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easing Rate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7초

리튬이온전지용 $LiCoO_2$정극의 도전재료에 따른 초기 충방전 특성 (Initial Charge/Discharge of $LiCoO_2$ Composite Cathode with Various Content of Conductive Material for the Lithium ion Battery)

  • 도칠훈;문성인;윤문수;박천준;염덕형;윤성규
    • 전기화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3-129
    • /
    • 1999
  • 리튬이온전지용 $LiCoO_2$ 전극의 super s black 도전재료의 함량에 따른 초기 충방전 특성을 1 mol/l $LiPF_6/EC+DEC(1:3\;by\;w/w)$의 전해액에서 리튬기준전극에 대하여 4.3 V에서 2.0 V의 전위 구간에 대하여 C/4 및 C/2율로 충방전하여 측정하였다. 최초의 충전과정에서 high impedance충전 특성을 보였으며, super s black도전재료를 $3\%w/w$ 사용한 경우, $0.5 mA/cm^2$ 전류밀도의 충전에서 high impedance의 해소에 따라 $3.82\;{\Omega}\;{\cdot}\;g-LiCoCo_2$의 저항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0.728\;{\Omega}{\cdot}g-LiCoCo_2$의 전극저항과 비교하여 약 7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제2차 충전에의 high impedance해소는 약 $63\;{\Omega}{\cdot}g-LiCoCo_2$으로서 전극저항의 $12\%$ 정도이며, 제1차 충전의 high impedance해소에 비하여 $1.7\%$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제1차 충전 및 방전 비용량은 C/4방전율에서 각각 160-161 및 $153\~155mAh/g-LiCoO_2$으로, 쿨롱효율은 $95.4\~96.4\%$였으며, 비가역 비용량은 약 6 mAh/g-$LiCoO_2$였다. 충전종료 지점에서 측정한 비저항은 도전재료 함량 $2\~7\%w/w$범위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어 비가역 비용량 특성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도전재료의 함량 증가에 따라 용량밀도가 감소하였으며, C/4율 방전에서 super s black함량 $2\%w/w$$2.9\%w/w$의 도전재료를 사용한 전극의 용량밀도는 각각 447mAh/ml 및 431 mAh/ml였다

굴포천 유역 내 수질 및 퇴적물의 오염물질 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ollutant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Gul-po Stream Basin)

  • 안태웅;정재훈;김태훈;김세원;최이송;오종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495-503
    • /
    • 2012
  • 본 연구의 대상지인 굴포천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의 유입, 느린 유속과 하천 복개 등과 같은 유입오염원과 하천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수질이 악화되어 왔다. 특히 하천변의 소규모 영세 공장, 중 상류에 형성된 대규모 공업단지, 지역개발에 따른 인구증가로 인한 생활하수 등은 굴포천의 주오염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포천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수질 및 퇴적물의 오염원에 대하여 조사하고, 수체내에서의 오염현황을 모니터링하며, 퇴적물의 용출량을 평가하고 하천의 수질 및 퇴적물의 문제점 파악을 통한 합리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오염부하량 조사결과, 굴포천 상류에서 하류로 향할수록 유량은 평균 72.8배 증가하였으며, 오염부하량은 평균 SS 111배, BOD 150배, COD 145배, T-N 222배, T-P 312배의 오염부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퇴적물의 오염 농도 범위는 강열감량의 경우 1.29~12.43%, COD는 4,015~37,547 kg/day의 범위로 나타냈다. 영양물질인 T-N, T-P는 각각 94.8~352.5 kg/day, 81.8~372.3 kg/day의 범위를 나타냈다. 퇴적물의 용출속도의 경우, T-N은 -14.46~$156.61mg/m^2/day$의 용출속도를 보였으며, T-P의 경우 -11.53~$26.10mg/m^2/day$의 용출속도를 보임으로서 퇴적물 용출에 의한 내부오염의 가능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굴포천 유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호르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6-Hydroxydopamine(6-OHDA)의 영향 (Effect of 6-Hydroxydopamine (6-OHDA) on the Expression of Hypothalamus-Pituitary Axis Hormone Genes in Male Rats)

