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ollutant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Gul-po Stream Basin

굴포천 유역 내 수질 및 퇴적물의 오염물질 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

  • Ahn, Tae-Wo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Applied Chemistry, Kyung Hee University) ;
  • Jung, Jae-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Applied Chemistry, Kyung Hee University) ;
  • Kim, Tae-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Applied Chemistry, Kyung Hee University) ;
  • Kim, Sea-Won (K-water,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Choi, I-S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Center for Environment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 Oh, Jong-M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Center for Environment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안태웅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 정재훈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 김태훈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 김세원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 최이송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환경연구센터) ;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환경연구센터)
  • Received : 2011.07.18
  • Accepted : 2012.07.27
  • Published : 2012.07.30

Abstract

The water quality of Gul-po Stream,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been deteriorating because of the inflow of domestic sewage and the industrial wastewater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problems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river including slow flow rate and the covering of river. In particular, the domestic sewage from small-medium sized factories by the river and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by the upper and middle streams of the river, and the domestic sewage from increasing population due to the regional development are the main pollution sources. Thus,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water quality and the sediment affecting Gul-po Stream; monitor the state of pollution in water body; assess the yield of sediment and investigate the water quality of river and the problems arising from sediment; and then suggest reasonable ways to improve the situation. The findings from surveying pollution load shows the discharge increases up to average 72.8 times from the upper stream to the downstream of Gul-po Stream, and pollution load increases up to: SS 111 times, BOD 150 times, COD 145 times, the nutrient T-N 222 times and T-P 312 times on an average basis. As for the pollution concentration range, ignition loss is 1.29~12.43%; COD is 4,015~37,547 kg/day; T-N and T-P 94.8~352.5 kg/day and 81.8~372.3 kg/day, respectively. As for the releasing rate of sediment, T-N is -14.46~$156.61mg/m^2/day$; T-P is -11.53~$26.10mg/m^2/day$, indicating the likelihood of internal contamination due to the elution of sedi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manage Gul-po Stream basin.

본 연구의 대상지인 굴포천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의 유입, 느린 유속과 하천 복개 등과 같은 유입오염원과 하천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수질이 악화되어 왔다. 특히 하천변의 소규모 영세 공장, 중 상류에 형성된 대규모 공업단지, 지역개발에 따른 인구증가로 인한 생활하수 등은 굴포천의 주오염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포천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수질 및 퇴적물의 오염원에 대하여 조사하고, 수체내에서의 오염현황을 모니터링하며, 퇴적물의 용출량을 평가하고 하천의 수질 및 퇴적물의 문제점 파악을 통한 합리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오염부하량 조사결과, 굴포천 상류에서 하류로 향할수록 유량은 평균 72.8배 증가하였으며, 오염부하량은 평균 SS 111배, BOD 150배, COD 145배, T-N 222배, T-P 312배의 오염부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퇴적물의 오염 농도 범위는 강열감량의 경우 1.29~12.43%, COD는 4,015~37,547 kg/day의 범위로 나타냈다. 영양물질인 T-N, T-P는 각각 94.8~352.5 kg/day, 81.8~372.3 kg/day의 범위를 나타냈다. 퇴적물의 용출속도의 경우, T-N은 -14.46~$156.61mg/m^2/day$의 용출속도를 보였으며, T-P의 경우 -11.53~$26.10mg/m^2/day$의 용출속도를 보임으로서 퇴적물 용출에 의한 내부오염의 가능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굴포천 유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기녹색환경지원센터

References

  1. 우효섭, "하천환경개선사업의 평가와 전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기술정보, 214, 1-8(2001).
  2. 김양호, "도시하천의 생태복원을 위한 하천정비 방안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3. 인천광역시, "굴포천 하천정비 기본계획(안)," (2005).
  4. 하천복원연구회, "하천복원사례집," (2006).
  5. 권순국, "우리나라 비점원 수질오염 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환경공학회지, 20(11), 1497-1590(1998).
  6. 환경부, "하천복원가이드라인," (2002).
  7. 김영철, 이재수, "강우시 유역특성에 따른 유출 오염물질 농도곡선의 형상," 대한환경공학회지, 24(4), 633-645(2002).
  8. 환경부, "자연형 하천정화사업 추진지침," (2004).
  9.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수역별 수질/수량 관측망 운영 및 평가," (2007).
  10. 한강유역환경청, "한강고양하류 중권역 물환경 관리계획(2008-2012)," (2007).
  11. 인천시/서울시/부천시/김포시, "통계연보," (2009).
  12. 김건하, 정우혁, 이준배, "하천퇴적물의 영양염류 모니터링,"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838-845(2006).
  13. 신재기, 황순진, 조경제, "평택호와 유역 하천에서 조류생장 잠재력측정,"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6(2), 172-180(2003).
  14. 오종민, 조영철, "소규모 저수지에서 퇴적물로부터 영양염류의 용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9(11),1217-1222(2007).
  15. 조영철, 정세웅, "남양호 퇴적물에서 영양염류 용출 특성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9(12), 1345-1352(2007).
  16. 황종연, 한의정, 유순주, 윤영삼, 천세억, 김태근, "호소 퇴적물의 유기물 분포," 환경영향평가학회지, 8(2), 95-107(1999).
  17. Bold. H. C. and M. J. Wynne, "Introduction to algae. 2nd Ed. Prentice-Hall Inc. Englwood Cliffs," New jersey, pp. 1-720(1985).
  18. Hellawell. J. M.,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Appl. Sci. Pub., 546(1986).
  19. Boers, P. M., "The influence of pH on phosphate release from lake sediment," Water Res., 25, 309-311(1991). https://doi.org/10.1016/0043-1354(91)90010-N

Cited by

  1. Investigation of Nutrient Release from the Sediments Near Weir in the Namhan River vol.35, pp.8, 2013, https://doi.org/10.4491/KSEE.2013.35.8.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