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feed value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1초

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robiotic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 류경선;박홍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37
    • /
    • 1998
  • Two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ing value of probiotics for the broiler chicks. Basal diets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with no supplemental probiotics contained 21% dietary crude protein for the first 3 weeks and 19% for the rest of two weeks. In experiment 1, 0.2 % probiotics containing 2X 10 6 cfu /ml of Saccharomyces cerevisiae(S), Clostridium butyricum(C), Lactobacillus acidophilus(L), Bacillus polyfermenticus(B) were respectively supplemented to control groups. Two hundred day-olo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treatments which had four replicates of 10 chicks each per treatment. Weight gain, feed consurnption,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weekly measured for 5 weeks. The number of intestinal microflora was examined at the end of experiment. In experiment 1,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chicks fed probiotics exhibited a significant respons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for the first three weeks(P<0.01). Weight gain of S or C treatment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for the rest of two weeks, whereas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L and B treatments than S or C treatments (P<0.01). Chicks fed S or 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eight gain(P <0.05) compared to that of control at five weeks of age. FCR of C treatment seemed to improve relative to other supplemental probiotics groups,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number of intestinal anaerobes and Lactobacillus in large intestine of chicks fed probiotics supplem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s(P<0.01). In experiment 2, there were six treatments: Ti, control; T2, 0.2%S; T3, 0.2%S + 0.2%C; T4, 0.2%S + 0.2%L; T5, 0.2%S + 0.2%B; T6, 0.2%S + 0.1%C + o.i%L + 0.1%B. Control diet based on corn soybean meal contained 21% CP and 3,2OOca1 /g ME with no probiotics. There were four replicates of 10 chicks each per treatment. Weight gain of chicks fed probiotic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control groups,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FCR was also improved in probiotics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biotics supplementation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l probiotics improved weight gain, feed efficiency for the first three weeks of young broiler chicks, whereas supplementation of C, L, B combined probiotics to young broiler chicks was not superior to those of single or two probiotics.

  • PDF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Caecal Coliform Bacteria Count of Broiler Chicks Fed Diet with Green Tea Extract

  • Erener, Guray;Ocak, Nuh;Altop, Aydin;Cankaya, Soner;Aksoy, Hasan Murat;Ozturk, Erg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8호
    • /
    • pp.1128-1135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green tea extract (GTE) on the performance, carcass and gastrointestinal tract (gut) traits, caecal coliform bacteria count, and pH and color (CIE $L^*$, $a^*$, and $b^*$) values of the breast muscle in broilers. A total number of 600 day-old broilers (Ross 308) was allocated to three treatments with four replicates containing 50 (25 males and 25 females) birds. The dietary treatments consisted of the basal diet as the control (0GTE) and diets with GTE at 0.1 (0.1GTE) or 0.2 (0.2GTE) g/kg. Body weights and the feed intake of broilers were measured at 1, 21 and 42 days, the feed intake was measured for different periods and the feed conversion ratio was calculated accordingly. At 42 day four birds per replicate were slaughtered for the determination of carcass and organ weights, caecal coliform bacteria count, and also quality of the breast muscle. The dietary GTE increased the body weight, feed efficiency, carcass weight and dressing percentage and decreased caecal coliform bacteria count of broilers (p<0.05). The 0GTE broilers consumed (p<0.01) less feed than the 0.1GTE birds in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 relative abdominal fat weight and gut length of broilers in the 0.2GTE were tended to be lower (p<0.07) than those in the 0GTE group. The breast meat from 0.1GTE birds had a lower pH value when compared to that from 0GTE birds. The 0.1GTE broilers had lighter breast meat than 0GTE and 0.2GTE birds. The dietary GTE increased $a^*$ and $b^*$ values of the breast meat. Thus this product appeared to have a measurable impact on CIE color values of the breast meat in broil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may indicate that the improved production results in the group with added GTE are directly connected with physiological mechanisms such as the regulation of the caecal micro-flora.

수입 조사료의 사료가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Nutritive Value of Imported Roughages)