  • 허현진;안련섭;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257-264
    • /
    • 2009
  • 6-hydroxydopamine(6-OHDA)는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신경독소로 도파민성 뉴런에 대한 특이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도파민 신호는 중추신경계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데, 이에 따라 파킨슨병 환자와 6-OHDA를 처리한 동물들의 신경내분비 활성에 극심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6-OHDA 주사 모델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회로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6-OHDA에 의한 뇌 카테콜아민 합성의 차단이 성체 수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에 일으키는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생후 3개월의 수컷 흰쥐(SD strain)에 개체 당 $200{\mu}g$의 6-OHDA를 $10{\mu}\ell$의 생리식염수에 녹여 뇌실 내 주사(icv)하였고, 2주 후에 모든 실험동물들을 희생시켰다.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유전자들의 mRNA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total RNA를 추출하여 반-정량적 RT-PCR을 시행하였다. 카테콜아민 생합성에서 속도조절효소로 작용하는 tyrosine hydroxylase(TH)의 경우 6-OHD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고(대조군:6-OHDA군=1:0.72${\pm}$0.02AU, p<0.001), 이를 통해 6-OHDA 주사의 효력을 확인 하였다. 시상하부에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과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CRH)의 mRNA 수준은 6-OHDA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GnRH, 대조군:6-OHDA군=1:0.39${\pm}$0.03AU, p<0.001; CRH, 대조군:6-OHDA군=1:0.76${\pm}$0.07AU, p<0.01). 뇌하수체에서 glycoprotein hormone들의 공통적인 alpha subunit(Cg$\alpha$)과 LH beta subunit(LH-$\beta$) 그리고 FSH beta subunit(FSH-$\beta$)의 mRNA 수준의 경우 모두 6-OHD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Cg$\alpha$, 대조군:6-OHDA군=1:0.81${\pm}$0.02AU, p<0.001; LH-$\beta$, 대조군:6-OHDA군=1:0.68${\pm}$0.04AU, p<0.001; FSH-$\beta$, 대조군:6-OHDA군=1:0.84${\pm}$0.05AU, p<0.01). 이와 유사하게, 6-OHDA군에서의 뇌하수체 adrenocorticotrophic hormone(ACTH) 전사 수준 역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대조군:6-OHDA군=1:0.86${\pm}$0.04AU, p<0.01).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로의 도파민 신경독소 주입에 의해 두 가지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회로인 GnRH-성선자극호르몬 회로와 CRH-ACTH 회로의 전사 활성이 하향 조정됨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상하부로의 CA 입력은 시상하부-뇌하수체 기능 조절을 통해 생식소와 부신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는 것으로, 파킨슨병 환자들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성 기능 장애와 열악한 스트레스 반응을 설명할 단서를 제공한다.

  • PDF

Ureaform, SCU, Melamine의 질소공급력(窒素供給力)과 보리 생육(生育)에 대(對)한 효과(效果) (Effect of Ureaform, SCU and Melamine on Barley Growth and their Nitrogen Supplying Ability)

  • 임선욱;오남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5-273
    • /
    • 1984
  • 본 시험은 우리나라의 밭 토양조건에서 몇 가지 완효성 질소질 비료의 보리에 대한 질소 공급효과를 시험하고저 한 것이며 공시비료는 황입힌 요소 SCU, ureaform, melamine 등의 완효성 질소비료와 대조로써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질산화 저해제로는 thiourea를 처리하였다. 토양조건은 수분함량, pH 그리고 온도를 달리하여 사질양토의 보통 밭토양으로 pot시험 및 실내 배양시험하여 질소 공급력과 보리의 생장에 대한 효과를 생육시기별로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 보고한다. 완효성 질소질비료의 공급능력을 조사한 항온처리 실험에서 항온처리의 초기 2주에서 암모늄태질소로의 최고 전환율을 보였으며, urea, SCU, ureaform 순으로 27~59%, 25~39%, 9~34%이었고 melamine은 5주동안 0.7~4.3%의 낮은 분해를 보였다. 질산화작용에 의한 $NO_3-N$의 생성은 pH6.54와 pH5.84에서는 유사하였으며 pH6.54는 pH4.73보다 더 많은 양이 생성되었다. 토양수분은 암모니아화작용과 질산화작용에 큰 영향을 미쳐 수분함량 20%가 풍건상태보다 $NH_4-N$$NO_3-N$ 생성이 많았다. Thiourea는 4주까지는 질산화작용을 현저히 억제하였고 그 이후에 $NO_3-N$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나 thiourea 무처리보다는 적었다. Pot시험으로 조사된 전 생육기 (출수후 유숙기까지)에 걸친 질소공급력은 SCU, urea가 ureaform, melamine 보다 높았으며 파종전 melamine 처리는 작물에 대하여 장애를 일으켰다. urea에 thiourea 혼합처리는 속효성으로 인한 urea의 과잉 질소 공급을 억제하여 보리의 후기생육에 도움을 주었으며 완효성 질소질비료에 소량의 urea 혼합처리는 조사된 생육기간 동안 질소공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 PDF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에 있어 GnRH Antagonist의 임상적 효용성과 혈중 호르몬 농도의 변화 (Clinical Efficacy and Hormonal Change of GnRH Antagonist in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for IVF-ET)

