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aining Layer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1초

Formocresol이 손상치수조직(損傷齒髓組織)의 치유(治癒)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CN THE INFLUENCE OF FCRMCCRESOL TO THE HEALING PROCESS OF AMPUTATED PULP)

  • 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권1호
    • /
    • pp.17-21
    • /
    • 1977
  • After a vital pulpotomy in dogs' teeth, the responses of the remaining pulp tissue under calcium hydroxide and formocresol were studied histologically. The class I and V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teeth and the pulp was amputated. Calcium hydroxide and formocresol were placed over the amputated tissue and the cavities were sealed with zine oxide eugenol cement and zinc phosphate cement. Animals. were sacrifice after 1, 2, and 3 weeks following the operation. The teeth were decalcfied, sectioned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s as follows; 1. Healing of the pulp at the amputation site did not occur in the pulps treated with formocresol. 2. At one week, a thin layer of darker staining tissues just below the necrotic zone was presented in the pulps treated with formocresol. In this stage the tissues beneath the darker staining layer were normal. 3. At two weeks, the cells of the palest staining layer were showed indistinct nucleus which suggested the karyolysis and the karyorrhexis in the pulps treated with formocoresol. As reached to the middle third of the pulp, the odontoblasts were scarcely evident or missed in this stage. 4. At three weeks, the necrotic zone was reached to the middle third of the pulp canal. The cells beneath the zone showed massiv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the pulps treated with formocresol. 5. Dentin bridge in the control group was deposited below the necrotic zone from the two. weeks later. 6. Normal tissues were observed ill the apical third of all. the dental pulps in all case of calcium hydroxide and formocresol.

  • PDF

저전송률 비디오 압축을 위한 모델 기반 매크로블록 레이어 비트율 제어 (Model-based Macroblock Layer Rate Control for Low Bit Rate Video Coding)

  • 박상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4호
    • /
    • pp.50-5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저전송률 환경에서 목표 비트량에 맞게 영상을 압축하는 모델 기반 매크로블록 레이어 비트율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H.264 비디오 압축 표준은 다양한 압축 모드 및 최적화 방법을 사용하여 압축률을 향상 시키지만 복잡한 인코더 구조는 저전송률 환경에서 정확한 트래픽 제어를 어렵게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먼저 한 프레임의 모든 매크로블록에 대한 MAD 값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매크로블록 압축 전에 목표 잔여 비트량을 설정한다. 설정된 목표 잔여 비트량과 실제 잔여 비트량의 차이가 임계치보다 크면 두 값의 차이가 감소하도록 양자화 파라미터 값을 조절하여 한 프레임에 대한 결과 비트량이 목표 비트량과 비슷하게 발생되게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과 기존 알고리즘간의 비교 실험은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한 프레임에 대한 목표 비트량과 실제 비트량의 차이를 66% 이상 감소시키고 있으며 동시에 PSNR 성능에서 기존의 알고리즘 보다 우수함을 보여준다.

대사 경로 시각화를 위한 레이아웃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layout algorithm for metabolic pathway visualization)

  • 송은하;용승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5-102
    • /
    • 2013
  • 생명체 내에서 나타나는 네트워크 중 하나인 대사 경로는 화합물의 상호 관계를 그래프를 통해 표현된다. 대사 경로는 본질적인 복잡성 때문에 대사 경로 내의 흐름을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가시화하여 보여 주는 도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가시화 도구의 경우 노드수가 증가할수록 에지 교차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전체 수준의 대사 경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대사 경로 그래프 레이아웃 상에 나타나는 에지 교차를 줄이는 것이 시각화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은 생물학에서의 대사 경로에 대한 시각화를 위한 2-계층을 이용한 대사 경로 레이아웃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대사 경로의 구조적 특징을 고려하여 대사 경로 그래프에 존재하는 주요 컴포넌트인 환형 컴포넌트 또는 연결성 높은 노드를 찾아 상위 계층에 레이아웃 하고 나머지 부분그래프는 하위 계층에 레이아웃 한다. 제안한 대사 경로 레이아웃 알고리즘은 유연성 있는 대사 경로 분석의 기초가 된다.