  • 이형석;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3-308
    • /
    • 2000
  • 본 시험은 국내에서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는 몇 가지 수입 조사료를 충남지역 소재 개인 도매상으로부터 1999년 수집 하여 화학적 성 분, 건물 소화율, 건불 섭취량, 상대적 사료가치 및 건초 등급 등을 분석하여 수입 조사료에 대한 품질을 비교 평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된 조사료는 옥수수 베일, 톨 페스큐 straw, 그린셀(사탕수수 잎), 버뮤다그라스 straw, 리드카나리그라스 straw, 알팔파 베일, 사탕수수 베일과 연맥 건초 등 8종이었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 재배한 혼합건초에 비하여 알팔파 베일을 제외한 공시된 대부분의 수입 조사료원은 대 체적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낮고,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더욱이 수입 조사료의 건울 소화율, 건물 섭취량, 상대적 사료가치(RFV) 빚 건초등급 등은 대조구인 흔합건초와 비교할 때 알팔파 베일을 제외하고는 현저히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입되는 조사료에 대해서는 품질을 고려한 경제가치의 검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Reed Canarygrass 초지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IV. 질소시비수준이 `Palaton` Reed Canarygrass의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ed Canarygrass IV.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on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of `palaton` reed canarygrass)

  • 서성;조무환;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8-123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trogen (N) fertilization level (0, 70, 140, 280 and 420 k a a )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 (DM) production, numtive value,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reed canarygrass (Phalaris ancndinacea L.) pasture. \ulcornerhe cultivar used in this study was Palaton, and the grass was harvested at soiling-hay stage (3 times per year) in 1992 and 1993. As the N level was increased, the plant height, DM produdion, and crude protein (CP) cont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hen the N was applied at the levels of 0, 70, 140, 280, 420 kg, DM yields were 4,540, 5,316, 6,060, 7,923 and 9,960 kgha, and CP contents were 17.6, 17.4, 17.4, 18.4 and 19.8%, respectively. However, as the N level was increased, DM percentage, total digestible nutrients, and relative feed value were decreased, while the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and bareland were continuous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plot of N 420 kg fdz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reed canarygrass was one of the sensitive pasture grasses to N fertilizer, and the proper amount of N application was 280 kg/ha/yr for desirable production, nutritive value,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r e d conarygrass pasmre.

  • PDF

Effects of alfalfa and alfalfa-grass mixtures with nitrogen fertilization 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nutritive value

  • McDonald, Iryna;Baral, Rudra;Min, Dooh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305-318
    • /
    • 2021
  • Alfalfa (Medicago sativa L.) is an important forage legume grown in Kansas, USA and its productivity with cool-season grasses however is unknow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ry matter yield (DMY) and forage nutritive value of alfalfa-grass mixtures compared to those of alfalfa and grasses grown in monoculture with and without nitrogen fertilization. Three different alfalfa varieties were planted (reduced-lignin alfalfa, Roundup Ready, and conventional alfalfa) and two kinds of cool-season grasses (smooth brome, Bromus inermis Leyss, and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were planted as a monoculture or in alfalfa-grass mixtures. Nitrogen fertilizer (urea) was applied at green-up at a rate of 56 kg/ha and after the second cutting at a rate of 56 kg/ha in 2016 and 2017, respectively. and control treatments received no nitrogen. DM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noculture alfalfa and alfalfa-grass mixtures than in grass monocultures. Between alfalfa monoculture and alfalfa-grass mixtu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MY were found. For all treatments, nitrogen appl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DMY compared to the control. In 2016 and 2017, the low-lignin alfalfa monoculture had the lowest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he grass monocultures had the highest ADF. In 2016 and 2017,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 smooth bromegrass and tall fescue was higher than in other species treatments. A low-lignin alfalfa monoculture had significantly lower NDF concentration compared to alfalfa-grass mixtures. When averaged over 2016 and 2017, relative feed value (RFV) was highest in low-lignin alfalfa and lowest in the grass monocultures. In both years,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did not affect nutritive values.

참나무류와 리기다소나무 간벌재를 이용한 목질 조사료 제조 및 사료가치 평가 (Manufacturing and Feed Value Evaluation of Wood-Based Roughage Using Lumber from Thinning of Oak and Pitch Pine)

  • 김석주;이성숙;백열창;김용식;박미진;안병준;조성택;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51-860
    • /
    • 2015
  • 참나무류와 리기다소나무 간벌재 칩을 사용하여 각각 60, 90, 120분 동안 증기 가열(증해) 처리하여 조사료를 제조하고 정유 함량을 비교하였다. 두 수종 모두 증해 처리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정유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90분과 120분 처리했을 때 $0.1m{\ell}/kg$ 이하의 정유 함량을 보였다. 90분 증해 처리하여 제조된 조사료의 사료로써의 가치를 화학성분 조성, NRC (National Research Counsil) 모델링, 반추위 소화율, 영양성분 대비 상대적 경제 가치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참나무류 조사료의 DM (dry matter; 건물), CP (crude protein; 조단백), EE (ether extract; 조지방), NDF (neutral detergent fiber; 중성세제섬유소), ADF (acid detergent fiber; 산성세제섬유소), ADL (acid detergent lignin; 산성세제리그닌), NFC (nonfiber carbohydrate; 비섬유소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95.4, 1.36, 3.11, 90.05, 83.85, 17.33, 6.50 %로 측정되었고, 리기다소나무 조사료는 각각 94.37, 1.33, 5.48, 87.89, 86.88, 30.56, 6.32%로 측정되었다. NRC 모델링을 이용한 영양평가에서는 참나무류 조사료가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40.55%, DE (digestible energy) 1.79 Mcal/kg이었고 리기다소나무 조사료가 TDN 31.22%, DE 1.38 Mcal/kg으로 나타나 참나무류 조사료가 더 높은 영양가를 가진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추위 내 건물소화율은 참나무류 조사료(18.07%)가 리기다소나무 조사료(10.02%)보다 높았다. 영양성분 대비 상대적 경제 가치는 참나무류 조사료는 235원, 리기다소나무 조사료는 210원으로 나타났다.

