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iniscence Therap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회상하기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 노인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miniscence Therapy on Communication Ability of Elderly Patient With Alzheimer's Dementia)

  • 김수정;장현진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21-31
    • /
    • 2020
  • 목적: 회상하기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게 심리적 측면에서 안정을 찾는 방안이면서 동시에 자신의 과거를 기억하면서 자신에 대해서 정확하게 표현하면서 의사소통에 대해 접근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에게 회상하기 프로그램에 적응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70세 노인 중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ementia; AD) 노인 4명을 대상으로 사전-치료-사후 평가 단계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의사소통 요소 중 회화항목 영역에서 중재 후에 향상되었다. 둘째, 의사소통 요소 중 인지력 인식 영역에서 중재 후에 향상되었다. 셋째, 의사소통 요소 중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중재 후에 향상되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회상하기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회상하기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추후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장기요양보험서비스를 제공 받는 치매 환자 대상 작업 중심 회상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in Dementia Offered National Long Term Care Insurance)

  • 정해인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1호
    • /
    • pp.31-37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장기요양보험서비스를 제공받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 작업 중심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중재 적용한 연구 효과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09년부터 2013년 까지 한국교원학술정보원을 통해서 확인되는 논문을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치매, 시설 서비스, 주간 보호 센터, 회상치료, 작업 중심 프로그램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 결과 총 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연구에서의 회상치료는 모두 작업 중심 프로그램을 병행한 집단 회상치료이다. 세부 중재 형태는 의사소통 중심 회상치료, 작업 중심 회상치료로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치매 환자 대상의 회상치료의 효과는 인지기능 유지 및 회상기능 향상, 우울감소, 문제행동 감소,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 삶의 질 향상 등 총 5가지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연구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적은 대상군, 짧은 연구기간, 추적조사 미시행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내적, 외적 타당도를 보였다. 결론 :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의 확보와 추적조사를 통한 지속적인 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치매환자 대상의 다양한 형태의 작업 중심 회상치료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인회상요법이 노인의 우울, 사기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ividual Reminiscence Therapy on Older Adults' Depression, Morale and Quality of Life)

  • 김귀분;윤지현;석소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13-82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reminiscence therapy on older adults' depression, morale, and the quality of life. Methods: The design was a single-group pre-test and post-test study. Subjects consisted of 31 older adults from two senior centers and a welfare center in Seoul. Individual reminiscence therapy was applied to study subjects four times, once a week for an hour at each time. Measurement tools were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GDSSF-K) for depression, Mun Ae-ri's (1996) scale for morale, and Medical Outcomes Study Short Form 36 (SF-36) for the quality of lif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reminiscence therapy reduced older adults' depression (t=-5.65, p=.000), and enhanced older adults' morale (t=4.65, p=.000).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reminiscence therapy improved older adults' quality of life (t=5.00, p=.000). Conclusion: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reminiscence therapy may be applied as a nursing intervention that contributesto the improvement of older adults' quality of life, reduces their depression, and enhances their morale.

쑥향기 흡입을 병행한 집단회상요법이 노인의 통증, 우울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roup Reminiscence with Mugwort Fragrance Inhalation on Pain,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with Chronic Pain)

  • 김수영;김명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58-367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 some effects on pain,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by adapting group reminiscence therapy with mugwort fragrance to the elderly with chronic pain. Method: The research was executed from April 2001 through September 2001,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male and female olderly people randomly assigned from 3 environmentally similar day care centers.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 and B, and a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was divided into a daily care group and a regularly visiting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A was for group reminiscence therapy with mugwort fragrance inhalation and the group B for group reminiscence therapy. Result: The group reminiscence therapy with mugwort fragrance inhal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e of pain and depression, and improvement of ego integrity, and for 2 weeks after the treatment proved its continuous effect. Conclusion: The result above explains the fact the mugwort fragrance stimulates reminiscence and shows curing effects. In further researches, it is necessary to adapt various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not only to the aged with chonic pain.

  • PDF

집단회고요법이 재가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roup Reminiscence Therapy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Residing at Home)

  • 정영;백영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mine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on deprssion of the elderly residing at home.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the members of senior citizens' centres located in Kwangju City. Total number was 73, 38 for the control group and 35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was carried out after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23 Jun. to 11 Nov. 1993. Reminiscence therapy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6 weeks. Depression level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reatment giv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ligion and family-attachment among socioeconomic characti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2. Religion and pocket - money provider among socioeconomic characti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level of life-satisfaction. 3.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0.777, P=0.000). 4.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treatment as contrasted with that of control group(P=0.004).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reminiscence therapy reduces depression level.

  • PDF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ective Art Treatment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on the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 김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47-58
    • /
    • 2021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S군에 소재하는 S주간보호센터 이용자 중 본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총 3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7일 부터 2021년 1월 2일 까지 주1회씩 12회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신뢰도 검증,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3×2 혼합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대인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증진시키며,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상요법이 치매노인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on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경수;이지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25-24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on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January 2018 were searched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n Medical Database (KMbase), KoreaMed, PubMed, Cochrane Library,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and Ovid MEDLINE. Two researchers independently performed the search, selection, and cod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was used for meta-analysis, and Review Manager program 5.3 was used for quality assessment. Results: Out of the 1,250 retrieved articles, 22 RC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reminiscence therapy for mitigating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was -0.62 (95% Cl: -0.92 to -0.31). The effect size was greater in older adults under 80, those with less disease severity, and those for whom the therapy session lasted less than 40 minutes. Conclusion: Reminiscence therapy is an effective non-pharmacological therapy to improve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Because its effectiveness is also influenced by age, disease severity, and applica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eatment designs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methodological approaches.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omen Suspected Of Dementia.)

  • 장우혁;손효성;서예지;윤수정;김현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6
    • /
    • 2018
  • 목적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 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 치매 의심 노인으로 실험군 7명, 대조군 7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기간 동안 동일하게 20분간 그리기 활동에 참여하였고, 실험군은 추가로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를 적용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 치료는 5주간, 주 2회, 1회당 40분씩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 도구로 인지기능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한국판(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 MMSE-K), 우울 지수는 벡 우울증 척도 한국판(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 K-BDI), 삶의 질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맨-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중재 후 집단 내에서 인지기능, 우울 지수,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단 간 에서는 인지 기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김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59-68
    • /
    • 2021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S군 S노인요양시설에 입소 중인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총 28명을 대상(실험군 14명, 대조군 14명)으로 2020년 11월 14일 부터 2021년 3월 6일 까지 주1회씩 16회기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2×2 혼합변량분석, 대응표본 T-test, 집단 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들의 우울과 의사소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질환 입원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Group Art Therapy by Way of Reminisc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Geriatric Illness)

  • 김효정;최선남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1호
    • /
    • pp.99-118
    • /
    • 2010
  • This thesis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by way of reminisc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geriatric illness. The subjects are 20 inpatients whose age is over sixty in the Elderly Nursing Hospital located in K county. Among them, 10 inpatients are arrang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10 inpatients, as control group. The research period is from February 28, 2009 to August 21, 2009.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by way of reminiscence is carried out during 21 sessions on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F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is carried out, and then after four weeks, the further test is carried out. The measurement tools are KGDS(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KHTP. The data are analyzed by SPSS(for Windows) and SAS(ver. 9.1.2), by which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Scheffe test a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he whole elderly depression levels is shown significantly in the post test and the further test between the two groups. The art therapy group is more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geriatric illness than control group. Second, it is shown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the elderly depression by KHTP. The art therapy group is mor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he reduction of the elderly depression in view of KHTP. In conclusion, the group art therapy is an efficient intervention which enables to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geriatric il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