R의 neuralnet을 활용한 신경망분석 (Neural network analysis using neuralnet in R)

  • 백재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1호
    • /
    • pp.1-7
    • /
    • 2021
  • 본 연구는 다층 퍼셉트론과 지도형 학습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았고, 아울러 neuralnet이라는 패키지를 사용하여 공변수들과 반응변수 간의 함수적 관계를 어떻게 모델링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알고리즘은 반응변수 값의 실제치와 예측치 간의 비교에 근거한 오차함수의 최소화를 위한 모수인 가중치들의 계속적인 조정을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설명하는 neuralnet 패키지는 활성화함수와 오차함수를 주어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고 나머지 매개변수들은 기본값으로 둘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불임 데이터에 대해 neuralnet 패키지를 활용한 결과 4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age는 불임에 영향력이 거의 없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신경망의 가중치는 -751.6부터 7.25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값을 취하며, 첫 번째 은닉층의 절편은 -92.6과 7.25이며, 첫 번째 은닉뉴런으로 가는 공변수 age, parity, induced, spontaneous에 대한 가중치는 각각 3.17, -5.20, -36.82, -751.6임을 파악했다.

포장가속시험을 이용한 아스팔트 안정처리층의 피로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atigue Model for Asphalt Black Base by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 여인수;서영찬;문성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11-2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포장가속시험기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안정처리층의 피로모형을 개발하여 기존의 실내실험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아스팔트 안정처리층의 피로모형은 Miner(1945)의 누적파손(Cumulative Damage)가설을 적용하였다. 포장가속시험에 사용된 아스팔트 안정처리층은 골재최대입경 25mm(BB-3)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포장가속시험결과 피로모형의 변수인 포장하부의 최대인장응력은 하중재하회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포장층의 탄성계수는 점차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스팔트 피로모형의 기본식 $N_f=k_1(\frac{1}{\epsilon})^{k_2}$에서 변형률계를 통하여 얻은 인장변형률을 통하여 $k_1=1.29{\times}10^{-6}$, $k_2=3.02$의 값을 도출하였으며, 같은 인장변형률에서의 피로수명은 실내실험을 통한 모형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파괴실험인 FWD를 이용하여 포장의 잔존수명을 추정하는 논리를 개발하였다.

  • PDF

미륵사지 석탑 축기부 토층의 조성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해석 (Interpretation of Construction Technique by Compositional Analysis of Soil Stratum with Basement at the Mireuksaji Stone Pagoda)

  • 이정은;이찬희;이동식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3호
    • /
    • pp.237-253
    • /
    • 2012
  •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시대의 석탑으로 미륵사터에 세워진 탑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국보 제11호이다. 이 석탑은 이미 부분적으로 원형을 상실한 상태로서 현재는 완전히 해체되어 복원을 앞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석탑의 지반에 대한 판축기술 및 제작기법을 해석하기 위해 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및 기단 조성층에 사용된 토층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물리적, 재료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미륵사지 주변에 분포하는 지반 토양 5점을 선정하여 석탑 판축에 사용된 토층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상호간의 동질성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 석탑의 판축에 사용된 모든 토층에서 인위적 첨가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주변 지역의 토양과 물리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륵사지 석탑의 지반은 특별한 정선과정 없이 주변 지역의 토양을 사용하여 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산 표면처리된 상아질 표층의 교원섬유 용해가 레진-상아질간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AGEN DISSOLUTION IN ACID CONDITIONED DENTIN LAYER ON RESIN-DENTIN ADHESION)

  • 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856-868
    • /
    • 1995
  • The effect of collagen dissolution in acid conditioned dentin layer on resin - dentin adhesion was investigated. 160 freshl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randomly and dentin surfaces were exposed. 40 exposed dentin surfaces were not acid conditioned and each 10 of them were applied with bonding agents within dentin bonding systems of All 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Clearfil Photobond and Superbond D - Liner respectively. Each 10 of another 40 exposed dentin surfaces were acid conditioned by the acid within the above four bonding systems respectively and applied with corresponding bonding systems. After acid conditioning of the other 40 exposed dentin surfaces as above, they were treated with 5% NaOCl for 2 minutes, and each 10 of them were applied with the above four dentin bonding systems respectively. The remaining 40 dentin surfaces were acid conditioned and treated with 10% NaOCl for 2 minutes, and each 10 of them were applied with corresponding bonding agents as the above. After the procedures were finished, composite resin (Z -100, 3M Dent. Prod., USA) were applied on the dentin surfaces and light cured. Shear bond strength values were measured. Surface changes of fractured dentin specimens were observed using SEM (Hitachi S-2350, Japa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all of dentin bonding systems, shear bond strengths of non - conditioned specimen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acid conditioned specimens (P<0.05).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ond strengths did not exist between acid conditioned specimens and 5% NaGCI retreated specimens applied with All 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and Clearfil Photobond (P>0.05). However, strength values of 5% NaOCl retreated specimens applied with Superbond D - Liner were lower than those of acid conditioned specimens (P<0.05). 3. In all the applied dentin bonding systems except Clearfil Photobond, bond strengths of 10% NaOCl retreated specimens were lower than those of acid conditioned and 5% NaOCl retreated specimens (P<0.05). 4. The resin - dentin hybrid layer of 4 - $5{\mu}m$ thickness was formed in the acid conditioned specimens applied with All 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and Superbond D-Liner. 5. The resin - dentin hybrid layer of 3 - $4{\mu}m$ thickness was still formed in the 5% NaOCl retreated specimens applied with All Bond 2 and Scotchbond Multipurpose. In addition, this layer was not completely removed after the retreatment with 10% NaOCl.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solution of collagen in acid conditioned dentin layer by NaOCl solution can not be achieved completely and the collagens contribute to the resin - dentin adhesion considerably.

