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Similarity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문화시설의 공간구성과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 시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Composition and Peculiarity of Utilization of Cultural Facilities in Region - Focused on Central Cultural Facilities in City -)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71-7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c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facilities in city which was surrounded by rural area. For this study, it was surveyed 18 cultural facilities including PyungTaek-city in our country. The below was analyzed : The first, the present conditions of space program and functions of central cultural facilities in small city. The second, a frequency and peculiarity in utilization of it. And the third is about system of management. A data of design which can be directly applied by above process is like the below. The function of cultural facilities in city can be fixed from space composition with regional specifics and similarity. The space composition of cultural facilities is diversified by art performance and assembly space, by exhibitional space and reading space, and by the fact whether there is public or not. We know hall of cultural facilities has multi-purpose. Management system needs some changes throughout participation of citizen or experts for more active usage.

  • PDF

DNA Based Cloud Storage Security Framework Using Fuzzy Decision Making Technique

  • Majumdar, Abhishek;Biswas, Arpita;Baishnab, Krishna Lal;Sood, Sandeep 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7호
    • /
    • pp.3794-3820
    • /
    • 2019
  • In recent years, a cloud environment with the ability to detect illegal behaviours along with a secured data storage capability is much needed. This study presents a cloud storage framework, wherein a 128-bit encryption key has been generated by combining deoxyribonucleic acid (DNA) cryptography and the Hill Cipher algorithm to make the framework unbreakable and ensure a better and secured distributed cloud storage environment. Moreover, the study proposes a DNA-based encryption technique, followed by a 256-bit secure socket layer (SSL) to secure data storage. The 256-bit SSL provides secured connections during data transmission. The data herein are classified based on different qualitative security parameters obtained using a specialized fuzzy-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 The model also has an additional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cide on selecting suitable storage servers from an existing pool of storage servers. A fuzzy-based 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CDM) model has been employed for this, which can decide on the set of suitable storage servers on which the data must be stored and results in a reduction in execution time by keeping up the level of security to an improved grad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of indigenous Myanmar mango (Mangifera indica L.) landraces around Kyaukse district

  • Kyaing, May Sandar;Soe, April Nwet Yee;Myint, Moe Moe;Htway, Honey Thet Paing;Yi, Khin Pyone;Phyo, Seinn Sandar May;Hlaing, Nwe Nwe So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61-70
    • /
    • 2019
  • There is vast genetic diversity of Myanmar Mangoes.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indigenous thirteen different mango landraces cultivated in central area of Myanmar, Kyauk-se District and their fruit characteristics by 18 descriptors together with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m by 12 SSR markers. Based on the morpho-physical characters, a wide variation among accessions was fou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irteen mango genotypes resulted in the detection of 302 scorable polymorphic bands with an average of 4.33 alleles per locus and an averag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of 0.7. All the genotypes were grouped into two major clusters by UPGMA cluster analysis and a genetic similarity was observed in a range of 61 ~ 85%. This study may somehow contribute insights into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mango diversity in Myanmar and would be useful for future mango breeding program.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Wood-Boring Beetles Inhabited by Pine Trees

  • Park, Yonghwan;Jang, Taewoong;Won, Daesung;Kim, Jongk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189-196
    • /
    • 2019
  • Plants are consumed by a myriad of organisms that compete for resources. Direct interactions among multiple plant-feeding organisms in a single host can range for each species from positive to negative. Wood-boring beetle faces a number of biotic and abiotic constraints that interfere with the good prospects from the tree. Biotic factors, including arthropod pests and diseases, and abiotic factors, such as drought and water-logging, are the major constraints affecting the speci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alyzing forest health, identify the kinds of wood-boring beetle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Our second goal was to analyz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regional communities and to examine. A total of 10,461 individual wood-boring beetles belonging to 8 families and 50 species attracted to trap trees in the pine forests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on study si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llected species showed that the community structure on all study sites was similar. Seasonal occurrences of dominant wood-boring beetles (5 species) from each study site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ll species, except for Siphalinus gigas in May, followed by a gradual decline, and the largest number of Siphalinus gigas appeared in June. The similarity index of species composition was relatively high, ranging from 0.75 to 0.90 for each study site.

First report of freshwater red alga Compsopogon caeruleus (Compsopogonaceae, Rhodophyta) in Korea

  • Eun-Young Lee;Soon Jeong Lee;Sang-Rae Le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332-339
    • /
    • 2024
  • The filamentous freshwater red alga Compsopogon caeruleus(Compsopogonophyceae, Compsopogonaceae, Rhodophyta) occurs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of worldwide. This species has been reported from Asia, America, Africa, Europe and Oceania, and the worldwide distribution of Compsopogon caeruleus is in variable water habitats. Several morphospecies of the genus Compsopogon had been recorded, but recent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with worldwide sampling identified a monospecific genus, C. caeruleus. In the present study, we first report a freshwater red alga Compsopogon caeruleus from Korea. We identified Compsopogon caeruleus in an urban river in Yongin City, and analyzed its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Nuclear 18S rDNA, plastidal rbcL gene and mitochondrial cox1 gene sequences isolated from Korean Compsopogon caeruleus showed high sequences similarity with Compsopogon caeruleus from worldwide (98.6-100% (18S rDNA), 99-100% (rbcL) and 97.7-100% (cox1)). These sequences similarities support the identification of a red alga found in Korea as Compsopogon caeruleus. This new geographical report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range of Compsopogon caeruleus especially concerning urban freshwater environments.

