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pair material and method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19초

라텍스개질콘크리트로 보수·보강된 RC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Effect of RC Beam Repaired and Strengthened by Latex Modified Concrete)

  • 김성환;윤경구;김용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A호
    • /
    • pp.503-51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LMC로 덧씌우기 또는 보수 된 형태의 RC 보의 정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따라서, LMC로 덧씌우기 및 보수된 RC 보를 상대습도 60%, 온도 $20^{\circ}C$의 조건에서 양생을 실시하여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시험체를 4점 휨 실험을 수행하여 균열양상, 파괴거동 및 극한강도 등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전단철근이 보강된 보수형태의 RC보의 경우 100%이상의 내하력을 회복하여 보수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고, LMC로 압축부에 덧씌우기 된 시험체의 경우 덧씌우기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내하력이 크게 증진되었다. 그러나, 전단철근이 보강되지 않은 보수형태의 시험체와 인장부 덧씌우기된 시험체는 부착계면 파괴양상을 보여주어 보수 및 보강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착계면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단흐름 개념을 도입하여 LMC로 압축 덧씌우기된 시험체를 대상으로 하중증가에 따른 전단흐름량을 계산하여 부착계면 특성을 수치적으로 나타내었다.

Glass fiber 강화 복합레진을 사용한 3본 고정성 국소의치의 개념 설계 연구 (Conceptual Design of the Three Unit Fixed Partial Denture with Glass Fiber Reinforced Hybrid Composites)

  • 나경희;이규복;조광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8권3호
    • /
    • pp.145-15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knitted glass fabric 강화 레진에 대한 치과보철소재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교합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구치부 3본 고정성국소의치에 이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해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구치부3본 고정성국소의치에 대해 knitted glass fabric 강화 레진을 적용한 두 가지 설계 개념을 상정하였고, 각 설계형상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하였다. 강도 평가를 위해서75N의 생리적인 반복 수직 교합 하중 조건을 부여, 보철물에 유도되는 국소응력을 피로강도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각각의 설계에는 knitted glass fabric을 모재로 하고 보강재로 unidirectional 형의 glass 복합재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념설계 된 두 가지의 3본 고정성국소의치는 수직 교합 하중 75N 에 대해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공치와 knitted caps사이의 연결 부위에서 국소적인 응력 집중이 관찰되었으나 그 크기는 재료의 피로강도 범위 이내였으며 국소적인 설계변경을 통하여 응력분포를 더욱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knitted glass fabric 은 새로운 치과 보철 소재로서의 그 가능성이 기대된다.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Microsatellite Instability와 p53. K-ras, c-myc 암단백의 발현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p53, k-ras c-myc Oncoprotein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나석주;곽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60-67
    • /
    • 2000
  • Background: Microsatellites are short-tandem repeated uncleotide sequences present throughout the human genome. Alterations of microsatellites have been termed microsatellite instability(MI).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microsatellite instability detected in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reflects genetic instability that is caused by impairments of DNA mismatch repair system regarding as a novel tumorigenic mechanism. A number of studies reported that MI occurred at varying frequencies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NSCLC). However It has been unproven whether MI could be a useful market of genetic instability and have a clinical significance in NSCLC. Material and Method : We have examined whether MI can be observed in thirty NCSLC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whether such alterations are associated with other molecular changes such as p53, K-ras and c-myc oncoproteins expression detec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Result: MI(+) was observed in 16.6%(5/30) and MI(-) was 83.3% (25/30) Average age was 50$\pm$7.5 year-old in MI(+) group and 57$\pm$6.6 year-old in MI(-) group. Two year survival rate in MI(=) group (20% 1/5) was worse than MI(-) group (64% 16/25) with a statistic difference. (P=0.04) The positive rate of K-ras oncoprotein expression and simultaneous expression of 2 or 3 oncoproteins expression were higher in MI(+) group than MI(-) group with a statistic difference(P=0.05, P=0.01)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can conclude that MI is found in some NSCLC and it may be a novel tumorigenic mechanism in some NSCLC. We also conclude that MI could be used as another poor prognostic factor in NSCLS.

  • PDF

건설프로젝트의 품질결함의 발생요인간 상관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f Nonconformity in Construction Projects)

  • 지성준;차용운;한상원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1-28
    • /
    • 2015
  • 공사비 증가와 공기 지연 등 건설프로젝트에 악영향을 미치는 건설품질결함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간 결함을 유발시키는 원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원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30개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1,241건의 부적합 사례 중 831건의 건축공종 부적합 사례를 토대로 건설품질결함의 발생요인을 발생단계, 발생현상, 기인원인, 처리방안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상관분석을 통해 부적합은 주로 조달 및 시공단계에서 기능결함 및 시공결함의 형태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주로 작업자의 실수, 조악한 품질의 자재사용, 그리고 잘못된 시공방법에 의해 발생되는 품질결함은 주로 특채, 수리, 재작업의 방법으로 처리되어 공사비 증가 및 공기 지연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향후 품질결함의 발생과정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품질결함 방지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배경과 정량적 지표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성인에서의 우전외측 개흉술을 이용한 개심술 (Right Anterolateral Thoracotomy for Cardiac Surgery in the Adult)

