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문종호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5.04.21
  • Accepted : 2015.06.03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t was conducted to measure anger expressio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rom 252(132 male, 120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Preacher and Hayes' SPSS Macro and bootstrapping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anger expressi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anger-ou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anger-ou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disturbance of adaptive life and control failure, preoccupation and tolerance, avoidance of negative emotions. Forth, anger-in and anger-control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virtual life orientation and withdraw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addition, this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을 조사하였으며, 매개효과는 Preacher와 Hayes(2008)의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붓스트랩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일상생활장애, 몰입 및 내성, 부정정서의 회피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it.co.kr/news/mediaitNewsView.php?nSeq=2552723
  2.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 2014.
  3. 이한석, "SNS 디지털 환경의 특성이 문화콘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정보적 참여, 감정적 애착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336-34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336
  4. 박선영, "SNS를 통한 구전 효과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0-5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040
  5. P. A. Kirschner and A. C. Karpinski, "Facebook and academic performans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No.6, pp.1237-1245, 2010. https://doi.org/10.1016/j.chb.2010.03.024
  6. D. Karaiskos, E. Tzavellas, G. Balta, and T. Paparrigopoulos, "Social Network Addiction: A new clinical disorder?," European Psychiatry, Vol.25, Sup.1, p.855, 2010. https://doi.org/10.1016/S0924-9338(10)70846-4
  7. 박웅기,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社會科學硏究, 제27권, 제1호, pp.95-125, 2014.
  8. 조성현, 서경현,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1호, pp.239-250, 2013.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10. 조영재, 이동훈, "남자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2권, 제4호, pp.845-866, 2013.
  11. 권석만, 한수정,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2000.
  12.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Student British Medical Journal, Vol.7, pp.351-352, 1999.
  13. 김보경, 성인애착이 스마트폰 및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 오윤경,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박미향, 김정숙, 함경애,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제21권, 제2호, pp.189-206, 2014.
  16. 강선희, 정남운,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969-990, 2002.
  17. H. Kohut,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7.
  18. P. Wink,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4, pp.590-597,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4.590
  19. 정병완, 홍혜영,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1호, pp.183-201, 2015.
  20. 류경희, 홍혜영,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 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57-183, 2014.
  21. Y. Amichai-Hamburger and G. Vinitzky, "Social network use and personal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No.6, pp.1289-1295, 2010. https://doi.org/10.1016/j.chb.2010.03.018
  22. J. R. Averil, "Studie Sonanger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38, No.11, pp.1145-1160, 1983. https://doi.org/10.1037/0003-066X.38.11.1145
  23. C. D. Spielberger, S. S. Krasner, and E. P. Solomon,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s), Individual differences, stress, and health psychology, NY: Springer Verlag, 1988.
  24. R. F. Baumeister and J. J. Exline, "Self-control, morality, and human strengt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19, pp.29-42, 2000. https://doi.org/10.1521/jscp.2000.19.1.29
  25. 윤경희, 배정규, 임영진, "대학생 편집성향집단과 우울성향집단의 역기능적사고, 분노사고, 분노표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3호, pp.769-790, 2014.
  26. 백승혜,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분노표현 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7권, 제4호, pp.1001-1017, 2008.
  27. 박상혁, 노윤경, 조은혜, 이동귀, "분노표현양식 에 따른 하위집단 간 대인관계문제 및 행복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3호, pp.77-92, 2011.
  28. 송미경, "대학생의 분노, 소외감이 알코올중독,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제36권, pp.60-83, 2013.
  29. 진은영, 서영미,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표현, 자살생각 및 인터넷 중독 정도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30-4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430
  30. 임지영, "남자중학생들의 게임중독과 분노행동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227-23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227
  31. S. Akhtar and J. A. Thomson,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chiatry, Vol.139, pp.12-20, 1982. https://doi.org/10.1176/ajp.139.1.12
  32. 이장호, 한덕웅, 전겸구,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척도(STAXI-K): 대학생 집단",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3권, 제1호, pp.18-32, 1998.
  33. K. J. Preacher and A. F. Hayes,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0, pp.879-891, 2008. https://doi.org/10.3758/BRM.40.3.879
  34. 김시원, 박경,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폭력 가해자와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0호, pp.121-141, 2012.
  35. 백승혜, 현명호,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7권, 제4호, pp.1001-1017, 2008.
  36. 김은혜, 서수균,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적대감 사이에서 부적응적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2권, 제3호, pp.533-548, 2013.

Cited by

  1. INTEGRATING PSYCHOSOCIAL AND COGNITIVE PREDICTOR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ADDICTION TENDENC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59, pp.4, 2016, https://doi.org/10.2117/psysoc.2016.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