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r walking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19초

에어로빅운동이 비만여대생의 신체조성, 심폐기능, 혈청지질 및 항산화물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Serum Lipid and Antioxidants of Obese College Female Students)

  • 정은숙;박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5-14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serum lipid level and antioxidants of obese and normal college female students. The subject group was made up of 13 normal students (below 30% body fat ratio) and 12 obese students (above 30% body fat ratio). After a pretest, the subjects were given an 8-week aerobic program. Then the subjects were given a posttest and analyzed of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level, antioxidants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after the 6th and the 8th week of the program. The program schedule was made up of 4 days per week, 60 minutes per day. Test includes B.W., subscapular and triceps subcutaneous fat thickness, change of respiratory gas, and two blood sampling before treadmill exercise and post all out state, which analyzed serum lipid and antioxidants. The subjects performed treadmill exercise starting with 4km/hr of walking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peed of 1km/hr per minute until all out state.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here were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Duncan Multiple range test, paired-t test and t-test. The test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were as follows ; Percent body fat was significantly reduced 6 weeks after the program and lean body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8 weeks after the program in both groups(obese group: F=3.44 P=.044, normal group: F=3.30 P=.048). subscapular skinfold of the obese group showed a remarkable decrease after the 6th week(F=4.33 P=.021) triceps skinfold of the normal group showed a remarkable decrease after the 6th and the 8th week(F=4.55 P=.017) compared with readings before the aerobic program, the aerobic program made a bigger difference concerning body fat, lean body mass, subscapular skinfold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t=2.41 P=.024, t=2.40 p=.025, t=2.43 p=.028). 2.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unction were as follows ; Maximal $O_2$ uptake/k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6 weeks after the program in the obese group(F=3.20 P=.054), but not m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ormal group. Maximal pulse rat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groups after 6 weeks of the program(obese group: F=2.77 P=.087, normal group: F=7.17 P=.001). 3.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serum lipid level were as follows ; In a resting perio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were sligh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but HDL-cholesterol was higher in the normal group. But, with the aerobic program, total-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were reduced gradually and HDL-choleterol got increased in both groups, but not much change was noticed in the normal group. However, in the obese group, serum HDL-cholesterol level got increased significantly(F=5.12 P=.012). 4.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 serum antioxidants were as follows ; In a resting period, the obese group's serum Free Radical and GSSG content were higher than the normal group's and the normal group's serum GSH content was higher than the obese group's. After 6 weeks of the aerobic program, Free Radical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obese group: F=13.87 P=.000, normal group: F=18.60 P=.000) In the obese group, 8 weeks after the program, GSH was increased significantly(F=13.78, P=.000). In the normal group, 6 weeks after the program, GSH was reduced but increased again after 8 weeks(F=6.07 P=.005). Plasma GSS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8 weeks of exercise in both groups(obese group: F=19.75 P=.000, normal group: F=22.42 P=.000,) Compared with readings before the aerobic program, the aerobic program made a bigger difference serum GSH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obese group(t=3.37 p=.003). As this result shows, it is known that the regular aerobic exercise improves cardiopulmonary functio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effectively and through the serum Free Radical reduction and antioxidant system activation, oxidant stress was suppressed. This effect was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one. At least 6weeks exercise period need for improvement of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ctivation of antioxidant system. This result suggest that improvement of serum lipid profile was needed longer than 8weeks exercise period.

  • PDF

D 노인대학과 경로당 노인들의 건강행태 및 고혈압당뇨병 관리실태 비교조사 (Comparativ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bout Hypertension and Diabetes Case Management of the Elderly at the Hall for the Aged and the D Senior's College)

  • 윤영숙;권양옥;정영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4
    • /
    • 2010
  • 부산 사하구내 경로당과 D 노인대학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고혈압과 당뇨병에 대한 실태를 비교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구강건강행태 이론을 개발하도록 돕고 보다 전문화된 구강건강행위 전략 구축을 위한 하나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도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건강검진, 고혈압 실태, 당뇨병 실태, 삶의 질(EQ5D)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009년 8월 중순에서 9월 중순까지 약 한 달 동안 사하구내 경로당 10곳과 D 노인대학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내용을 자세히 읽어드리고 협조에 응해주시는 65세 이상인 경로당 노인 100명과 D 노인대학 학생 74명으로 총 174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통한 ${\chi}^2$검정, 독립표본 t 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건강검진관련 항목 중 최근 1년 동안 혈압을 한번이라도 측정한 경우가 94.8%로 높았으며, 최근 1년 동안 혈당을 측정한 경우도 91.4%로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련 정보 취득원의 경우 경로당 노인은 방송을 통해서가 50.0%, 노인대학 노인은 전문가 강좌 및 상담이 64.8%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p < 0.05). 2. 고혈압인 경우가 32.2%로 나타났으며, 최초 고혈압 발견은 병원 진료 시 83.9%로 가장 많았다(p < 0.05). 고혈압 진단 장소는 병의원 50.0%로 나타났으며(p < 0.05), 고혈압을 진단받은 시기는 5년 이하 50.0%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p < 0.05). 정기적 혈압점검은 월 1회 이상 76.8%로 가장 많았고(p < 0.05), 혈압조절여부에서는 잘 조절된다가 7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혈압약 복용은 경로당 노인은 매일 복용함이 85.7%로 가장 많았으며 노인대학 노인은 매일 복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3. 당뇨병인 경우가 14.4%로 나타났으며, 당뇨병 최초 발견은 병원 진료 시 80.0%로 나타났다(p < 0.05). 개인용 혈당측정기 보유에서는 아니오가 64.0%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p < 0.05). 4. 삶의 질의 측정 항목 중 운동능력에서 경로당과 노인대학 노인 모두 걷는데 지장이 없다가 62.7%로 많았으며, 두 군을 비교해 보면 경로당 노인이 노인대학 노인보다 걷는데 다소 지장이 있는 분들이 조금 더 많았다(p < 0.05). 통증과 불편여부에서는 경로당 노인은 다소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다가 다소 많았으며 노인대학 노인은 통증이나 불편감이 없다가 조금 더 많게 나타났다(p < 0.05). 5. 경로당과 노인대학 노인의 오늘 건강상태를 비교한 결과 노인대학 노인이 경로당 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은 건강상태를 나타냈다(p < 0.05). 이상의 결과에서 대체로 경로당 노인들보다 노인대학 노인들이 건강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삶의 질의 항목인 걷는데 지장이 없다와 불안/우울하지 않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많았으나, 고혈압, 당뇨관리는 경로당과 노인대학 노인 둘 다 어느 정도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건강행태 및 고혈압·당뇨병 등 주요 질환관리 실태를 기초로 다양한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 개개인에게 맞춤형 치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현재 본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대학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 운영이 노인의 구강건강행위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실태조사에서 노인대학 노인중 고혈압 환자와 당뇨 환자의 수가 적었다는 제한점을 보여 신뢰성 있는 결론을 도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나 후속연구에서 보다 많은 대상환자를 확보하고 체계적인 실태조사가 이뤄진다면 그 결과가 노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계획시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