  • PDF

′U자형 골′ 곡두사면의 토양수분 분포와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and Soil Moisture Distribution of ′U-shaped Goll′ Valley Head Slope)

  • 박종관;양해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5-55
    • /
    • 2004
  • 본 논문은 물순환 기구와 지형 발달에 대한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일환으로 조사한 내용 중 'U자형 골' 곡두사면의 강우-유출특성과 수분분포 그리고 지중수이동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U자형 골' 전면에 나타난 fissure와 파이프 입구는 직접유출 성분을 토양 파이프 혹은 토양층에 많은 수량을 유입시킴으로서 토양층의 침식을 가속화시켜 토양 파이프의 확대와 발달에 기여할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토양에 침투한 대부분의 강우가 파이프류로 유출되고, 나머지 일부가 지하수에 공급됨으로서 강우강도가 작은 강우 이벤트에도 선행강우의 효과에 의해서 지하수위와 파이프류가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토양 파이프는 'U자형 골' 곡두사면의 물질수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중수의 비유속은 곡두사면 하단부보다 상단부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고. 강수량에 따라 곡두사면 상단부에 상대적으로 큰 비유속이 부가됨에 따라 'U자형 골' 곡두사면이 상부로 후퇴하는 조건을 제공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딥러닝을 위한 경사하강법 비교 (Comparison of Gradient Descent for Deep Learning)

  • 강민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89-19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을 학습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경사하강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습이란 손실함수가 최소값이 되도록 매개변수를 갱신하는 것이다. 손실함수는 실제값과 예측값의 차이를 수치화 해주는 함수이다. 경사하강법은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매개변수를 갱신하는데 손실함수의 기울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현재 최고의 딥러닝 학습알고리즘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들은 블랙박스형태로 제공되고 있어서 다양한 경사하강법들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경사하강법에서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확률적 경사하강법(Stochastic Gradient Descent method), 모멘텀법(Momentum method), AdaGrad법 그리고 Adadelta법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신경망을 검증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MNIST 데이터 셋을 사용하였다. 은닉층은 2개의 층으로 첫 번째 층은 500개 그리고 두 번째 층은 300개의 뉴런으로 구성하였다. 출력 층의 활성화함수는 소프트 맥스함수이고 나머지 입력 층과 은닉 층의 활성화함수는 ReLu함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손실함수는 교차 엔트로피 오차를 사용하였다.

레이져를 이용한 도핑 특성과 선택적 도핑 에미터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작 (Effects of Laser Doping on Selective Emitter Si Solar Cells)

  • 박성은;박효민;남정규;양정엽;이동호;민병권;김경남;박세진;이해석;김동환;강윤묵;김동섭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54-58
    • /
    • 2016
  • Laser-doped selective emitter process requires dopant source deposition, spin-on-glass, and is able to form selective emitter through SiNx layer by laser irradiation on desired locations. However, after laser doping process, the remaining dopant layer needs to be washed out. Laser-induced melting of pre-deposited impurity doping is a precise selective doping method minimizing addition of process steps.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ovel scheme for fabricating highly efficient selective emitter solar cell by laser doping. During this process, laser induced damage induces front contact destabilization due to the hindrance of silver nucleation even though laser doping has a potential of commercialization with simple process concept. When the laser induced damage is effectively removed using solution etch back process, the disadvantage of laser doping was effectively removed. The devices fabricated using laser doping schem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bout 1% abs. after removal the laser da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