correlation for repeatability (P<.05) in determining marginal and internal gaps by the two examiners in both techniques was revealed. Reliability of both techniques in all sites of measurements was at least good (0.8 ≤ α < 0.9). CONCLUSION. Both measuring techniques appeared highly reliable for evaluating fit of fixed dental restorations, while reference point matching provided higher values in axial and absolute marginal gap assessment.

디지털 구강스캐너로 모형 없이 제작한 전부지르코니아 수복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gap under model-free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 fabricated by digital intraoral scanner)

  • 이종원;박지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0-217
    • /
    • 2016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환자에서 디지털 구강스캐너로 모형 없이 제작한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전향적 임상시험으로 시행한 본 예비 연구는 총 11개의 수복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강스캐너(TRIOS, 3shape, Copenhagen, Denmark)로 디지털 구강인상을 채득한 후, 캐드 디자인 및 밀링 가공 과정을 통해 전부지르코니아 수복물을 제작하였다. 완성된 지르코니아관을 환자 구강 내에 시적하였고, 레플리카 술식으로 보철물-지대치 복제물을 얻었다. 이를 근원심, 협설 방향으로 잘라 변연오차, 변연간극과 축벽부, 선각부, 교합면부의 내면간극을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Kruskal-Wallis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alpha}=.05$). 결과: 복제물을 통한 적합도 분석 결과, 근원심, 협설 절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변연간극에 불일치가 있었으며, 변연 오차가 변연간극 보다 컸다(P<.01).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구강스캐너로 모형 없이 제작한 전부지르코니아 수복물의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허용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지르코니아관의 변연부위가 과풍융되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주의 깊은 임상 적용 및 추적 연구가 요구된다.

Verification of a computer-aided replica technique for evaluating prosthesis adaptation using statistical agreement analysis

  • Mai, Hang-Nga;Lee, Kyeong Eun;Lee, Kyu-Bok;Jeong, Seung-Mi;Lee, Seok-Jae;Lee, Cheong-Hee;An, Seo-Young;Lee, Du-Hyeo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5호
    • /
    • pp.358-36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computer-aided replica technique (CART) by calculating its agreement with the replica technique (RT), using statistical agreement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A prepared metal die and a metal crown were fabricated. The gap between the restoration and abutment was replicated using silicone indicator paste (n = 25). Gap measurements differed in the control (RT) and experimental (CART) groups. In the RT group, the silicone replica was manually sectioned, and the marginal and occlusal gaps were measured using a microscope. In the CART group, the gap was digitized using optical scanning and image superimposition, and the gaps were measured using a software program. The agreement between the measurement techniques was evaluated by using the 95% Bland-Altman limits of agreement and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s (CCC). The least acceptable CCC was 0.90. RESULTS. The RT and CART groups showed linear association, with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in gap measurements,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The 95% limits of agreement between the paired gap measurements were 3.84% and 7.08% of the mean. The lower 95% confidence limits of CCC were 0.9676 and 0.9188 for the marginal and occlusal gap measurements, respectively, and the values were greater than the allowed limit. CONCLUSION. The CART is a reliable digital approach for evaluating the fit accuracy of fixed dental prostheses.

성주 이씨가(家) 초상화의 과학적 분석을 통한 모사복원방안 연구 (A Study on Replica Restoration Method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f Seongju Lee Family's Portraits)

  • 정지윤;이장존;한민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1-216
    • /
    • 2022
  • 성산사에 봉안되어 있는 성주 이씨가(家) 초상화 중 2점(이조년, 이숭인)을 대상으로 사용재료 및 기법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하여 최적의 모사복원방안을 설계하였다. 표현 기법 조사 결과, 두 진영 모두 선묘 위주로 표현되었지만, 신발과 눈동자, 육색 표현, 가채, 보강 흔적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안료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적색 안료는 주사와 연단의 혼합 혹은 유기 안료를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을 사용했다. 녹색 안료는 석록(Malachite)이 사용되었고, 백색 안료는 연백을 사용했다. 황색 안료는 유기 안료와 금박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숭인 진영은 석간주와 녹염동광(Atacamite)도 사용되었다. 또한 동시대 사대부상과 비교한 결과, 두 초상화에서 당시 초상화 양식이 발견되나 변형된 특이점이 존재하였다. 과학적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이조년 진영은 고색복원모사, 이숭인 진영은 현상모사로 결정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표현 기법들을 과학적 분석 데이터로 보완하여 세부적인 채색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색상별로 초상화에서 대표적인 위치의 색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한 색상 기준값을 제시함으로써 유물의 현재 색상을 최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모사복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의 결손부 디지털 복원 및 3차원 프린팅 복제모형 제작 (Digital Restoration of Missing Parts and 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Printed Replicas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in Hwajeon-ri, Yesan, Korea)

