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ship Addiction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24초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행태와 인터넷 중독증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s of internet utilization and the internet addiction)

  • 안영준;김자옥;문경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83-1091
    • /
    • 2013
  • 인터넷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인터넷 중독증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었으나 인터넷 중독증에 대한 임상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용 행태와 인터넷 중독증을 파악하여 임상연구와 교육중재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인터넷 사용 행태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광주광역시 2개의 중학교의 1,984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인터넷 중독증은 전체 대상자의 11.8% 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증은 성별, 종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고, 인터넷 사용 행태와 인터넷 중독증과의 관계에서는 인터넷 사용량 시간, 사용 시간대, 사용 장소, 성인 사이트 이용 행태, 사용 목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터넷 중독성의 경중에 따라 의료진에게 정신과적인 상담과 약물 치료를 받거나 인터넷 바로 알고 유용하게 이용하기, 즐거운 활동과 꿈 찾기, 과거와 미래의 인생 곡선과 자신의 현재 욕구를 찾아 긍정적인 부분을 강화하면서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찾아보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본인 스스로 인터넷 사용을 줄이고 싶은 동기를 내재화 시켜 인터넷 게임 지향적인 활동을 억제 할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 정구철;문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46-156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을 조사하였으며, 매개효과는 Preacher와 Hayes(2008)의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붓스트랩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일상생활장애, 몰입 및 내성, 부정정서의 회피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과 부모 및 학교·학원 교사와의 관계의 영향: 초·중·고 학교급별 비교분석 (The Effects of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chool/institute Teachers as Protection Factors for Game Addi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송인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98-314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서 청소년들이 맺고 있는 주요 성인들과의 관계요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와 학교 및 학원교사와의 관계가 초·중·고 학교급별로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2019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N=7,454)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인관계는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게임이 용행태 요인 그리고 친구관계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청소년의 게임중독 수준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유일하게 모(母)와의 원만한 관계가 게임중독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부(父)와의 관계가 오히려 게임중독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청소년과 학교교사의 원만한 관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보호효과는 중학생 집단에서만 확인되었으며, 기대와 달리 학원교사와의 관계는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을 위한 논의와 향후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학생들의 휴대폰 중독과 우울, 불안,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ellular Phone Addiction, Depression, Anxie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Students)

  • 장성화;오은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259-26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cellular phone addiction, depression, anxie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y examining 284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e fifth and sixth graders in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was done by dividing two groups with top 25 percent and the lowest 25 percent of group(addicts' group vs. non-addicts' group), and 144 out of 28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urvey, it turned out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the addiction are school life satisfaction, learning, classroom setting, and school events, including the top variables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a further point is tha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xiety, depression, physical setting, and class satisfaction show how much students are addicted to cellular phone.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limitation and efficiency of the study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Area

  • Oh, Won-Oa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135-1144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nd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addiction tendenc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area. Methods. A total of 450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were survey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Results.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as relatively low (Average user). In the overall ratio distribution, however, students who were classified as either addicted or at risk of addiction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27%.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expectation, depression and parent control over Internet use.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rent support and self-contro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was depression. Conclusion.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taking into account for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d Internet use habits. In the future study, the need assessment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this preven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phone Detox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Buctot, Danilo B.;Kim, Nami;Park, Kyung 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4호
    • /
    • pp.1-9
    • /
    • 2018
  •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smartphone detox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reduce the rat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negative effects on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ness, a six-session program was applied to sixteen participants who voluntarily completed the entire program and responded to pre-post survey.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SAPS) was used for smartphone addiction assessment with Mental Health Sca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for mental wellness and Self-Management Scale for physical and social wellness. Results received after the program indicated that,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score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average scores of self-manage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creased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rate of high-risk group decreased, and the participants, affirmed in their self-evaluation report that excessive use of smartphone negatively affects their body, min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us, smartphone detox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smartphone addiction and improving the students' wellness.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6-64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대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관적 웰빙과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및 스마트폰 중독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웰빙과 개인내적 임파워먼트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주관적 웰빙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스마트폰 중독의 개선을 위한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of Smartphone Addiction to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Ethics)

  • 단현주;배노연;구종모;오향화;김미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7-28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atu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eth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0 and June 23, 2014.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214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Seoul.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net ethics. Data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Of the nursing students, 14.5% had high level of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16.8% had potential risk. Higher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 of Internet ethics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Voluntary-control in Internet ethic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may lowered in nursing students by intensifying Internet ethics especially voluntary-control.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net ethics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the effective use of smartphones.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이 인지와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미디어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지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the Use of Smart Media on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Guidance on Smart Media Usage)

  • 김은지;전귀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3-29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mart media usage in regards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guidance on smart media usage. The study surveyed 273 preschoolers' mothers who lived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media usage time in regards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Second, maternal active mediation and monitor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mart media usage time and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Third, there was a maternal co-use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on language development. In conclusion,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tion tendency mediated the effect of smart media usage time on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mong the mediation pathways,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on language development was moderated by maternal co-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guidance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examined preschoolers' and maternal smart media-related variables on preschooler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hat can be used to explore the maternal guidance on how to use smart media for their preschool children.

대학생의 정서적 공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마트폰 중독의 구조모형 연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mpathy and Smart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이유리;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23-329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공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서적 공감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적극적 대처방식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가, 소극적 대처는 스마트폰 중독을 악화시키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영향력 분석결과, 여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더 높고, 남학생의 경우 적극적 대처방식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중재할 수 있는 유용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