  • 문신용;천은경;김상돈;최영식;지병철;구승엽;서창석;최영민;김정구;김석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4호
    • /
    • pp.225-234
    • /
    • 2004
  •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GnRH antagonist cetrorelix in women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for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and to determine changes in serum hormone concentrations during cetrorelix administration. Methods: We performed a clinical trial on 30 patients undergoing COH with highly purified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HP-FSH) and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 (GnRHant), cetrorelix. FSH was administrated from day 2 or 3 of cycle with fixed dose and adjusted according to individual response. 0.25 mg of cetrorelix was injected daily subcutaneously from stimulation day 5 until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Daily ultrasound monitoring was performed for growing follicles and serum levels of luteinizing hormone (LH), estradiol ($E_2$) and progesterone were measured daily during cetrorelix administration. Up to 4 embryos were transferred. Results: Mean age of enrolled patients was $32.0{\pm}3.4$ years (mean $\pm$ S.D.). All of 30 patients underwent oocyte pick-up, and embryo transfer was done in 28 patients. The total and mean numbers of received oocytes were 196 and $6.5{\pm}4.7$, the number of fertilized eggs was 111, and the fertilization rate was 56.6%. Total duration of FSH administration was $9.2{\pm}2.2$ days and mean of $24.3{\pm}7.7$ ampules of HP-FSH was administered. Total duration of cetrorelix administration was $5.7{\pm}1.9$ days. Serum LH and progesterone levels were maintained in the range of $1.4{\sim}2.9\;mIU/mL$ and $0.3{\sim}0.6\;ng/mL$, which respectively reflected effective prevention of premature LH surge. Clinical pregnancies were achieved in 9 patients, and overall clinical pregnancy rate was 30.0% per oocyte retrieval, and 32.1% per embryo transfer. Conclusion: GnRH antagonist is safe and convenient for COH for IVF-ET and effective with optimal pregnancy rate.

한우 수정란의 Biopsy 후 배발달율과 동결-융해후 생존성 및 성비 (Survival Rate,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Sex Ratio of Post-thawed Hanwoo Embryo Following Biopsy)

  • 조상래;최선호;김현종;최창용;진현주;조창연;손동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87-294
    • /
    • 2007
  • 성판별을 위한 biopsy 후 수정란의 발달율 및 동결-융해 후의 생존율 조사는 다음과 같다. 한우 체내 및 체외 수정란의 성판별을 위해서 영양막 세포의 일부를 채취하기 위해서 수정란을 biopsy 하였다. biopsy된 수정란의 생존율 조사의 결과는 체내 수정란이 100% 그리고 체외수정란이 90.0%의 결과를 나타내어 체내 수정란이 체외 수정란 보다 biopsy 후의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수정란의 성판별 비율은 체내 수정란에서는 암컷과 수컷의 비율이 46.3%와 53.7%로 각각 나타나 수컷의 비율이 암컷 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체외 수정란에 있어서는 암컷과 수컷의 비율은 40.0% 와 60.0%로 수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성판별된 수정란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은 완만동결 방법에 의한 수정란의 생존율은 체내 수정란에서 58.8 %, 체외 수정란에서는 41.7% 그리고 초자화동결 방법에서는 체내 수정란의 생존율이 77.8%, 체외 수정란은 57.1%로의 결과를 보여 체내 수정란을 이용한 초자화동결 방법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젖소의 건유기 유방염 치료에 있어서 생분해 cephalexin microspheres의 효과 (Effects of Biodegradable Cephalexin Microspheres in Dry Cow Mastitis Therapy)

  • Hwang, Cheol-Ya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8-235
    • /
    • 2002
  • 유방염은 젖소에 있어서 유량의 감소, 유질 저하로 인한 우유 폐기문제, 젖소의 도태, 치료비 및 노동력의 부담등을 초래하는 가장 경제적 손실이 큰 질환이다. 현재까지 비유기 최종 착유 후에 항생제를 주입하는 건유기 치료법이 유방염 관리에 가장 효과적이며 폭넓게 쓰이고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건유기 치료는 건유기 주입 항생제 제품들이 건유기 초기에만 지속적인 활성을 지니기 때문에 건유기 말기와 분만 전기에 있어서의 신규 감염은 방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유기 유방염 관리를 위해 PLGA를 이용한 서방형 생분해 cephalexin microsphere를 제조하여 이의 임상적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PLGA는 무독성의 조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약물 방출 조절 체계의 일환으로 인정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 cephalexin microsphere는 표면에 특징적인 구멍을 가지고 있는 구형 모양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약물 방출 시험에서 초기 과다 방출 이후로 21일간 약물의 방출이 점차 감소한 뒤 3주와 4주 사이에 2차 방출을 보이는 맥동성 방출 양상이 관찰되었다. 현장적용 시험에서는 cephalexin microsphere를 주입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분만 후 신규 감염율 및 치료율, 평균 체세포 수의 변화의 측면에서 볼 때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생분해 microsphere를 이용한 건유기 치료법은 건유기 동안 신규 감염을 예방하고 기감염을 감소시킴으로써 종전의 건유기 치료를 좀 더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적층복합재료구조물의 변형에 미치는 제작조건과 작동조건의 영향에 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Manufacturing and Working Conditions on the Deformation of Laminated Composite Structures)