  • 이승준;조영훈;김지호;조효식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9권
    • /
    • pp.99-110
    • /
    • 2023
  • 석조문화유산으로부터 결손된 석재편은 비교적 무겁고 부피가 커 직접 맞춰보고 원위치를 찾는 데 한계가 있으며, 수작업 시 이차적 물리적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72점의 석재편이 함께 발굴된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을 대상으로 디지털 복원을 통해 결손부와 석재편의 형상학적 관련성을 파악하고, 전시활용을 위해 3차원 프린팅 복제모형을 제작하였다. 디지털 복원을 위해 가상 공간에서 3차원 스캐닝 모델의 좌표를 정렬한 후 형상 유사도가 존재하는 석재편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 석재편을 3차원 프린터로 출력하여 결손부와 물리적인 접합 여부를 확인하였고, 이렇게 하여 총 7개소 9점의 석재편의 원위치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전시에 활용하기 위해 3차원 프린팅으로 석조사면불상의 1:1 복제모형을 제작하였고, 원위치가 파악된 석재편들 역시 복원되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디지털 기술은 직접적 수작업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였을 뿐 아니라 유사 문화유산의 기록화, 복원, 복제 분야에 확대적용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디지털 복원을 통한 태조어진太祖御眞의 형태 고찰 (A Study on the Shape of the Portrait of King Taejo Using Digital Restoration)

  • 곽은경;손태호;이현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61
    • /
    • 2016
  •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로 조선시대에는 국조인 태조를 비롯하여 다수의 어진이 제작되어 영흥 준원전, 전주 경기전 등 여러 진전眞殿에 봉안奉安되었다. 이러한 어진은 이모移摸 과정을 통해 전해지고 있으며, 훼손된 어진의 경우 모사模寫 과정을 토대로 신본新本을 제작하였다. 근래에는 어진에 대한 다양한 학술적인 가치와 국민적인 관심 증대로 인하여 이모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다수의 어진을 보유하고 있는데, 소장본중 대부분이 한국전쟁 중 화재로 인해 손상된 상태로, 이모본 제작 과정에 필요한 초본 제작을 위해서는 범본範本이 되는 어진의 훼손된 부분에 관한 복원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다분할 촬영 기법 및 이미지 분석 등의 디지털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태조어진의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는 과정과 이를 통해 밝혀진 태조어진 유물들의 용안의 차이를 중심으로 각 유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월정교 출토 사자상 복원을 위한 모본 제작 연구 (A Study on Making a Replica for Restoration of the Stone Lion Statue Excavated from Woljeong Bridge)

  • 이찬영;한경순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7-157
    • /
    • 2015
  • 최근 중요유물의 가치를 제고하고 일반인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으로 복제품을 전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물복제는 외형에만 치중한 복원 복제 방법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복제품, 유물복원이 증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물에 손상을 최소화하고 조형물처럼 커다란 유물에도 적용 가능한 복원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다. 월정교 출토 사자상 복원을 위한 모본 제작은 미술사적 조사를 바탕으로 3차원 스캔을 활용한 실측도와 단면도를 만들었고 이를 기초로 비접촉식 복제방법을 선택하였다. 비접촉식 방법의 장점은 정밀한 결과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접촉식 방법일 경우 소형 유물에만 적용 가능하고 추가적인 재처리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금번 연구대상인 사자상 같은 조형물에도 정밀하게 적용 가능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월정교 출토 사자상의 학술적 가치를 제고하는 한편 사자상의 형태를 이용한 복원을 통해 복원된 월정교의 역사적 진정성을 보완하는 의미가 있으며, 유사 유물의 복제와 복원에 관하여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AD/CAM 밀링 시스템을 활용한 단일 치관과 3본 교의치의 3D 적합도 평가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the internal adaptation of single and three-unit fixed dental restoration by CAD/CAM milling system)

  • 김소리;김총명;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5-4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valuate the occurrence of errors regarding adaptation by conducting a three-dimensional assessment comparing the bridge type dental restoration after the cutting process, which has multiple abutments, with a single type dental restoration. Methods: By using ten identical files obtained by scanning the master model, thirty designs were created consisting of ten maxillary right first premolars and ten maxillary right first molars with single crown abutments, along with ten bridge designs with the identical abutment. A 5-axis milling machine was used to produce the design file. The produced denture prostheses were scanned using a silicone replica for a STL file. An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3D analysis software on the master model and each of the thirty data files. Results: The RMS value of the pre-molar (14) was $38.4{\pm}4{\mu}m$ for single and $54.7{\pm}6{\mu}m$ for bridge abutment; therefo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single and bridge designs although both shared the same abutment form (P<.05). Also, the RMS value of the molar (16) was $47.6{\pm}2{\mu}m$ and $56.6{\pm}5{\mu}m$ for the single and bridge designs, respectively, thereby presen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Conclusion: As a result, dental prosthesis fabricated using the single method presented better internal adaptation outcomes.

급속소결이 다층 지르코니아 치과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peed sintering schedule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s of multi-layered zirconia prothesis)

  • 김세연;김재홍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7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cceptability of the marginal discrepancies and internal spacing of multi-layered zirconia prothesis by speed sintering. Methods: The two specimen types come from the same manufacturer but differ in the ingredients in layered zirconia and indication, that is anterior and posterior. The designs of both specimens were full contour crowns, and a total of 20 pieces were repeatedly fabricated, 10 for each group.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n=10) and sintered with various total times (4 hours, 8 hours) at the maximum temperature (1,530℃).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of multi-layered zirconia prostheses was measured using a silicone replica technique of 2D analysis metho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then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the two groups (α=0.05). Results: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was superior in the 8-hour compared to the 4-hour group, and the result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ll specimens showed that using the speed sintering schedule does not exceed the clinically permitted value of 120 ㎛, meaning zirconia prothesis using the speed sintering was adequate. Conclusion: The sintering condition is shown to affect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s of multi-layered zirconia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