소나무 잎 중 PBDEs의 조성, 발생원 및 지역적 농도 (Composition, Source, and Regional Concentration of PBDEs in Pine Needles)

  • 여현구;조기철;천만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29-835
    • /
    • 2006
  • PBDEs의 조성, 발생원 및 지역적 농도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의 여러지역(서울, 안성, 청주, 울산, 대구, 부산, 파도리)에서 자생하는 소나무 잎을 채취하였다. Hepta-BDE부터 deca-BDE까지의 동족체(homologs) 농도는 총 PBDEs의 농도와 매우 유의한 상관성(Pearson 상관계수 r>0.96, p<0.001)을 보였다. Deca-BDE는 다른 homologs에 비해 모든 시료에서 최대농도를 나타내었다. PBDE 함유 제품(Bromkal 70-5DE, DE-71)과 소나무 중 침착된 PBDE 동질체(congeners) 사이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PBDE 함유 제품이 본 채취지점에서 발생원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BDE-47, -99, -100, -206, -207 및 -209는 모든 소나무 잎에서 주된 성분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전세계적으로 다량 사용된 penta-BDE와 deca-BDE 함유 제품이 국내에도 다량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DE-209와 BDE-47, -99, -100간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tetra-BDE와 penta-BDE는 대기-토양 분배와 같은 2차 발생원에 영향이 지배적인 반면 deca-BDE는 여전히 1차 발생원의 영향이 2차 발생원의 영향보다 지배적이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영월한반도습지의 어류군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sh Community in Yeongwol Hanbando Wetland)

  • 한상진;이광열;윤영진;최재윤;김준철;최재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4-431
    • /
    • 2014
  •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영월 한반도습지의 어류군집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류는 총 10과 33종 7,107개체였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 묵납자루를 포함하여 총 18종(52.94%)이었다. 또한 각 지점별 우점종은 St. 1, 2, 3, 5에서는 각각 참갈겨니(Zacco koreanus)였으며 St. 6에서 돌고기(Pungtungia herzi), 그리고 St. 7에서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로서 하천 중상류역에 서식하는 어종이 우점하였으나, St. 4에서는 붕어(Carausius auratus)가 우점하여 하천의 중 하류역 또는 정수역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3그룹(A, B, C)으로 나뉘어졌으며, 이중 그룹 C(St. 4)는 하천 지점(그룹 A)과 인위적인 교란을 받은 하천지점(그룹 B)과는 다르게 정수역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영월 한반도습지는 하천과 정수역의 특징을 지닌 매우 독특한 습지생태계로 판단되며,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신된다.

청초호 어류군집을 통해 본 석호의 해양화 (Oceanization of a Lagoon Through Analysis of Fish Community in the Lagoon Cheongcho, Korea)

  • 박승철;이광열;윤영진;최재윤;조강현;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166-174
    • /
    • 2013
  • 2008년과 2012년에 청초호의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류는 총 26과 48종 17,281개체였다. 우점종은 황어(75.2%), 우세종은 문절망둑(5.4%), 잔가시고기(3.1%) 등이었으며, 수체의 기원에 따른 어류의 생태형을 조사연도별로 비교한 결과, 담수어는 감소하였으며 기수어와 해수어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석호와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어졌으며, 청초호는 담수의 유입이 적고 지속적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경포호와 유사한 그룹 A에 포함되었다. 그러므로 어류군집에 따른 청초호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청초호는 석호의 특징을 서서히 상실하고 있으며 해양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석호생태계 본연의 특성을 회복하고 관리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연구 및 습성천이에 따른 관리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전천과 유등천의 하천변 곤충군집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sect Community at Streamside zones at the Daejeon and Yudeung Streams)

  • 임헌명;조영호;박영준;한용구;남상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0-51
    • /
    • 2013
  • 본 연구는 대전천과 유등천의 하천변에 서식하는 육상곤충을 이용해 하천정비공사가 인근 생물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2008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곤충은 총 10목 110과 428종으로 대전천에서 조사된 곤충은 11목 99과 335종, 유등천에서 조사된 곤충은 11목 98과 350종이었다. 대전천은 D-1지점과 D-2지점에서 178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가 확인되었고, 유등천은 Y-1지점에서 179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가 확인되었다. 유사도 지수를 근거로 각 지점별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하천정비공사가 진행되지 않은 지역(A그룹)과 하천정비공사가 진행된 도심관통 지역(B그룹)으로 그룹화 되었다. 또한 A그룹에서도 각 조사지점이 대전천(A-1그룹)과 유등천(A-2그룹)으로 나뉘어 하천의 지역적 차별성에 따른 곤충의 출현이 상대적임을 알 수 있었다.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이용한 장뇌삼의 지역별 품종 구분 (Identification of Korean Mountain Cultivated Ginseng by RAPD)

  • 최지영;이주희;이수광;강호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35-4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장뇌삼 8품종과 밭에서 재배된 재배인삼 등 총 9개체에 대해 장뇌삼 품종들 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RAPD분석에 사용한 random primer는 총 40종류(OPA 1~20, OPB 1~20)였으며, 이 중 34개가 각기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품종간의 집단을 형성하여 9개 품종간 유연관계를 밝히는데 유용하였다.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홍천과 재배인삼, 의성과 금산, 진안과 풍기와 강화, 상주와 안동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다시 2개의 그룹 "홍천-재배인삼-의성-금산", "풍기-강화-상주-안동"으로 구분 되었다. 9개 지역에서 수집한 품종간의 유사도 값은 최저 0.30, 최고 0.53으로 나타났다. RAPD방법은 사용법이 간단하고 소요시간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의 DNA시료로도 분석이 가능한 검정법으로 형태적인 차이가 구별되지 않는 장뇌삼 품종 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밝히는 데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품종별 계통유연관계를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 AFLP 또는 Molecular Maker를 이용하거나 계통분류에 널리 이용되는 핵, 엽록체 DNA의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와 같은 정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