  • 팜탄눗;염영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65-272
    • /
    • 2013
  •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 FRP)은 복합재료 보트를 만드는 데 주 구조물로 사용되고 그것들 대부분은 몰드에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제품들은 몰드에서 분리될 때나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변형이 생긴다. 그러므로 다양한 제작 및 작동 조건에서 적층복합재료 구조물의 변형에 대한 실험적 조사 및 평가는 필수적이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L-shape과 Curve-shape 시편을 제작하였다. 경화제 비율과 제작온도, 네 가지 작동온도가 입력인자(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출력인자는 시편에서 측정되는 변형이다. 결과로부터 경화제 비율이 높을수록 또한 제작온도가 높을수록 변형이 작게 생김을 알 수 있었다. 작동온도가 상승할 때 초기 변형 값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다. 또한 변형 값이나 입력인자들은 회귀 방정식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었다.

Movement patterns and home range of captive-bred Amur ratsnake (Elaphe schrenckii) juveniles in the natural habitat

  • Kim, Dae-In;Kim, Il-Hoon;Kim, Ja-Kyeong;Kim, Bin-Na;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1호
    • /
    • pp.41-50
    • /
    • 2012
  • To determine the movement patterns, home range, and use of structural features of captive-bred one- or two-year-old Amur ratsnake (Elaphe schrenckii) juveniles in the natural habitat, we radio-tracked a total of 11 juvenile snakes in a mountain valley in Chiak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between August 21 and September 20, 2010 and between June 13 and July 13, 2011. During the first week of the release, most juveniles moved short distances, daily, but they increased their distances after the first week. The body weight of the juvenile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movement rate (dividing the number of movements by the number of relocations), which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mean daily distances moved and the size of both a kernel 50% and 95% home rang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juveniles moved daily, approximately 17 m, and the size of the minimum convex polygon and the 50% and 95% kernel home ranges were 1.8 ha, 0.4 ha, and 3.0 ha, respectively. The released captive-bred juveniles were more frequently confirmed underground or on the ground rather than on rocks or on tre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body condition of released individuals, the seasonal time of the release, and the existence of available prey and shelters in the habita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releasing captive-bred Amur ratsnake juveniles for the rehabilitation of field populations.

Differential Growth of the Reproductive Organs during the Peripubertal Period in Male Rats

  • Han, Seung Hee;Lee, Su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4호
    • /
    • pp.469-475
    • /
    • 2013
  • In mammals, puberty is a process of acquiring reproductive competence, triggering by activation of hypothalamic kisspeptin (KiSS)-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neuronal circuit. During peripubertal period, not only the external genitalia but the internal reproductive organs have to be matured in response to the hormonal signals from hypothalamic-pituitary-gonadal (H-P-G) axi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maturation of male rat accessory sex organs during the peripubertal period using tissue weight measurement, histological analysis and RT-PCR assay. Male rats were sacrificed at 25, 30, 35, 40, 45, 50, and 70 postnatal days (PND). The rat accessory sex organs exhibited differential growth patterns compared to those of non-reproductive organs. The growth rate of the accessory sex organs were much higher than the those of non-reproductive organs. Also, the growth spurts occurred differentially even among the accessory sex organs; the order of prepubertal organ growth spurts is testis = epididymis > seminal vesicle = prostate. Histological study revealed that the presence of sperms in seminiferous tubules and epididymal ducts at day 50, indicating the puberty onset. The number of duct and the volume of duct in epididymis and prostate were inversely correlat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ur RT-PCR revealed that the levels of hypothalamic GnRH transcrip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on PND 40, suggesting the activation of hypothalamic GnRH pulse-generator before puberty onset. Studies on the peripubertal male accessory sex organs will provide useful references on the growth regulation mechanism which is differentially regulated during the period in androgen-sensitive organs. The detailed references will render easier development of endocrine disruption ass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