  • 이상권;김상필;송현;김종욱;송명근;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22-725
    • /
    • 1999
  • 배경: 개심술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접근과 미관상 나은 상처를 얻기 위해, 우전외측개흉으로 성인의 심방중 격결손증과 판막질환의 수술을 시행하였다. 방법: 본원에서는 1989년부터 1998년 6월까지 우전외측 개흉술 을 통하여 44예의 개심술을 시행하였고, 수술시간, 심폐우회시간, 대동맥 차단시간, 술 후 출혈량, 중환자실 재실기간, 술 후 퇴원일 등을 정중흉골절개로 수술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 었고, 전예에서 사망이나 이 접근법과 관련된 이환의 증감은 찾을 수 없었다. 우전외측 개흉술로 안전하고 만족스러운 미용상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우전외측개흉술은 좋은 수술시야를 제공하고 미용상 우수하고 수술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 부분적으로 정중흉골절개를 대신할 수 있는 안전한 접근법이다.

  • PDF

남원 광한루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Dendrochronological Dating for the Gwanghanru Pavilion, Namwon, Korea)

  • 박원규;김요정;한상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1호
    • /
    • pp.152-163
    • /
    • 2014
  • 남원 광한루는 본루, 익루, 월랑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 누각이다. 각 부분이 추가되는 형식으로 증축된 것이라고 알려진 광한루의 건축시기를 조사하기 위해 2001~2002년 수리 공사 중에 교체되는 본루, 익루, 월랑의 목부재와 적심재에 대하여 연륜연대를 측정하였다. 본루의 주두, 도리, 적심, 그리고 익루의 중도리, 귀틀 부재가 1624년 늦가을부터 1626년 초봄사이에 벌채된 것으로 밝혀져 본루와 익루의 건축을 위해 같은 기간에 벌채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익루가 1626년 본루의 중건당시 함께 지어졌다는 증거이다. 1879년에 증축된 것으로 알려진 월랑은 연륜연대 측정결과 1881년~1882년에 본루와 익루의 대규모 수리와 함께 건축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밖에 본루의 사래와 도리받침, 익루의 추녀가 1855년에 벌채된 것으로 나와 1855년에 중수가 있었다는 역사기록과 일치하였다.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eramic panels of a V94.2 gas turbine combustor under realistic operation conditions

  • Namayandeh, Mohammad Javad;Mohammadimehr, Mehdi;Mehrabi, Mojtaba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17-135
    • /
    • 2019
  • The lifetime of a gas turbine combustor is typically limited by the durability of its liner, the structure that encloses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products.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combustor thermal design process is to ensure that the liner temperatures do not exceed a maximum value set by material limits. Liner temperatures exceeding these limits hasten the onset of cracking which increase the frequency of unscheduled engine removals and cause the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of the engine to increase. Hot gas temperature prediction can be considered a preliminary step for combustor liner temperature prediction which can make a suitable view of combustion chamber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eramic panels for a V94.2 gas turbine combustor subjected to realistic operation conditions is presented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method. A simplified model of alumina ceramic is used to obtai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external thermal loads consist of convection and radiation heat transfers are considered that these loads are applied to flat segmented panel on hot side and forced convection cooling on the other side. First the temperatures of hot and cold sides of ceramic are calculated. Then, the thermal boundary conditions of all other ceramic sides are estimated by the field observations. Finall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of ceramic panels for a V94.2 gas turbine combustor are computed by MATLAB software. The results show that the gas emissivity for diffusion mode is more than premix therefore the radiation heat flux and temperature will be more. The results of this work are validated by ANSYS and ABAQUS softwares. It is showed that there is a good agreement between all results.

유아에서 쇄골하동맥피판 대동맥성형술에 의한 대동맥축착의 치료 (Treatment of Coarctation of the Aorta with Subclavian Flap Aortoplasty in Infants)

  • 공준혁;이응배;조준용;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8호
    • /
    • pp.623-629
    • /
    • 2000
  • Background: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the prevalence of recoarctation in infants treated by subclavian flap aortoplasty(SFA) for coarctation of the aorta. To assess the rate of recurrence of coarctation after SFA, we reviewed the surgical results of SFA in infants with coarctation of the aorta. Material and method: Between 1986 and 1998, a total of 25 patients less than 1 year of age(12 neonates and 13 infants) underwent SFA for aortic coarctation. Age at operation was 3.0$\pm$3.0 months(mean $\pm$ standard deviation); mean weight was 5.0$\pm$1.4kg. Classic SFA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reversed SFA in 2 patients, subclavian artery reimplantation in 2 patients and the combined resection-flap aortoplasty in one. Result: The aortic clamping time ranged from 20 to 88 minutes(mean 35.8 minutes). There were one operative death and two late deaths. There was no case of paraplegia or left arm ischemia in complications. Twenty-one(84%) of 24 hospital survivors were followed for 26.0$\pm$24.0 months. The risk of recoarctation in neonates(33.3%) was a little greater than infants(25.0%)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FA resulted a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recarctation in infants. It is desirable to select other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combined resection-flap aortoplasty, extended end-to-end repair etc.) for severe isthmic coarctation or hypoplasia of the distal aortic arch in infants, instead of choosing SFA indiscriminately.