파종시기가 테오신트 [Zea mays L. subsp. mexicana (Schrad.) H. H. Iltis] 신품종 "극동 6호"의 생육 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D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Teosinte New Variety, "Geukdong 6" [Zea mays L. subsp. mexicana (Schrad.) H. H. Iltis])

  • 김경숙;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16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되어 국내에 보급하고 있는 Teosinte [Zea mays L. subsp. mexicana (Schrad.) H. H. Iltis] 품종인 극동 6호의 파종시기가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파종 시기는 각각 5월 10일(T1), 5월 25일(T2), 6월 10일(T3), 6월 25일(T4) 및 7월 10일(T5)로 하고 수확은 10월 22일 동일 날짜에 하였다. 따라서 재배기간은 T1, T2, T3, T4 및 T5구가 각각 164, 149, 134, 119, 103일로 난괴법 5처리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초장과 고사엽은 T1구에서(p<0.05), 엽폭과 엽수는 T2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엽장, 경의 굵기 및 분얼수는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경도는 T1(2.0)> T2(1.9) > T3, T4(1.7) > T5($1.2kg/cm^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생초 및 건물수량은 파종시기가 빠르고 재배 기간이 길었던 T1 > T2 > T3 > T4 > T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및 TDN 함량은 T5가 다른 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ADF 및 NDF 함량은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조단백질 수량은 T1, T2 및 T3구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T4 및 T5구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TDN 수량은 T1 > T2 > T3 > T4 > T5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사료가치는 T5 > T4 > T3 >T2 > T1 구 순으로, 파종시기가 늦고 재배기간이 짧을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당 성분들에 있어서는 당도, Fructose, Glucose, Isomerose, Inverted sugar 성분에서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Dextran 성분은 T5구에서 만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극동 6호의 파종 시기는 5월 상순에서 하순사이에 파종하여 약 150일 이상 재배한 후 수확하는 것이 건물수량과 영양수량 생산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청우밀의 수확시기가 생산성 및 조사료 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Yield and Forage Value of a Winter Wheat Cultivar 'Cheongwoo')

  • 오서영;서종호;최지수;김태희;오성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2-181
    • /
    • 2023
  • 국내 조사료 자급률을 높이고 양질의 동계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청우밀을 대상으로 출수기 후 생육 단계별로 조사료 생산성과 사료가치 등을 분석하여 적정수확시기를 살펴보았다. 청우밀의 생육단계별 지상부 생산량은 출수 후 30일까지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지상부에서 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은 출수 후 30일까지는 40% 이하로 낮았지만 그 이후에는 6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출수 후 30일에 청우밀 지상부의 단백질 함량과 상대적 사료가치(RFV)가 최고점에 달하는 반면 산성세제불용섬유소(ADF)와 중성세제불용섬유소(NDF)는 낮았다. 또한 청우밀 지상부의 무기질 성분들이 반추가축이 필요로 하는 적정기준 범위 내에 있거나 최대 허용 수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따라서 반추가축의 조사료로 활용하기 위한 청우밀의 수확시기는 조사료 생산성, 사료가치 등을 고려하였을 때 출수 후 30일 전후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출수 후 30일에 조사료를 수확하면 시기적으로 2모작 작부체계 시 후작인 벼의 이앙이나 밭작물 파종에도 유리할 것으로 나타났다.

