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edness Need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부모-자녀관계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유신복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466-47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basic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8 college students.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21.0 program, Amos 21.0. Additionally,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research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alternative structural model. The final SEM model fit indices of $x^2$(df), CFI, TLI, RMSEA were met the acceptable criteria of model fitness. In other words, among the goodness-of-fit indexes of the final study model, $x^2=261.075$(p<.001), RMSEA is .082, TLI equals .925, CFI equals .940.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Parental attachment has a direct effect 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lso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ve a direc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Second, Competence and relatedness showed a mediating effects on Parental attach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모의 과보호가 중학생 자녀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others' Overprotection on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 백미영;이소연
    • 아동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18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i.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292 middle school students (52.7% girls) living in Gyeonggi.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PROCESS macro by Hayes (2013)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software. Results: Adolescents' autonomy and relatedness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ll adolescents. In the case of male adolescents, only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Both mothers overprotection and adolescents' autonomy and relatedness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gender is an important factor when understanding the mediating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mothers' overprotection and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청소년의 자율성 및 관계성 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개인 주의-집합주의 가치관에 따른 차이 (Autonomy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Focusing on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al Values)

  • 홍승빈;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16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ultural value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autonomy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of adolescent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A total of 506 high school students(M age = 16.2) in Korea completed self-reported measures of needs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ultural values, an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autonomy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adolescents' well-being. Second, Collectivistic-Individualistic value moderated the associations. Especially, only for collectivism oriented adolescents, the positive effect of autonomy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when their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high.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both autonomy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i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underscore the moderating role of cultural values.

일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심리적 욕구와 건강증진행위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 서영미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126-13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targeted older women. Methods: Subjects were 181 women older than 60 years who agreed to participate and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 trained investigator collected dat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competence, related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74.7 years old. Factors showing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age, educational level, family type, economic status, current health status, competence, and relatednes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hat age, current health status,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factors affect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mpetence and relatedness ar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older wom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competence and relatedness for developing a health promoting program.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Concealment, Satisfy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Commitment of Romantic Relationship in Early Adulthood)

  • 채지은;박정윤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3호
    • /
    • pp.305-323
    • /
    • 2021
  •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은폐와 이성관계 헌신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현재 이성교제 중인 20-29세 성인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v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성별, 연령, 이성교제 기간이 이성관계 헌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본심리욕구 중 관계성을 충족하는 것이 이성관계 헌신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자기은폐가 이성관계 헌신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와 이성관계 헌신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졌다. 초기 성인기의 이성관계 헌신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자기은폐를 낮추고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성을 충족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변인들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려고 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초기 성인기의 이성관계 헌신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의 근거를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개체중의성해소에서 의미관련도 활용 효과 분석: 한국어 위키피디아를 사용하여 (An Effect of Semantic Relatedness on Entity Disambiguation: Using Korean Wikipedia)

  • 강인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11-118
    • /
    • 2015
  • 개체 링킹은 텍스트에 출현하는 개체 표현을 위키피디아 등의 지식베이스 항목으로 연결하는 작업이다. 동일한 개체 표현을 공유하는 서로 다른 개체들의 존재로 인해 개체 링킹에서는 개체 표현의 중의성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개체 중의성 해소를 위한 최근 연구에서는 공기 개체 의미관련도를 중심으로 개체 출현 선험 확률와 공기 용어 정보 등을 결합하는 시도들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의미관련도의 왕성한 활용에도 불구하고 의미관련도 기반 방법이 개체중의성해소에 미치는 순수 효과를 분석 제시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 연구는 NGD, PMI, Jaccard, Dice, Simpson 등 서로 다른 의미관련도 지표의 차이, 공기개체집합 내 중의성 정도의 차이, 개별적/집단적 중의성해소 방식의 차이의 세 가지 관점에서 의미관련도 기반 개체중의성해소 방법들을 한국어 위키피디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제시한다.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간호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utonomy, Competency, Relatedness on Burnout among Nurses)

  • 조영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491-500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3년 10월 25일부터 11월 25일까지 6개 종합병원의 16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으며, 자료 수집방법은 자가 보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소진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결혼유무, 종교, 교육정도, 근무부서, 경력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소진과 기본심리욕구(r=-.59, P<.001)의 하위 변수인 자율성(r=-.45, P<.001), 유능감(r=-.52, P<.001), 관계성(r=-.49, P<.001)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간호사의 소진에 대하여 자율성(${\beta}=-.26$), 유능감(${\beta}=-.30$), 관계성(${\beta}=-.12$), 연령(${\beta}=-.17$), 경력(${\beta}=.09$)은 34.3%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기본심리욕구의 하위변수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골프 참여자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정서, 그리고 운동지속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Golf Participa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

  • 범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27-134
    • /
    • 2017
  • 본 연구는 골프 참여자들의 기본적 심리욕구, 운동정서, 그리고 운동지속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종 230부의 설문지들을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골프 참여자들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정서의 관계에서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은 긍정적 정서를 높이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능성만이 부정적 정서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과 관계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검증되지 못했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은 운동지속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들의 운동에 대한 긍정적 정서는 운동지속행동을 높이고, 운동에 대한 부정적 정서는 운동지속행동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접효과에서는 기본적 심리욕구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모두 정서를 매개하여 운동지속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운동지속행동으로부터 신체 활동의 진정한 가치를 찾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여러 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운동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기본 심리욕구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Self-esteem of the Exercise Participants)

  • 이건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90-498
    • /
    • 2016
  • 본 연구는 운동 참여자의 자아 존중감이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2014년 J도의 시지역에서 운동 참여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7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회수된 설문지는 Windows용 SPSS version 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인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영향력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 참여자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기본 심리욕구 만족의 하위요인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자의 유능성, 자율성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성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참여자들이 운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참여자들의 기본적 심리욕구 충족에 대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과 전략적인 지도활동이 전개될 필요가 있다.

ERG요인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ERG Factors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Job Fit)

  • 장준호;경성림;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3-28
    • /
    • 2021
  • 본 연구는 ERG 구성요소들인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에 초점을 맞춰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ERG 구성요소들이 직무적합성을 매개로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조직애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핵심 변수로 직무적합성의 매개역할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내 공기업, 서비스업, 제조업, 유통업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ERG 세 개 하위요인들은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는 모두 직무적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직무적 합성은 조직애착 수준을 높여주는 요소로 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개인직무적합성은 ERG 세 개 하위요인과 조직애착간의 관계에 있어서 모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중에서 직무적합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실무적 시사점들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