  • PDF

단주기 진동에너지에 의한 그라우팅 보강효과 (Improvement of Grouting by Short-period Vibration Energy)

  • 서문복;권상훈;이봉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7호
    • /
    • pp.35-42
    • /
    • 2015
  •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개량과 안정화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초기에는 대부분이 지하수를 차단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지반의 강화와 구조물의 보수 등 그 용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그라우팅 공법은 흙 입자 사이의 간극이 좁을 경우 중력식으로는 그라우트재의 침투가 불확실한 경우가 있으며, 주입압을 통하여 주입할 경우 인근 지반의 이완으로 인한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일정한 진폭과 주기를 갖는 진동주입공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공법은 정압주입 형태에 비해 그라우트재의 침투성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주기 진동에너지를 가하는 진동그라우팅의 보강효과를 구명하고자 진동주기, 진동시간 및 지반조건 등을 변화시켜 가며 그라우트재의 강도증진 효과, 확공효과, 지반보강효과 및 암반 절리면에서의 침투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지반조건이 느슨한 경우 진동그라우팅 시 무진동 그라우팅에 비해 압축강도와 확공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침투속도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승모판막성형술 실패 직후에 시행한 재수술 (Immediate Reoperation for Failed Mitral Valve Repair)

  • 백만종;나찬영;오삼세;김웅한;황성욱;이철;장윤희;조원민;김재현;서홍주;김욱성;이영탁;박영관;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29-936
    • /
    • 2003
  • 승모판성형술 직후에 시행한 재수술에 대한 연구보고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승모판성형술 직후 성형술 실패로 판단되는 환자에서 즉시 시행한 재수술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4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세종병원에서 승모판성형술을 받은 환자 중 체외순환 이탈 직후 시행한 경식도초음파 검사에서 승모판막폐쇄부전 혹은 협착이 의미있게 잔존하거나 다른 이유로 재수술이 즉시 필요하였던 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남녀비는 5 : 13이었고 평균 연령은 44세였다. 승모판막 질환은 폐쇄부전 12명, 협착 3명, 그리고 혼합형이 3명이었다. 원인은 류머치스성 9명, 퇴행성 8명, 그리고 심내막염이 1명이었다. 재수술의 원인은 잔존 승모판폐쇄부전 13명, 협착 4명, 그리고 좌심실천공이 1명이었다. 14명(77.8%)에서 재성형술을, 4명에서는 인공기계판막치환술이 시행되었다. 결과: 조기사망은 없었다. 조기결과는 승모판막치환을 한 4명을 제외한 14명 중 13명(92.9%)에서 0-I도의 폐쇄부전을 보였고 협착은 14명 모두 경도 이하 상태였다. 평균 33개월을 추적조사 한 결과 1명이 술 후 4개월 후 심기능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승모판폐쇄부전은 9명(64.3%)에서 0-I도를, 승모판협착은 11명(78.6%)에서 경도 이하였고 재수술은 1명에서 시행되었다. 6년 생존율과 재수술로부터의 자유도는 각각 94%와 90%였다. 4년 후 승모판폐쇄부전 및 협착 재발로부터의 자유도는 각각 56%와44%였다. 결론: 승모판막성형술 직후 재수술은 양호한 조기 및 중기 생존율을 보이며 일차성형술 실패 후에도 높은 빈도에서 재성형술이 가능하다. 하지만 재성형술 시 특히 류머치스성 판막질환에서는 판막 기능부전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성형술 후 판막부전의 재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성형술의 적절한 적용 및 적응증 선별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7명의 환자에서는 완전 방실전도차단이 발생하였고, 이 중 6명의 환자에서 영구 인공심박조율기의 삽입이 필요하였다. 걸론: 부분방실중격결손증은 낮은 사망률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재수술의 원인은 좌측 방실판막페쇄부전이 가장 많았다. 방실판막구조물의 기형이 동반된 경우 재수술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또한, 술후 좌심실유출로협착여부가 재수술의 위험인자였으므로 좌측 방실판막 및 좌심실 유출로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좌심실유출로협착은 발생시 대동맥하부의 조직에 대한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나 재발 가능성이 크고, 필요시 수정 Konno수술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방실전도차단은 초기시행단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심장 전도계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와 경험축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첨가군들의 카드뮴 함량은 6주째까지 모든 시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주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7. 분변 중 카드뮴 함량은 C4군이 가장 높았고, 결명자 첨가군들의 카드뮴 함량은 C3군과 C4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들에서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주째에 카드뮴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가 6주 이후에 다시 카드뮴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erefore the guidelines for iron supplementation and nutritional education to improve their iron status should be provided.한 질소제거를 N-balance로부터 구해보면, R3 반응조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제거율(40.9%)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Bncillus 균주는 호기적 탈질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Bncillus 균주를 이용한 B3 공정은 탈질에 이용되는 탄소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