파종시기가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품종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utumn Seeding Date on the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Varieties)

  • 김성진;김인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9
    • /
    • 2007
  • 본 실험은 중부지방에서 헤어리 벳치 품종의 봄철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를 알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가을철 파종시가가 빠를수록, 봄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건물수량이 증가되었다. 건물수량은 조기예취에서 Ostsaat > Welta > Vv4712 > Penn-02 > Common > Minnie, 만기 예취에서는 Welta > Ostsaat > Penn-02 > Common > Vv4712 > Minnie의 순으로 많았다. 2. 단백질 수량은 가을철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봄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조기예취에서 조단백질 수량은 Ostsaat > Welta > Vv4712 > Common > Penn-02 > Minnie 순이었고, 만기예취에서는 Welta > Ostsaat > Common > Penn-02 > Vv4712 > Minnie 순으로 많았다. 3. TDA 수량은 조기예취에서 9월 10일 파종시기에서 1,894kg/ha로 가장 많았고, 만기예취에서는 9월 20일 파종시기에서 4,119kg/ha로 많았지만 다른 파종시기 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품종에서는 Ostsaat와 Welta의 수량이 많았다. 4. ADF 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ADF 함량은 조기예취에서 Minnie가 32%로 가장 낮았고, Ostsaat가 34.1%로 가장 높았지만, 만기예취에서는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NDF 함량은 조기예취에서는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만기예취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인정되지 않았다. 품종에서는 Vv4712와 Ostsaat가 38.9%와 39.8%로 유의하게 높았다. 만기예취에서는 Ostsaat가 4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6. RFV는 조기예취와 만기예취에서 평균 157%와 132%로 모든 품종이 높은 사료가치를 나타냈다.nce, self-transcendence 점수를 보였다. 결론: 계절성과 성격 및 기질적인 부분이 서로 연관성을 보였다. 이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로서 여기에서 보인 결과들은 임상적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지털 이미지에 이르게 되었는지 테크놀로지 미학 안에서 자동생성주의로서 색인 이미지, 디지털 코드로서 수치 이미지의 생성, 기원, 본질 그리고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고는 논지의 정당성을 위해 다양한 매체미학자들의 주의주장 및 이론적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 분석틀을 통해서 테크놀로지 미학의 근간인 기계, 기술성을 바탕으로 한 사진의 생성적 측면과 문화 안에서 변형된 프로그램에 의해 창조되는 디지털 이미지의 변형적 측면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렇게 사진과 디지털 이미지의 양자의 비교를 통해서 테크놀로지 미학 안에서 올드 미디어(사진)와 뉴 미디어(디지털 이미지)의 자리바꿈은 정당한 것이라는 사실과, 이런 역설적인 구조야말로 기계, 기술을 바탕으로 삼는 테크놀로지 매체의 숙명성이라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논문의 정당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고는 하나의 얼굴,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역사로서 확증하고, 또 사진에서 부동의 존재론과 인식론의 모습은 애초부터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지적함으로써 오늘날 제기되고 있는 '사진의 죽음,' '사진의 종말'은 쟁점의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매체미학의 역사를 간과하는 오도된 비평이라는 사실을 결론으로 도출하고자 한다.적인 상호교착(chiasme)의 논리를 잘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현대 미술의 흐름에서 시지각과 신체의 상호작용, 혹은 신체성의 개입에 대한 변화를 확언하기 위하여 지각과 신체의 위치를 모더니즘, 미니멀리즘, 후기미니멀리즘, 그 이후의 미술이라는 사적인 흐름의 큰 틀 속에서 살펴보았으며,

  • PDF

만추 방목기간의 연장이 이듬해 봄 목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on Grass Growth in Following Spring)

  • 조익환;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1-168
    • /
    • 2000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on grass growth in following spring, in order to improve the rate of self-sufficiency for roughage feed. Plant height, total biomass and litter production of herbage were increased when the grazing was finished early in late autumn. The proportions of clover and litter, and amounts of animal intake were decreased, with extended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But when the grazing was finished late in autumn,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 of herbage were increased, contents of acid detergent fiber (ADF, %), neutral detergent fiber (NDF, %) and crude ash (%) were decreased in pasture after grazing, therefore the contents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herbage were improved. The early end grazing showed that plant height, total biomass and litter production of herbage in following spr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late end grazing. However, increased yiel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nd grazing treatments (0.12-0.15 tonha), except for the final end grazing in late autumn (0.01 tonha). With extended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the contents of CP of herbage in following spring were increased, contents of ADF, were decreased, and RFV were improved. (Key words :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Plant height, Biomass, Amount of intake, Increased yield, Crude protein, TDN) rll\ulcorner c# qiil x i 9 ~ 1 a% *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Taegu Univ., Kyongsan, 71 2-714, Korea) * $4 4 qiil 34 qq(Co1lege of Liberal Arts & Sciences, Yonsei Univ., Wonju, 220-701, Korea) '* 8 * jL@%ft@ &@%(Faculty of Agriculture, Hokkaido Univ., Sapporo, 060 Jap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